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88995928424
· 쪽수 : 824쪽
· 출판일 : 2010-01-1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제1장 패션·유통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Ⅰ. 패션·유통산업의 환경
1. 국내·외 패션 유통산업의 환경
Ⅱ. 패션·유통산업의 동향
1. 국내·외 패션 유통산업의 발전
2. 패션 유통산업의 역할 변화
제2장 자주 머천다이징
Ⅰ. 패션 리테일 마케팅&머천다이징
1. 패션 리테일 마케팅
2. 패션 리테일 머천다이징
Ⅱ. 자주 머천다이징
1. 자주 머천다이징의 필요성
2. 자주 머천다이징의 개념과 유형
Ⅲ. 자주 개발 머천다이징
1. 자주 개발 머천다이징의 개념과 유형
2. PB 개발 전략
Ⅳ. 자주 편집 머천다이징
1. 자주 편집 머천다이징의 개념과 유형
2. 자주 편집 머천다이징의 특성과 조건
3. 국내·외 자주 편집 머천다이징의 동향
제3장 SPA 개발 전략
Ⅰ. SPA 개발 전략 이해
1. SPA 개념과 특성
Ⅱ. SPA 개발 전략의 실제
1. SPA 개발의 전제조건
2. SPA의 업무 개발 프로세서
3. SPA 패션 머천다이징
4. SPA 머천다이징 시스템과 프로세스138
제4장 SPA 디자인 경영
Ⅰ. SPA 디자인 경영
1. SPA 디자인 경영의 필요성과 개념
2. SPA 기업의 디자인 경영 특성
1. 디자인 경영 시스템과 프로세스
2. SPA 디자인 경영 실제
제5장 SPA 아웃소싱 및 생산전략
Ⅰ. SPA의 아웃소싱 및 생산전략
1. 아웃소싱 전략
2. 글로벌 아웃소싱 전략
3. 생산전략
제6장 SPA 영업전략
Ⅰ. SPA 영업전략
1. SPA 영업전략
2. SPA 영업 계수관리의 실제
제7장 SPA 비주얼 머천다이징전략
Ⅰ. SPA 비주얼 머천다이징전략
1. SPA 비주얼 머천다이징 전략의 개념과 필요성
2. VM 발전과정과 추이
3. VM의 시스템과 구조
Ⅱ. SPA의 VM
1. SPA의 VM 전략
2. SPA의 VM 실제
제8장 SPA 사례(미국, 유럽 편)
Ⅰ. 미국, 유럽의 SPA 사례
1. 미국, 유럽의 SPA 동향
2. 미국의 SPA 사례
3. 유럽의 SPA의 사례
제9장 SPA 사례 (일본편)
Ⅰ. 일본의 SPA 사례
1. 일본의 SPA
2. 일본에 진출한 외국계 SPA
제10장 중국·홍콩의 SPA 사례
Ⅰ. 중국·홍콩의 SPA 동향
1. 중국의 패션현황
2. 중국·홍콩의 SPA 사례
3. 중국·홍콩에 진출한 외국계 SPA
Ⅱ. 한국 SPA의 동향과 사례
1. 한국 SPA의 동향
2. 한국에 진출한 외국계 SPA
제11장 자주개발·편집 머천다이징 사례
Ⅰ. 자주개발 머천다이징 사례
1. 국내·외 PB 개발 사례
Ⅱ. 국내외 자주편집 머천다이징 사례
1. 일본의 셀렉트 숍(Select Shop)의 사례
2. 한국의 셀렉트 숍 사례
제12장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구축을 위한 제언
Ⅰ. 한국 패션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1. 한국 패션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기
2. 한국의 패션산업 비즈니스 모델 구축
3. 한국의 유통산업 구조 및 업태별 변화
4. 한국의 패션마케팅 & 머천다이징 시스템 변화
5. 한국의 소비자 의식 및 구매행태 변화
책속에서
리테일 마케팅은 어디에서(점포 전략), 무엇을 가지고(상품 전략), 어떤 가격으로(가격 전략), 누구를 위하여(고객 전략), 어떻게(점포·환경·시스템·프로모션 전략), 누구와 경쟁할 것인가(경쟁점 전략)의 6대 요소가 필수 조건이다.
일본은 해외 SPA나 카테고리 킬러의 활성화에 의한 마켓 셰어 확대와 어패럴 메이커의 SPA 시스템으로의 전환에 의한, 양면공세로 PB 상품 개발만이 백화점이나 전문점 등이 경쟁력을 구축할 수 있는 전략적 요소이며, 향후 소매점이 모색하여야 할 또 하나의 방향성으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잘 팔리는 주력 상품의 PB보다 NB에 없는 상품으로 그 스토어의 독자성을 부여하는 것이 특성이다.
셀렉트숍은 일반적으로 완전소진 사입제와 조건부 사입제라는 거래방법을 택하고 있으므로 상품판매 정도에 따라 일정량의 재고부담을 가지게 된다. 더구나 상품의 판매율 적중이 낮을 경우, 재고의 부담을 감수해야 함으로 전문적 편집능력과 정확한 예측력이 필요하고, 합리적인 재고소진 정책이 동반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