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96282327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0-11-01
책 소개
목차
서문
추천의 글
주요 용어
1부 시스템과 발상의 전환
▶ 현대 사회는 붕괴 위기에 처해 있다?
01. 우리 공동의 미래_ 세계환경발전위원회
02. 문명의 붕괴_ 제레드 다이아몬드
03. 성장의 한계_ 도넬라&데니스 메도즈, 예르겐 랜더스, 윌리엄 베렌스 3세
04. 혼돈의 시기_ 에르빈 라슬로
▶ 과학 기술이 우리를 구원할 것이다?
05. 우주선 지구호 사용설명서_ R. 벅민스터 풀러
06. 새로운 과학과 문명의 전환_ 프리초프 카프라
07. 지구의 꿈_ 토마스 베리
08. 살아남기_ 반다나 시바
09. 미래, 살아있는 시스템_ 피터 센게, 오토 샤머, 죠셉 자월스키, 베티 수 플라워스
▶ 쓰레기가 곧 식량이다?
10. 비즈니스 생태학_ 폴 호켄
11. 바이오미미크리_ 재닌 M. 베니어스
12. 4배 시나리오_ 에른스트 폰 바이체커, 에이모리 로빈스, 헌터 로빈스
13. 요람에서 요람으로_ 윌리엄 맥도너, 미하엘 브라운 가르트
2부 경제학, 자본주의, 세계화
▶ GDP 증가가 곧 경제발전이다?
14. 작은 것이 아름답다_ E.F. 슈마허
15. 녹색경제를 위한 청사진_ 데이비드 피어스, 아닐 마르칸디야, 에드워드 바비어
16. 공동선을 위하여_ 허먼 데일리, 존 B. 콕 2세
17. 인간적인 발전_ 만프레드 막스 니프
18. 자유로서의 발전_ 아마르티아 센
19. 우리가 바라는 자본주의_ 조나단 포리
▶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는 경쟁관계다?
20. 기업이 세계를 지배할 때_ 데이비드 C. 코튼
21. 세계 자본주의의 위기_ 조지 소로스
22. 전지구적 자본주의의 환상_ 존 그레이
23. 자본의 미스터리_ 에르난도 데 소토
24. 자연자본주의_ 폴 호켄, 에이모리 로빈스, 헌터 로빈스
▶ 세계화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
25. 빚보다 더 나쁜 운명_ 수전 조지
26. 슈퍼 브랜드의 불편한 진실_ 나오미 클라인
27. 세계화와 그 불만_ 조지프 E. 스티글리츠
28. 빈곤의 종말_ 제프리 D. 삭스
3부 기업의 역할과 미래
▶ 기업은 사이코패스다?
29. 어떤 속도에서도 안전하지 않다_ 랄프 네이더
30. 기업의 경제학_ 조엘 바칸
31. 정신의 빈곤_ 찰스 핸디
32. 체인징 코스_ 슈테판 슈미트 하이니, 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
33. 패스트푸드의 제국_ 에릭 슐로서
▶ 지속가능경영이 기업 경쟁력을 높인다?
34. 매버릭_ 리카르도 세믈러
35. 포크를 든 식인종_ 존 엘킹턴
36.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은행가_ 무하마드 유누스
37. 영적인 비즈니스_ 아니타 로딕
38. 시민기업_ 사이먼 자덱
39. 저소득층 시장을 공략하라_ C.K. 프라할라드
40. 기로에 선 자본주의_ 스튜어트 L. 하트
4부 인류, 환경, 생태
▶ 자연은 극복하고 다스려야 할 대상이다?
41. 모래군의 열두달_ 알도 레오폴드
42. 침묵의 봄_ 레이첼 카슨
43. 가이아_ 제임스 러브록
44. 강의 죽음_ 프레드 피어스
▶ 중국의 경제성장은 인류에겐 재앙이다?
45. 인구폭탄_ 파울 L. 에를리히
46. 검은 강물이 흐른다_ 엘리자베스 C. 이코노미
▶ 지구온난화는 과대평가 되어 있다?
47. 회의적인 환경론자_ 비외른 롬보그
48. CO2와의 위험한 동거_ 조지 몬비오
49. 불편한 진실_ 앨 고어
50. 기후변화의 경제학_ 니콜라스 스턴
리뷰
책속에서
사회지도층과 지식인들의 행동에 주목해야 한다. 만일 그들이 자신들의 행동으로 인한 결과와 무관하게 살아갈 수 있다면(마야의 왕이 그랬듯이), 위기가 와도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때를 놓치게 될 것이다.
사실 전문화란 노예제도를 보기 좋게 포장한 것이나 다름없다. 소위 '전문가'들은 사회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선호되는 안정된 지위를 평생 누릴 수 있다고 스스로를 설득하면서 노예 신세를 덜컥 받아들이는 우를 범하고 있다.
요컨대, 우리는 시스템 문제를 겪고 있다. 시스템 문제라는 것은 문제들이 상호 연결되어 있고 상호 의존적이라는 것을 뜻한다. 해결책은 시스템이라는 그물의 구조 자체가 변해야 찾을 수 있는데 그 경우 우리 사회의 제도, 가치, 사고도 근본적으로 달라지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