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하나님의 영광”, 칼빈의 삶과 신학의 모티프

“하나님의 영광”, 칼빈의 삶과 신학의 모티프

(개혁교회 목회와 신학)

지태일 (지은이)
레노바레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2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하나님의 영광”, 칼빈의 삶과 신학의 모티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하나님의 영광”, 칼빈의 삶과 신학의 모티프 (개혁교회 목회와 신학)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96324522
· 쪽수 : 780쪽
· 출판일 : 2021-03-31

책 소개

칼빈이 자신의 삶과 신학에 깊이 자리잡고 있는 ‘하나님의 영광’을 얼마나 열정적으로 사모하고 성경적으로 어떻게 드러냈는가에 대한 일련의 평론이라 할 수 있다.

목차

저자 서문 |연구의 필요성 | 5
추천의 글 | 14
목 차 | 22
존 칼빈(John Calvin)의 생애 연표와 주요 저작(1509-1564년) | 28

제1장 서론 39

A. 칼빈, 칼빈신학 그리고 하나님의 영광 | 40
1. 칼빈신학의 요체(要諦, key)로서 오직 성경으로! | 41
2. 칼빈, 칼빈신학이 교회와 세상에 끼친 영향력 | 44
3. 칼빈신학: 하나의 중심 원리를 공동의 토대로 가진 유기적(organic) 사상 체계 | 50
4. 칼빈신학의 중심 모티프: 하나님의 영광 | 54

B. 칼빈신학과 개혁신학의 우월성으로서 하나님의 영광 | 58
1. 칼빈신학의 중심 원리 연구 동향 | 59
중심원리가 없다는 논의 | 중심원리가 있다는 논의 | 중심원리에 관한 논의 종합(synthesis)
2. 칼빈신학의 중심 원리로서 하나님의 영광 | 77
3. 개혁신학의 우월성으로 하나님의 영광 | 83

C. 칼빈, 칼빈신학 그리고 개혁신학 | 88
1. 칼빈신학의 역사적 의의 | 88
16세기에 끼친 칼빈신학| 17-18세기에 끼친 칼빈신학 |19세기에 끼친 칼빈신학 | 20세기에 끼친 칼빈
신학 |한국교회에 끼친 칼빈신학
2. 칼빈신학을 대하는 태도 | 95
교조주의(dogmatism)적 절대주의(absolutism)|역사주의(historicism)적 상대주의(relativism) |
칼빈신학을 대하는 바른 태도
3. 칼빈신학의 기초와 원리 | 99
외적원리: 오직 성경으로!(sola scriptura!) |내적 원리: 성령님의 내적 증거 |
경건의 원리: 실천적 믿음의 지식
4. 칼빈과 칼빈주의 그리고 개혁신학 | 118
칼빈|칼빈과 칼빈신학|칼빈과 칼빈주의|칼빈과 개혁신학

제2장 칼빈의 생애와 신학, 교육과 사역적 배경 | 135

A. 칼빈의 가정, 교육, 회심, 유언, 신학 137
1. 부모와 출생 | 137
2. 결혼과 건강 | 139
3. 인문주의 교육 | 144
카페뜨 대학과 마르셰 대학|몽테규 대학|오르레앙 대학과 부르쥬 대학|
니콜라스 콥과 『세네카의 관용론 주석』|칼빈과 기독교 인문주의
4. 갑작스러운 회심(subita conversione) | 164
5. 유언과 고별사 | 171
칼빈의 유언장|제네바 시 행정장관과 시의원과의 고별사|
제네바 시의 동료 목사들과의 고별사|파렐에게 보낸 고별 편지
6. 임종과 장례 | 204
7. 신학적 배경 | 212 초대교부들의 영향|종교개혁자들의 영향

B. 칼빈의 사역 221
1. 1차 제네바교회 개혁(1536-1538년) | 221
2. 스트라스부르 사역(1538-1541년) | 228
3. 2차 제네바교회 개혁(1541-1550년) | 231
제네바 복귀와 제네바 상황|4중 직제(order)와 직분
4. 『기독교 강요』(Institutes of Christian Religion) | 263
『기독교 강요』 초판(1536년)| 『기독교 강요』 2판(1539년)|『기독교 강요』 3판(1543년)|
『기독교 강요』 4판(1550년)| 『기독교 강요』 최종판(1559년)

제3장 칼빈의 하나님의 영광의 역사적, 신학적 배경 | 281

A. 역사적 배경 | 283
1.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투쟁 | 284
2. 소종파들과의 투쟁 | 290
3. 오직 하나님께만 영광을!(Soli Deo Gloria) | 293

B. 신학적 배경 | 298
1. 삶의 동기로서 하나님의 영광| 298
2. 신학의 목표로서 하나님의 영광| 307

C. 하나님의 영광과 인간의 행복| 313
1. 영광의 어원적 의미| 314 구약에서 영광| 신약에서 영광
2. 하나님 영광의 의미| 318 하나님의 본질적 영광| 하나님의 현시적 영광
3. 하나님의 영광과 인간의 행복의 종합(synthesis)| 328

제4장 칼빈의 일반은총에서 하나님의 영광 335

A. 일반은총과 하나님의 영광| 337
1. 칼빈의 일반은총 | 337
2. 일반은총의 영역 | 341 오성(悟性)|학문|예술

B. 창조와 섭리의 목적으로서 하나님의 영광 | 351
1. 창조의 목적 | 351 우주 창조| 인간 창조
2. 섭리의 목적 | 362

제5장 칼빈의 특별은총에서 하나님의 영광 | 367

A. 성화론과 하나님의 영광 | 369
1. 회개와 성화 | 371
2. 칭의와 성화 | 374
3. 선행과 칭의 | 378

B. 성화의 삶과 하나님의 영광 | 381
1. 그리스도와 연합 | 381
2. 그리스도인의 삶| 385 자기 부정의 삶(self-denial)|십자가를 지는 삶(bearing the cross)
미래에 대한 묵상(meditation on the future life)|현세 선용의 삶(enjoying the present life)
3. 예정론 | 403

제6장 칼빈의 하나님의 영광이 끼친 영향 | 415

A. 개혁신학의 특징으로서 하나님의 영광 | 417
1. 하나님 중심 | 418
2. 하나님의 절대 주권 | 421
3. 하나님의 영광 | 423

B. 개혁교회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칼빈의 하나님의 영광 | 427
1. ??제네바 요리문답서??(The Catechism of Geneva. 1537, 1542년) | 427
2.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The Scots Confession of Faith, 1560년) | 431
3.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서??(The Heidelberg Catechism, 1563년) | 435
4.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1647년) | 440

제7장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칼빈의 목회적 실천(praxis)과 장(field) | 451

A. 칼빈의 목회에 나타난 하나님의 영광 | 453
1. 예배 | 454
예배의 정의| 예배자와 예배대상|예배시간| 예배장소| 예배 이유와 방식| 예배모범
2. 설교| 481
설교에 대한 칼빈의 인식| 설교자에 대한 칼빈의 인식| 칼빈의 설교의 특징|
칼빈의 설교 준비와 실제| 설교자와 성령님| 설교자에게 성령님과 기도
3. 기도| | 589
기도론의 출발점|기도와 말씀(시편)|기도와 믿음 |기도의 네 가지 원칙|
기도해야 할 이유|기도와 성령님
4. 음악 | 608 루터(M. Luther)|쯔빙글리(Zwingly)|칼빈(J. Calvin)
5. 성찬 | 652
성찬의 의의|성찬의 제정|성찬의 효과|성찬과 말씀(성령님)|그리스도의 임재|
성찬의 정당한 참여|성찬의 양식
6. 권징 | 673 권징의 필요성과 성격|권징의 목적|권징의 단계|권징의 온건함
7. 교육 | 685 교육의 목적|교육의 내용

B.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야 할 장(field) | 692
1. 가정 | 692
2. 교회 | 695 교회의 본질|교회의 표지(marks)
3. 학교(제네바 아카데미) | 714
교회개혁과 교육개혁|제네바 아카데미 설립과 교육|제네바 아카데미의 교육 목적|
제네바 아카데미의 교육: 경건과 학문
4. 국가 | 733
5. 문화 | 741
문화 개념|하나님의 절대 주권으로서의 문화|소명으로서의 문화

제8장 결론 및 전망과 제언 | 753
A. 결론 | 754
B. 전망과 제언 | 761
참고 문헌 | 768

저자소개

지태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