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후 한국소설
· ISBN : 9788996376545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4-01-01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백 년 묵은 바랑을 열며
제1장 평전 아리랑/11
제2장 쌍둥이의 꿈꾸는 아리랑/99
제3장 아리랑 아라리/135
제4장 빛고을 아리랑/169
제5장 노을 진 아리랑 고개/199
제6장 아리랑 바랑/245
제7장 저 하늘에도 아리랑이/307
<편집 후기> 아리랑 정신과 삶의 의미/317
저자소개
책속에서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광주 민주항쟁의 격동기를 겪으며 망백의 세월을 살았던 대길과 순애는 피할 수 없었던 시대적 아픔을 가슴에 안고 굽이굽이 고난의 아리랑 고개를 넘어야만 했다. 대길은 일제강점기에 아야코라는 일본 여인과 첫사랑의 인연을 맺고 강제노역으로 일본에 끌려간 뒤 다시 만났지만, 해방되면서 눈물로 헤어진다. 그 후 대길은 아물지 않은 인연의 상처로 아라리를 앓으면서 우여곡절 끝에 순애와 결혼해 평생을 함께했다. 순애도 6·25전쟁이 남긴 삶의 상처를 가슴속에 묻고 대길을 만나 바뀐 이름표를 달고 살아야만 했다. 그들은 무질서와 혼돈이 판치는 어질러진 세상의 무대에서 실존이 본질에 우선한다는 진리를 몸으로 웅변했다. 그들 삶 속에 비친 아리랑 고개는 가팔라진 비탈길이며 사랑과 눈물의 고개요, 꿈과 희망이 솟아나는 전망대이기도 했다.
그들은 평생 삶의 무대에서 비밀 보따리를 가슴에 안고 아리랑 고개를 오르내렸다. 그 보따리 속에 담긴 인연과 사랑, 자식 출생과 성장에 얽힌 비밀은 인생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실체를 드러낸다. 주인공 대길을 중심으로 얽힌 복잡한 인연과 쌍둥이의 출생과 성장에 얽힌 굴곡진 삶의 비밀이 하나하나 파헤쳐진다. 백 년 묵은 아리랑 바랑 속에 담긴 삶의 비밀은 어찌 보면 그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에게는 비일비재한 관행이었지만, 오늘날 우리에게는 가슴 시리게 다가온다. 그들의 삶에서 우러나오는 아리랑 정신이야말로 오늘의 우리가 있게 한 위대한 여정의 원동력이었음을 느끼게 한다.
격동기를 지나며 남아선호 경향이 더욱 뚜렷해지면서 어느 날 대길의 태몽은 업둥이의 비밀을 만들게 된다. 쌍둥이로 둔갑한 금동과 길동은 성장 과정에서 꿈꾸는 아리랑 세대였다. 전쟁 직후 베이비붐 세대인 그들은 부모님과 함께 보릿고개를 넘으며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왔다. 가정형편 때문에 대학 진학을 포기한 그들은 급기야 집을 뛰쳐나가 고행의 길을 선택한다. 길동은 집으로 돌아왔지만, 금동은 서울로 가 생존의 몸부림을 치다가 전투경찰에 자원입대한 후 광주 민주화운동이 발발하면서 차출되어 생사의 아리랑고개를 넘는다. 그로 인해 공황장애 증상을 앓았던 금동은 오랫동안 사귀었던 첫사랑 연화를 지키지 못하고 일편단심 평생 홀로 살면서 금의환향만을 다짐하며 부모와 고향을 등진 채 살아가다가 IMF 금융위기가 끝나고 새천년이 되면서 고향을 찾게 된다. 한편 길동은 송충이는 솔잎을 먹어야 산다는 아버지 말을 명심하고 고향에서 농사일을 도우며 주경야독하여 국가공무원이 되어 광화문 주변에서 평생을 봉사한다. 업둥이의 비밀은 누구도 밝힌 적은 없지만, 순애는 죽음이 다가오자 성장 과정에서 무심코 나무랐던 말을 떠올리며 후회하지만, 가슴으로 기른 자식도 똑같은 자식이라 생각하고 결국 입을 다문 채 눈을 감는다. 대길의 첫 번째 제삿날 업둥이의 비밀이 일부 밝혀졌지만, 길동과 금동은 서로를 의심하고 고민에 빠진다. 어느 날 쌍둥이는 어릴 적 아버지가 은연중에 관리했던 무덤을 찾아 헤매다 포기하고 실존이 본질에 우선한다는 진리를 상기하며 무의미한 진실에 마침표를 찍으며 힘들었던 아리랑고개를 넘는다. 금동은 어머니 뜻대로 연화를 다시 만나 사업에 성공하고 길동과 함께 부모님이 가슴에 품고 있었던 아리랑 바랑의 아픔을 하나하나 꺼내 들여다본다.
"굽이치는 아리랑 고개를 함께 넘어왔던 대길과 순애의 인생 드라마도 다름 아닌 생존의 몸부림이었다. 격동의 세월을 가로질러 무질서와 혼돈이 판치는 어질러진 세상의 무대에서 두 사람은 실존이 본질에 우선한다는 진리를 몸으로 웅변했다."
길동과 금동은 대길과 순애가 싸안고 갔던 아리랑 바랑 속 궁금증을 풀면서, 50년 만에 일본에서 찾아온 아야코를 대길이 외면해야만 했던 이유와 순애를 죽음에 이르게 한 가슴속 멍울의 근원을 찾아 끈끈한 가족애로 치유해 간다.
쌍둥이는 일본으로 건너가 오사카와 나가사키에 있는 강제노역의 현장을 둘러보고 대길과 아야코가 무덤까지 가지고 간 빗나간 해후에 얽힌 미스터리를 풀어나가면서 한일 간 관계 정상화를 기원하고 미래지향적 방향을 제시한다.
강제노역의 아픔 속에서도 '일본 사람 중 좋은 사람도 많다.'고 확신했던 대길이지만, 되풀이되는 일본의 우경화와 과거사 청산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아야코와의 만남에 걸림돌이 되었었다. 하지만, 대길과 순애는 아야코를 포용하며 천상 해후 파티를 열고 아리랑 합창을 하기로 한다. 그들은 마지막 남은 수수께끼인 바랑 속 인형의 주인을 만나러 오사카에 다녀오기로 약속하고 한일관계가 하루속히 정상화하기를 염원했다. 마침내 아리랑 바랑 속 삶의 비밀이 영혼과의 대화를 통해 모두 풀리게 된다.
소심한 느그 애비의 알량한 자존심과 이별의 예감 때문에 빗나갔던 옥상과의 해후(邂逅)가 이루어지게 되어 내 마음이 더 홀가분하구나. 오늘 나는 무대 아래 객석에서 주연 배우들의 천상 해후에 축복의 박수를 보낼란다. 그리고 마지막엔 우리 모두 손에 손잡고 아리랑 노래를 부르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