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88996991113
· 쪽수 : 313쪽
· 출판일 : 2013-05-25
책 소개
목차
Ⅰ. 제사(祭祀)의 기원과 의미 1
1. 제사(祭祀)의 기원 1
2. 사당(祠堂)·신주(神主) 3
3. 종법(宗法) 16
4. 제관(祭官) 19
5. 제사(祭祀)의 의미 21
6. 제사지낼 때의 자세 26
7. 제사·차례에 올리는 찬품(饌品) 28
1) 계절에 따라 올리는 찬품[時食饌品] 28
2) 천신찬품(薦新饌品) 30
3) 기제찬품(忌祭饌品) 32
Ⅱ. 제사(祭祀)의 종류 34
1. 사시제(四時祭) 34
1) 사시제(四時祭)를 지내는 이유 34
2) 제물(祭物) 35
3) 제사상의 수(數) 37
4) 제사 절차 39
2. 초조제(初祖祭) 47
1) 제사 절차 47
3. 선조제(先祖祭) 48
1) 제사 절차 48
4. 녜제(?祭) 49
1) 제사 절차 50
5. 기제(忌祭) 50
1) 기일(忌日) 51
2) 제기(祭器)·제복(祭服) 55
3) 제물(祭物) 69
4) 주인(主人)과 주부(主婦) 88
5) 영정(影幀)과 사진(寫眞) 90
6) 모사(茅沙) 93
7) 제사 절차 97
8) 재사(齋舍)에서의 기제(忌祭) 162
9) 기제지자윤행(忌祭支子輪行) 163
10) 남편집에서 친정 부모의 기제(忌祭) 164
11) 기제금기(忌祭禁忌) 165
6. 묘제(墓祭) 165
1) 택일(擇日) 전일일재계(前一日齋戒) 171
2) 구찬(具饌) 176
3) 궐명쇄소(厥明灑掃) 177
4) 포석진찬(布席陳饌) 177
5) 참신·강신(參神·降神) 178
6) 삼헌(三獻) 182
7) 사신(辭神)·철(撤) 190
8) 합장(合葬)한 묘소(墓所)의 묘제(墓祭) 191
9) 묘소(墓所)가 아닌 곳의 묘제(墓祭) 192
10) 삼년상내(三年喪內) 묘제(墓祭) 195
11) 후토제(后土祭) 197
12) 기타 절도(節度) 200
7. 차례(茶禮) 200
1) 차례(茶禮) 절차 202
2) 차례(茶禮)의 기타 절도(節度) 205
Ⅲ. 제례(祭禮) 서식(書式) 208
1. 지방(紙?, 紙榜) 208
2. 축문(祝文) 215
1) 기제(忌祭) 축문(祝文) 215
2) 기제대행(忌祭代行) 축문(祝文) 242
3) 묘제(墓祭) 축문(祝文) 251
4) 단제(壇祭) 축문(祝文) 263
5) 개사초(改莎草) 축문(祝文) 266
6) 입석(立石) 축문(祝文) 271
7) 동제(洞祭) 축문(祝文) 274
8) 생신제(生辰祭)와 갑제(甲祭) 축문(祝文) 276
9) 기타 축문(祝文) 279
10) 기타 유의 사항 286
3. 홀기(笏記)와 분정(分定) 287
1) 홀기(笏記) 287
2) 분정(分定) 300
3) 묘제(墓祭) 축문(祝文) 251
참고 문헌 304
그림 목차
< 그림 > 성균관 문묘 약도 2
< 그림 > 사당(祠堂) 5
< 그림 > 사당한칸도(祠堂一間圖) 7
< 그림 > 사당 감실 내부도 8
< 그림 > 신주(神主) 12
< 그림 > 신주(神主)의 규(竅) 13
< 그림 > 신주(神主)의 도(韜)와 자(藉) 15
< 그림 > 조선 사직도(社稷圖) 23
< 그림 > 시제(時祭) 진설도(陳設圖) 39
< 그림 > 기일판(忌日版) 54
< 그림 > 제기도(祭器圖) 59
< 그림 > 모반(茅盤)과 속모(束茅) 96
< 그림 > 설위(設位) 102
< 그림 > 소과주찬(蔬果酒饌) 진설 107
< 그림 > 제복(祭服) 남(좌)·녀(우) 108
< 그림 > 출주고사(出主告辭) 110
< 그림 > 신주(神主) 개독(開?) 112
< 그림 > 감모여재도(感慕如在圖) 114
< 그림 > 지방(紙?) 115
< 그림 > 참신(參神) 117
< 그림 > 강신(降神) 120
< 그림 > 진찬(進饌) 122
< 그림 > 제사진설도 123
< 그림 > 집사분정(執事分定) 131
< 그림 > 초헌(初獻) 133
< 그림 > 독축(讀祝) 135
< 그림 > 아헌(亞獻) 141
< 그림 > 종헌(終獻) 146
< 그림 > 첨작(添酌)·삽시정저(揷匙正箸) 151
< 그림 > 합문(闔門) 153
< 그림 > 계문(啓門) 155
< 그림 > 분축(焚祝) 158
< 그림 > 납주(納主) 159
< 그림 > 철상(撤床) 160
< 그림 > 음복(飮福) 161
< 그림 > 묘제(墓祭) 169
< 그림 > 재사(齋舍) 묘제(墓祭) 193
< 그림 > 설단합제(設壇合祭) 194
< 그림 > 묘제홀기(墓祭笏記) 287
< 그림 > 분황집사분정(焚黃執事分定) 3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