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97046942
· 쪽수 : 652쪽
· 출판일 : 2013-06-11
목차
한국어판 서문
영문판 서문
서론
1장. 떠오르는 신흥 세계의 도전
에너지로 촉발된 유라시아 국가 간 상호 의존의 발생
정치-경제적 재편성의 시대 (1973~1999)
정치-군사적 도전의 등장
결론
2장. 지리가 여전히 중요한 분야
지리적 결정주의의 흥망
에너지 분야 : 지리가 여전히 중요한 분야
유라시아 에너지와 관련하여 지리가 어떻게 중요한가
냉전 종식 이후 세계에서 커져 가는 지리의 중요성
결론
3장. 여섯 가지 결정적 시점과 유라시아의 변화
유라시아의 변화 설명
결정적 시점 프레임워크에 대한 개념적 배경
결정적 시점 모델의 상세 설명
결정적 시점과 유라시아 에너지 동맹의 형성
결론 : 결정적 시점이 구축하고 있는 대륙주의의 세계
4장. 에너지 생산국 비교 개요
결론
5장. 유라시아 석유 부국의 정치-경제 비교
석유와 권위주의?
유라시아 석유 부국의 과도한 에너지 수출 의존도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국들 : 유라시아 에너지 상호 의존에 대한 비교 관점
결론
6장. 에너지 확보가 불안정한 아시아 소비 국가
가장 중요한 페르시아 만
육로를 통한 협력 관계의 강화
결론 : 유라시아의 정치-경제적 상호 보완성 증대
7장. 복잡한 대륙주의 속에서 피어나기 시작한 동맹
냉전의 유산, 분단
유라시아 대륙의 응집력을 강화하는 원동력
신흥 동맹 관계에 대한 자세한 분석
유라시아의 다양한 동맹 관계
통합을 촉진시킬 요인들
결론
8장. 전략적 시사점
미국의 역할 변화
변화하고 있는 유라시아의 지리경제학적 동인
유라시아 대륙이 확실하게 안정을 찾을 수 있을 것인가?
한줄기 희망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인가?
결론 : 두 가지 전략적 과제
9장. 향후 전망과 정책 과제
우리가 찾아낸 것들
에너지 지정학적 관점에서 해석한 유라시아 대륙주의
향후 연구 과제
정책 과제
부록 A 유라시아의 성장 과정
부록 B 유라시아 대륙의 기구
주석
Bibliograph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