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97339969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2-11-15
책 소개
목차
개정판 서문 / 9
서론 / 13
저자 소개 / 24
제1부 성서비평의 전통적인 방법
1장. 성서를 역사적으로 읽기: 역사가의 접근
맥스웰 밀러 / 29
2장. 자료비평(Source Criticism)
폴린 비비아노 / 55
3장. 양식비평(Form Criticism)
마빈 스위니 / 90
4장. 전승사비평(Tradition-Historical Criticism)
로버트 디 비토 / 137
5장. 편집비평(Redaction Criticism)
게일 스트리트 / 159
제2부 성서비평 전통을 확장하기
6장.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
데일 마틴 / 187
7장. 정경비평(Canonical Criticism)
메리 캘러웨이 / 214
8장. 수사비평(Rhetorical Criticism)과 상호본문성(Intertextuality)
패트리샤 털 / 235
제3부 성서비평 전통을 전복하기
9장. 구조주의비평(Structural Criticism)
다니엘 패트 / 275
10장. 내러티브비평(Narrative Criticism)
데이비드 건 / 301
11장. 독자반응비평(Reader-Response Criticism)
에드거 맥나이트 / 349
12장. 탈구조주의비평(Poststructuralist Criticism)
윌리엄 비어슬리 / 381
13장. 페미니스트비평(Feminist Criticism)
대나 놀런 퓨얼 / 405
14장. 사회경제비평(Socioeconomic Criticism)
페르난도 세고비아 / 429
책속에서
초판(1993)의 서론에서는 이런 성격의 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요약하였다. 이는 지난 6년간 이 책이 미국 전역의 많은 대학과 신학대학원의 교실에서 폭넓게 사용된 것으로 입증되었다. 우리는 이 책이 그렇게 받아들여진 것에 대해 대단히 만족스럽고, 무엇보다도 책의 집필에 참여한 저자들에 대한 찬사로 본다. 도서목록을 보면 여전히 이 책과 같은 책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여러 성서비평 방법과 그 적용을 전문가들이 다양하게 접근하여 폭넓은 독자에게 제공하려는 목적을 가진 단행본이다. 그러나 성서학의 풍경은 다른 학문 분야와 마찬가지로 항상 변화한다. 그래서 우리는 두 번째, 개정판을 내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웨스트민스터 존 녹스 출판사 편집자들의 지지와 관심은 초판 때처럼 우리의 판단이 정확했다는 것을 확신시켜 주었다.
지난 몇 해 동안 우리는 이 책을 어떻게 개선할지에 대해 많은 제안을 받았다. 그런 제안들은 보통 특정 장(chapter)(항상 같은 장은 아니고)에 관한 것이었고, 흔히 그 장이 다룬 접근방법을 통해 연구하는 개인들이 보낸 제안들이었다. 우리는 이것을 성서학 분야 속에 있는 다양성의 표시로 본다. 같은 방법으로 연구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그 방법을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에 대한 합의가 없다. 우리는 이 책을 개정하기 위해 코멘트와 제안을 보내온 모든 사람들에게 깊이 감사드린다. 우리는 모든 제안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책의 강점을 향상시키는 한편 비판받은 부분을 개선하려는 희망을 가지고 이 개정판을 내게 되었다.
개정판은 세 가지를 반영했다. 첫째, 각 성서비평 방법을 쓴 저자들이 적합하다고 판단하면, 자신의 글을 개정하여 새롭게 만들 기회를 갖게 했다. 결국 그들은 다양한 접근방법으로 연구하는 전문가들이고, 애당초 이 책의 성공을 가져온 것은 그들의 글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각각의 저자들에게 자신의 지속적인 연구와 그 분야의 발전 상황을 반영하여 글을 다시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 어떤 이들은 상당히 많이 개정했으며, 어떤 이들은 전혀 개정하지 않았다. 또 어떤 이들은 해당 방법론을 위한 도서목록만 새롭게 바꾸었다. 우리의 목적은 초판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독자들에게 성서비평 분야의 각 방법을, 그 최신 내용을 담아 명료하게 설명하는 것이었다.
세 번째 종류의 개정은 전혀 새로운 글을 개정판에 추가한 것이다. 성서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해석들은 최근 몇 년간 상당히 많아졌다. 이런 동향과 해석들에 동력을 공급하는 다양한 이데올로기를 적합하게 인정하여, 우리는 초판의 페미니스트비평 외에도 이데올로기적 해석을 추가했다. 페르난도 세고비아(Fernando Segovia)가 우리의 초대를 받아들여 글을 써주어서 매우 기쁘다. 그의 글은 남미 해방신학의 입장에서 성서(특히 신약)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접근방법을 잘 보여준다.
성서학 분야에서 학자들과 학문은 계속 다양해지고 있다. 이 개정판에 실린 새로운 글과 대체된 글은 이러한 발전을 반영하는데, 저자들의 정체성, 배경, 사회적 상황 면에서 그 다양성을 향상시켰다. 이 다양화 과정이 미래에도 지속되면서, 성서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법의 필요성과 연구자들 사이에 대화할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질 것이다. 우리는 이 책이 성서를 연구하는 옛 학생들과 새로운 학생들이 성서를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많은 접근방법들과 더 친숙하게 되도록 도움으로써 그 대화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