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88997371518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16-01-30
책 소개
목차
■ 저자의 말
Ⅰ 서론
Ⅱ 한국전쟁체험 창작모티브
1. 한국전쟁체험과 전쟁트라우마
2. 전쟁·분단제재소설의 연구담론
3. 전쟁체험의 재구(再構)
4. 전쟁트라우마의 내재화
5. 한국전쟁체험 창작모티브의 소설화 양상
Ⅲ 근대성·도시일상성 창작모티브
1. 근대성·도시일상성 담론의 전개 양상
2. 도시소설·세태소설의 연구담론
3. 문화변동인식
4. 비판적 세태인식
5. 근대성·도시일상성 창작모티브의 소설화 양상
Ⅳ 여성문제 창작모티브
1. 페미니즘담론의 전개 양상
2. 한국 페미니즘소설의 연구담론
3. 여성주체의 각성
4. 모성과 생명주의
5. 여성문제 창작모티브의 소설화 양상
Ⅴ 노년문제 창작모티브
1. 노년문학담론의 전개 양상
2. 노년소설의 연구담론
3. 노년소설의 개념 규정
4. 내적 노년인식
5. 외적 노년인식
6. 노년문제 창작모티브의 소설화 양상
Ⅵ 박완서의 작품세계
박완서 소설의 창작모티브 연구 초록
■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박완서의 작품을 분석하고 의미를 찾는 방식에는 여러 형식이 존재한다. 이때 주목해야 할 것은 그가 체험에 의한 기억으로부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는 점이다. 즉, 그에게는 강력한 창작동인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네 가지로 분류한 그의 창작동인을 추적하다보면 박완서 문학세계의 원류에 닿을 것이라는 가설 아래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Ⅰ 서론 중에서
박완서는 타고난 이야기꾼이다. 작가는 이것이 어머니로부터 전수된 재능이라고 했다. 어머니에 의해 독창적으로 재해석된 옛이야기들을 들으며 성장한 그는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이야깃거리와 조우(遭遇)하게 된다. 전쟁은 국가적으로도 그렇고 박완서 개인에게도 극복하기 힘든 비극의 한 장이었지만, 박완서라는 소설가를 탄생시킨 극적 사건이었음에는 틀림없다. 그의 소설을 논하기 위해서는 박완서의 유년의 뜰과 가족 그리고 그가 체험한 한국전쟁을 반드시 들여다봐야 한다. “경험하지 않은 것은 못 쓴다”는 작가의 평소 고백을 그의 작품들이 고스란히 증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Ⅱ 한국전쟁체험 창작모티브 중에서
소설이란 시민계급에 의한 근대의 산물이다. 소설이 산문을 지배하게 된 시대의 문학이 근대문학이다. 20세기의 소설은 인간 심리나 사회에 대한 관심과 흥미로부터 출발하고, 프로이트나 마르크스의 영향력이 문학의 영역까지 밀려든다. 여러 세계관이 교차하는 인간의 내면은 문학의 영원한 탐구대상이다. 그렇다면 인간의 내면을 지배하는 강력한 기제는 무엇인가. 인간의 삶터면서 때론 개개인이 뛰어넘을 수 없는 권력적 억압기제로 작용하는 사회라는 울타리는 역사와 환경을 따라 변화 또는 진화하며 인간에게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인류 역사상 커다란 획을 그을 수 있는 기점을 꼽아본다면 중세 봉건제로부터 근대 산업화사회로의 이행지점일 것이다. “근대성은 도시다”란 말처럼 근대화, 산업화, 도시화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로 서로 복잡하게 얽혀 상호작용하며 진화·발전하였다.
- Ⅲ 근대성·도시일상성 창작모티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