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88997379286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13-08-20
책 소개
목차
서문 : 나는 어떻게 골드러시에 뛰어들었나
PART 1. 새로운 황금시대, 미래 산업 지도를 바꾸다
SECTION 1 또 한 번의 산업혁명
누구나 발견할 수 있는 자연의 아름다움 ┃숫자로 보는 생체모사의 잠재력 ┃자연을 모방한 인류의 역사┃해변의 채집자, CEO가 되다
SECTION 2 자연의 전략 : 무엇이 세상을 움직이는가
태초에 나선구조가 있었다 ┃아르키메데스 펌프와 제트 펌프 ┃지적 재산이라는 황금알
SECTION 3 혁신의 미래 : 인간의 본성에 주목하라
거대한 실패를 넘어 ┃ 친환경 산업의 딜레마 ┃왜 연구실 밖에서 아이디어를 찾지 않을까 ┃충분함에 대한 감각
PART 2. 생체모방, 비즈니스를 만나다
SECTION 4 바다의 비밀: 기업가를 위한 해저 2만 리
미션 1 - 속도를 디자인하라 ┃미션 2 - 밀착시켜 효율을 높여라 ┃미션 3 - 에너지를 만들어라┃자연에게 실수란 없다┃고래를 모사한 보트┃바다를 바라보는 기업가의 꿈
SECTION 5 비늘과 깃털: 자연의 날고 기고 뛰는 것들
자연의 화학자, 거머리와 지렁이 ┃미 국방성이 뱀을 연구하는 이유┃깃털로 덮인 공기 역학의 세계 ┃NASA의 인공 날개, 고도를 높이다
SECTION 6 벌의 무릎 : 우주를 향한 자연의 영감
최고의 비행사, 최고의 건축가 ┃거미와 바퀴벌레의 생존법 ┃나비에 매혹된 인간, 빛을 만들다 ┃나를 물지 마세요 ┃물을 다루는 기술자들┃우주로 가는 문을 열다
SECTION 7 홀씨와 씨앗 : 생로병사의 해법과 미래의 도시
버섯은 무한한 치료제다┃지구 정화 박테리아┃바다를 여행하는 코코넛┃꽃으로 건물을 깨끗하게┃나뭇잎의 노동, 자본이 된 씨앗┃숲에서 발견한 미래 건축
SECTION 8 조가비 구슬 : 지구의 DNA 지도를 밝히는 기술
딱딱하고도 예리한 아이디어┃완벽한 에너지 해결책과 그 적들┃홍합 접착제의 성공┃자연은 우연에 투자하는 법이 없다┃화학 연구실의 보물 상자
PART 3. 창조경제 스타트업, 자연이 답이다
SECTION 9 기업 정글 : 누가 살아남는가
생체모사 비즈니스 운영의 세 가지 원칙┃기술은 문화적 차이와 편견을 극복한다┃좌절의 순간을 넘어서는 회복탄력성┃패러다임 전환은 장기전이다┃새로운 방식의 협력 ┃외부의 팀을 모두 이용해 돌진하라 ┃팀워크란 직관과 인내다 ┃시장은 학습 시간이 필요하다 ┃통제할 수 있는 것에만 집중하라 ┃특허를 꼭 받아야 할까 ┃ 시장을 장악하는 정확한 타이밍
SECTION 10 돈의 냄새 : 초기 투자부터 상장까지
비즈니스에서의 친구 ┃엔젤 투자자들의 날개 위┃벤처 캐피털이라는 도박┃창업가를 위한 구원의 손길 ┃가지 않은 길을 후회하지 않는 법
SECTION 11 비즈니스의 재편 : 우리가 자연에서 꼭 배워야 하는 것들
숲, 비즈니스 스쿨이 되다 ┃녹색 화학의 지속가능성┃자연이라면 어떻게 할까 ┃새로운 CEO의 등장 ┃38억 년의 영감 ┃생존자를 모방하라
맺음말 : 당신의 황금시대를 상상하라
주석
이미지 출처
리뷰
책속에서
“지금은 과학과 기술에 있어 대단히 흥미로운 시대이다. 나는 지구와 인류의 새로운 황금시대를 디자인하는 데 자연의 가르침을 적용하는 일이 가진 가능성에 매일 고무된다. 생체모방은 우리를 그곳으로 데려다줄 것이다. 당신이 CEO든, 기업의 직원이든, 제조업자이든, 기업가이든, 정치가나 작은 업체의 소유주, 회사를 차리려는 대학생, 학생들과 긍정적인 선택의 가능성을 공유하고자 하는 교사이든, 단순히 이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해 호기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든 이 하나의 메시지만은 크고 명확하게 전달되었으면 하는 것이 나의 바람이다. 우리는 우리 자신과 자녀들, 지구를 위해 보다 풍요로고,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창조할 수 있다.”
“바다에서 눈을 돌려 집으로 향하려는 찰나, 나는 모래 위에 있는 부서진 소라껍데기를 발견했다. 나는 그 소라껍데기를 집어 들고 손바닥에서 뒤집어보았다. 현장에서의 경험을 통해 자연은 언제나 최소한의 에너지와 최소한의 원료를 이용해서 일을 해낸다는 것도 알고 있었다. 조개껍데기를 만든 생물체는 가장 저항이 적고, 마모가 덜 되고, 힘이 덜 들고, 재료가 덜 필요하게끔 집으로 들어가는 길을 만든 것이다. 그 순간 나는 이것으로 생계를 유지할 방법을 깨달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