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바다맛 기행 2

바다맛 기행 2

(바다에서 건져 올린 맛의 문화사)

김준 (지은이)
자연과생태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9,3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바다맛 기행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바다맛 기행 2 (바다에서 건져 올린 맛의 문화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사
· ISBN : 9788997429592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5-10-16

책 소개

<바다맛 기행> 두 번째 이야기. 고등어, 삼치 등 자주 밥상에서 마주하는 바다생물의 이야기는 물론, 바다생물이 거쳐 온 생명으로서의 여정과 오늘날 우리 바다가 처한 현실, 그 바다에 기대 울고 웃는 어촌 사람들의 일상까지 무게감 있게 다루고 있다.

목차

삼치 -가을 전어는 잊어도 좋다 … 8
고등어 -우리 바다에 살아 줘서 고마워 … 18
갈치 -딸아, 갈치는 네모가 아니란다 … 28
대하 -가을바람이 분다, 서해로 가야겠다 … 38
꽁치 -바다가 낳고 바람이 키우는 생선 … 49
꽃게 -왕도 탐한 그 맛 … 58
개불 -겨울 갯벌의 반가운 손님 … 68
망둑어 -어물전에서 뛸 만하다 … 79
도루묵 -겨울 동해의 진객 … 90
꼬막 -산 자도 죽은 자도 잊지 못하는 맛 … 102
도치 -고성의 겨울을 지키는 효자 … 116
방어 -겨울바다의 귀공자 … 126
간재미 -한번 빠지면 헤어 나올 수 없는 매력 … 135
대게 -다리가 길어 슬픈 게 … 145
홍합 -훌륭한 요리이자 천연 조미료 … 156
새조개 -참새, 바다에 들다 … 166
도다리 -봄에는 도다리가 아니라 도다리쑥국 … 174
조기 -구수산 철쭉은 피었건만 … 183
강달이 -오뉴월에는 짭짤한 강달이젓이 당긴다 … 195
뱀장어 -강과 바다에 걸친 신비 … 204
자리돔 -자리회 다섯 번이면 보약이 필요 없다 … 215
농어 -바라만 봐도 좋은 바다의 팔등신 … 226
갑오징어 -더위야 이제 물러나라 … 235
우뭇가사리 -불등가사리·참풀가사리 ?가사리 삼형제, 갯바위를 덮다 … 244
갯장어 -늦여름 최고의 복달임을 찾다 … 254
우럭 -입맛과 손맛의 지존 … 263
바지락 -바다맛의 감초 … 271

저자소개

김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 곡성 산골 마을에서 태어나 중학교를 졸업하고 광주로 이사를 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전남대학교 사회학과에 입학했다. 병역을 마치고 동 대학원에 진학해 사회사, 미시사, 지역사에 관심을 가졌다. 농촌과 농민운동 연구로 석사학위를 마친 후 어촌 공동체를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도서문화연구원에서 10여 년 동안 연구교수로 있으면서 섬 문화·어촌 공동체·갯벌 문화 등을 연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생소한 어촌 사회학의 연구 대상과 방법을 찾고자 했다. 2008년부터 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위원으로 섬·어촌·문화·관광 관련 정책을 발굴하며, 섬과 갯벌의 가치를 사람들과 나누는 글을 쓰고 있다. 또 슬로피시 운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30여 년을 섬과 바다를 배회한 것은 섬살이와 갯살림에서 오래된 미래를 찾을 수 있다는 희망에서다. 현재 전남대학교 학술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동안 『나는 갯벌의 다정한 친구가 되기로 했다』, 『섬살이, 섬밥상』, 『바다 인문학』, 『바닷마을 인문학』(2020년 우수환경도서), 『섬:살이』, 『물고기가 왜?』(2016년 우수환경도서, 2017년 책따세 추천도서), 『어떤 소금을 먹을까?』(2014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청소년 권장도서, 2014년 한국과학창의재단 우수과학도서), 『대한민국 갯벌 문화 사전』, 『김준의 갯벌 이야기』, 『바다에 취하고 사람에 취하는 섬 여행』, 『새만금은 갯벌이다』, 『갯벌을 가다』, 『섬문화 답사기』(전6권), 『바다맛 기행』(전3권) 등의 책을 펴냈다. 또 바다와 갯벌 냄새가 물씬 나는 ‘섬과 여성’, ‘바닷물 백 바가지 소금 한 줌’, ‘갯살림을 하다’, ‘소금밭에 머물다’ 등 해양 문화 사진전을 열기도 했다. 지금도 갯벌과 바다, 섬과 어촌을 찾고 그 가치를 기록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삼치를 양념장에 찍어 김에 싸서 묵은 김치를 얹어 먹는 것이 완도식이라면, 여수식은 삼치를 김에 싼 후 양념된장과 돌산갓김치를 올리고 마늘과 고추냉이를 얹어서 먹는다. 또 파릇파릇한 봄동(월동배추) 산지인 해남 땅끝에서는 봄동에 삼치를 올리고 묵은 김치를 더해서 먹는 방법이 인기다. 겨울 해풍 속에서 자란 푸릇푸릇한 봄동과 겨울바다를 누비며 산란을 준비하던 삼치가 만나는 것이다.


내가 본 개불잡이 중 가장 가슴이 아팠던 것은 새만금의 개불잡이였다. 새만금은 백합 주산지였던 부안과 김제, 군산의 갯벌을 매립하면서 만들어진 지명이다. 이곳 주민들은 개불을 심하게 잡지 않았다. 돈이 되고 쉽게 잡을 수 있는 백합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방조제가 생기고 나서 백합이 점점 줄어들자 개불을 잡기 시작했다. 이때 등장한 어법이 ‘뽐뿌배’였다. 갯벌에 수압이 강한 물을 쏘아서 바닥을 뒤집어 개불, 모시조개, 백합, 바지락 등을 닥치는 대로 잡았다. 특히 개불잡이가 심했다. 갯벌생태계가 파괴되는 것은 당연했다. 어차피 막혀서 육지가 될 판이니 먼저 잡는 사람이 임자라는 식이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