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88997472581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4-01-10
책 소개
목차
서론
1. 타키자와 카츠미의 신학적 가치
2. 본서의 문제의식과 방향성
1장┃타키자와 카츠미의 문제의식
1. 타키자와 신학의 원점
2. 「신앙」과 「페르소나」의 논점
3. 타키자와 신학의 배후와 문제의식
4. 타키자와의 문제의식과 두 편의 논문
5. 타키자와의 문제의식속의 두 가지 축
2장┃타키자와 신학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타키자와 신학의 뼈대
2. 타키자와 신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3. 타키자와 신학에서의 예수그리스도의 매개성
4. 타키자와 신학의 신학적 자리
5. 오늘날의 타키자와 신학의 의의
3장┃타키자와의 종교 간 대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타키자와의 종교 간 대화
2. 타키자와의 종교 간 대화를 둘러싼 문제점
3. 타키자와의 종교 간 대화에 대한 평가와 비판
4. 타키자와의 종교 간 대화의 의의
4장┃타키자와 신학에 대한 선교론적 검토
1. 타키자와 신학의 선교론적 이해
2. 1960년대 일본의 토착화 논의
3. 토착화 논의에 대한 타키자와 신학의 적용
4. 타키자와 신학의 선교론적 가능성
5장┃타키자와 신학의 한계와 과제
1. 한축의 어긋남
2. 한축의 폭주
3. 타키자와 신학의 과제
4. 새로운 불가역의 의미와 신학적 보완
결론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런데 우리가 종교적 체험의 측면에서 그러한 과정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본다면, 그것이 단지 철학에서 신학으로 넘어가는 과정이 아니라, 그 전체를 하나의 종교적 체험의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그가 직면했던 인생의 근본 문제는, 철학적 문제였을 뿐만 아니라, ‘종교적 근본문제’ 로도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타키자와의 해석으로부터 발생하는 비판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 것일까. 우선 타키자와의 해석에 대하여, 앞서 본 바와 같은 비판이 제기될 수 있으며, 그것은 타키자와와 바르트의 상이성으로부터 나온 것이라는 사실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동시에 타키자와는 그에 대한 반론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 타키자와와 바르트의 공통성에 근거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타키자와 신학에서 교회론이나 선교론이 독립된 카테고리로 전개되지 않았다고 해서, 타키자와가 그것을 다루지 않았다고 할 수는 없다. 실제로 그의 저작을 주의 깊게 읽어 본다면, 교회론이나 선교론, 성례전론 등의 주제는 그의 최초의 신학논문인 「신앙」으로부터 시작하여 후의 저작에서도 여러 번 전개되었다. 그에게 있어서 선교는 ‘단지 그 주어와의 관계 속에서만 의미를 갖는 술어로서’ 라는 전제를 두기는 하나, ‘선교는 기독교적인 생활의 유일한 이정표이며, 구원을 가져오는 강력한 길(방법)’ 이라고 이해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