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97496624
· 쪽수 : 335쪽
· 출판일 : 2022-01-31
책 소개
목차
서문
서론
1. 생태 문제와 그리스도교
2. 생태신학의 접근 유형
2.1 인간 중심적 접근
2.2 생태 중심적 접근
2.3 신 중심적 접근
3. 통합적 방식으로서 삼위일체적 접근과 신학적 생태론
제1장 삼위일체에 관한 전통적 이해
1.1 삼위일체론의 위격과 단일성에 관한 문제
1.1.1 카파도키아 교부들의 관계적 이해
1.1.2 아우구스티누스와 심리적 유비
1.1.3 토마스 아퀴나스
1.2 사회적 삼위일체론과 한계
1.2.1 성 빅토르의 리처드와 사랑의 유비
1.2.2 피오레의 요아킴과 역사적 이해
1.2.3 삼위일체론의 새로운 해석과 생태론
제2장 칼 라너의 삼위일체론과 생태론
2.1 라너 신학의 배경적 사유: 초월 철학
2.1.1 인간학적 초월 철학
2.1.2 세계 내 정신으로서의 인간
2.1.3 하느님의 자기-전달
2.2 하느님 자기-전달의 존재 방식
2.2.1 삼위일체에 관한 초월 신학적 해석
2.2.2 하느님의 ‘위격’ 개념
2.2.3 삼위일체와 실재상징
2.3 하느님의 세계 내 존재방식
2.3.1 육화와 위격적 결합
2.3.2 세 위격의 고유성과 세계와의 관계
2.3.3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의 일치
2.4 라너 신학에 관한 비판과 의의
2.4.1 비판적 접근
2.4.2 생태론적 의의와 한계
제3장 조셉 브락켄의 삼위일체론과 생태론
3.1 브락켄 신학의 배경적 사유: 과정 사상
3.1.1 존재론의 전환으로서 과정과 실재
3.1.2 존재들의 공동체적 상호 내재 구조
3.1.3 양극적 신 이해
3.2 사회적 실체로서의 존재
3.2.1 구조를 갖는 활동의 장
3.2.2 공동체와 공동 행위자
3.2.3 상호주체성
3.3 하느님 매트릭스
3.3.1 하느님 창조 활동의 장
3.3.2 위격들의 고유성과 세계와의 관계
3.4 브락켄 삼위일체론에 관한 비판과 의의
3.4.1 비판적 접근
3.4.2 생태론적 의의와 한계
제4장 레오나르도 보프의 삼위일체론과 생태론
4.1 보프 신학의 배경: 해방신학
4.1.1 해방신학 방법론
4.1.2 해방신학과 삼위일체론
4.2 사회의 모형으로서의 삼위일체
4.2.1 일치의 원리인 페리코레시스
4.2.2 평등과 자유 사회의 모형
4.2.3 영감의 원천이며 판단 원리
4.3 삼위일체와 해방
4.3.1 해방의 기원이자 목표인 성부
4.3.2 해방의 중재자로서 성자
4.3.3 해방의 동력인 성령
4.4 보프의 삼위일체론에 관한 비판과 의의
4.4.1 비판적 접근
4.4.2 생태론적 의의와 한계
제5장 삼위일체적 전망에 따른 생태신학의 구성
5.1 하느님의 세계 내재성과 초월성
5.1.1 하느님-세계 관계의 생태론적 구조
5.1.2 육화와 위격적 결합의 생태론적 의미
5.1.3 하느님 창조 매트릭스 안의 세계
5.1.4 세계 내 인간의 위치
5.2 창조물의 내재적 가치와 고유성
5.2.1 창조물의 내재적 가치의 기초: 창조와 육화
5.2.2 창조의 지속적 발생
5.2.3 삼위일체의 성사이며 신비인 창조계
5.3 세계의 상호연결 관계에 대한 삼위일체적 전망
5.3.1 세계의 상호 연결 관계의 기초: 페리코레시스
5.3.2 상호 연결 구조의 실재론: 사회적 실체와 상호주체성
5.3.3 세계의 우주적 전망과 신비적 태도
결 론
저자소개
책속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리스도교의 근원적 경험과 계시에 기반을 두고 있는 삼위일체론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한 신학을 기반으로 생태론의 주제들에 관한 담론을 탐구하여, 그리스도교 신론에 기반을 두는 생태론을 구성하는 것이다.
물질적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과 생명체 혹은 모든 계기들이 그것을 창조한 주인인 하느님의 의지와 연결되어 기원한다고 이해하는 것은 생태계 전체의 구성원이 창조주의 의지와 질서에 의한 내재적 가치를 빠짐없이 갖고 있다는 것을 확증한다.
삼위일체가 전망하는 세계는 개체의 주체성을 넘어 공동체적 상호주체성이 작용하며 상호 내주적 친교를 이루는 생태적 공동체이다. 하느님을 향한 친교의 공동체로서의 교회는 궁극적으로 세계에 구원을 제공하고 그것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은총을 부여하는 성삼위의 존재 방식을 따른다. 그것은 교회의 각 구성원이 각자의 역할과 기능에 의하여 고유한 가치를 갖는 다양한 모습으로 공동체적 친교의 일치를 이룸으로써 생태적인 교회의 모습을 갖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