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88997620166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2-06-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5
프롤로그
: 고전에서 감성을 읽다 15
∥ 감성 혹은 감성적인 것들 17
∥ 감성과 정서, 그리고 문학 22
∥ 감성의 발현과 그 실체로서의 고전 29
∥ 고전과 감성, 여백 혹은 여백의 미 41
제1장Ⅰ감성의 배제와 베풂 49
제1절 송광사의 <목우도>와 선시의 감성 51
1. 선시에서 감성을 읽다 51
2. 송광사에서 마음소를 찾다 55
∥ 마음소를 찾는 그림, <목우도> 58
∥ 인지와 수행 그리고 감성의 배제 61
∥ 오도와 시법 그리고 감성의 베풂 83
제2절 태고총림 선암사와 침굉의 불교가사 97
1. 선계의 바윗길에서 침굉을 부르다 101
2. 침굉가사, 태평을 어디 두고 그저 돌아가려하는가 101
∥ 불교가사의 계보, 나옹에서 학명까지 101
∥ 역동하는 감성, 치열한 현실 인식 107
제2장Ⅰ감성의 발현 127
제1절 시조와 감성의 발현 129
1. 구조에서 감성 찾기 129
2. 네 가지 방식으로 시조를 말하다 133
∥ 사물과 사물의 맞섬 133
∥ 사물로서 역동하는 느낌 138
∥ 느낌으로 호명되는 사물 143
∥ 느낌과 느낌의 중첩 148
3. 고산 <오우가>를 다시 읽다 154
제2절 사설시조와 날 것의 감성 161
∥ 성욕 혹은 애욕 162
∥ 불승에 대한 비하 171
∥ 비판과 저항 178
∥ 갈등과 차별 181
제3장Ⅰ감성의 습합 191
제1절 <운외몽중> 시첩과 선취의 습합 193
1. 선의 향기에 취하다 193
2. <운외몽중>, 구름 밖의 구름 꿈속의 꿈 196
제2절 초의와 차, 그리고 소통 212
1. 한국의 다성 초의를 만나다 212
∥ 초의, 불이의 삶과 교유 212
∥ 차, 그리고 <동다송>과 <다신전> 216
2. 다선일미, 노래로 음미하다 221
3. 방외청교, 소통을 꿈꾸다 231
∥ <동다송>의 인연, 해거도인 홍현주 231
∥ 일여의 지음, 자하 신위 237
∥ 청교의 중심, 완당 김정희 245
에필로그
: 감성치유와 고전 다시 읽기를 제안하며 273
1. 차이가 치유를 부르다 275
2. 시조로 치유하기 281
∥ 비하를 통해 위안을 얻다 284
∥ 인정을 통해 포용을 얻다 290
3. 에필로그 301
참고문헌 304
찾아보기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