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97631681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16-11-10
목차
서문 곽서춘
한국어본 서문 주한광
역자서문 임진호
서론
왜, 고대수학과 철학의 관계를 연구해야 하는가?
중국의 고대수학과 철학 연계는 일반적인 대세이다
제1장 선진수학의 발전과 그 인식론의 의미
중국의 수학기원에 관한 전설
상商나라 시기의 수학
서주西周부터 춘추전국까지 수학의 발전
수학 발전에 있어서 인식론의 의미
제2장 《관자管子》의 중수重數사상
제齊나라의 학술 번영과 “구구九九” 수학자
《관자管子》의 중수사상과 법치사상
중수重數사상의 경제, 군사, 외교적 응용
제齊나라 수학 발전에 끼친 중수사상의 영향
제3장 《노자老子》의 수리數理철학
우주 진화의 수리數理적 유형
변증법적 수학의 개념
제4장 《주역周易》의 의수倚數―극수極數―역수逆數 수리관數理觀
“의수倚數” ― 수학적 방법에 의거하여 세계를 인식하는 사상
“극수極數” ― 극수極數의 변화와 규칙을 탐구하는 사상
“역수逆數” ― 술수術數를 운용해 미래를 예측하는 사상
제5장 혜시惠施학파 수학의 배리背理적 철학 기초
“대일大一”과 “소일小一”에 관하여
“한 자 길이의 채찍을 매일 반씩 분할하면, 만대가 되어도
다하지 않는다.”
기타 수학의 불합리성
제6장 공손용公孫龍의 “이무일二無一”론― 전체와 부분의 변증법적 사상
“이무일二無一”론論에 대한 판별과 분석
인식사認識史에 있어서 “이무일二無一”론의 지위와 작용
제7장 손빈孫?의 대책론과 군사軍事 변증법
경마시합 가운데 보이는 대책론의 맹아
대책론對策論의 발생과 군사 변증법
제8장 《묵경墨經》의 수학과 논리
《묵경墨經》의 수학적 지식과 형식논리
수학적 개념으로 본 《묵경墨經》의 변증사상
제9장 선진시대 유가儒家와 고대 수학
공자·맹자, 그리고 순자의 수학관
고대 수학에 대한 유가사상의 영향
제10장 선진시대 철학의 “하나一”에 대한 고찰
“하나一”와 선진시대 우주관의 발전
“하나一”와 선진시대 인식론의 발전
“하나一”와 선진시대 방법론의 발전
“하나一”와 선진시대 사회역사관의 발전
“하나一”가 철학적 범주가 된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