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88997763016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2-12-15
책 소개
목차
시작하는 글 인성의 울타리를 세우며
이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 당신은 어디에 이름을 남기려는가?
1장|세상을 지배하는 단 하나의 법칙, 성(性)
01. 성(性)은 제 모습을 갖추는 과정이다
성(性)의 진실/어른과 애늙은이의 차이
02. 인성은 공식이다
자세히 관찰하면 깨달을 수 있다/고정관념 없이 변화는 없다
03. 박완순의 인성공식
인간의 일생 : 진정한 변태란 무엇인가?/나를 알기 : 나는 왜 남들과 다를까?/타인 알기 : 사람들은 왜 똑같을까?/조직의 특성 : 조직의 쓴맛이란 무엇일까?/조직문화 : 조직을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인성 행동 : 떨어지는 낙엽에도 이유가 있을까?/어른의 인성 덕목 : 최고의 유산은 무엇인가?
04. 성, 세상을 지배하는 단 하나의 법칙
성, 도, 교의 원리/교육은 기술이 아니다
05. 인성의 충실한 동반자 4개의 성
자성(自性) : 자신의 위대함 알기/타성(惰性) : 자신의 위대함 스스로 숨기기/활성(活性) : 잃어버린 위대함 되찾기/감성(感性) : 타인의 위대함 알기
2장|인성의 첫 번째 틀 : 인간의 일생
01. 나이대별 인간의 변화(1)
제1사춘기 : 남녀칠세부동석/이팔청춘
02. 나이대별 인간의 변화(2)
제3사춘기 : 인생의 변곡점/제4사춘기 : 인생의 도서관
3장|인성의 두 번째 틀 : 나를 알기
01. 위대한 나를 찾아가는 길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다/나는 누구인가?
02. 개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4계절에 빗댄 인간의 특징/개성을 알아야 관계가 보인다
4장|인성의 세 번째 틀 : 타인 알기
01. 모든 고객, 모든 인간은 왕이다
서비스와 인간, 고객은 한통속이다/뇌를 알면 인간이 보인다
02. 뇌와 인간의 공통된 특성
이기적이고, 독선적이다/부평초이다/재생이 불가하다/의심이 기본이다/인상적이지 않은 것은 망각한다/모든 정보의 본거지이다/항상 최우선적인 보호대상이다.
5장|인성의 네 번째 틀 : 조직의 특성
01. 조직은 사람이다
조직은 살아 움직인다/조직은 인조인간이다
02. 조직의 7가지 특성
환경 변화에 적응한다/생존경쟁을 한다/부분과 전체가 일치한다/신진대사를 한다/협조하며 공생한다/정보체계가 완벽하다/종을 번식한다
6장|인성의 다섯 번째 틀 : 조직문화
01. 문화, 모든 것을 지배하는 절대자
문화란 무엇인가/절대적이며 강력한 문화의 힘
02. 조직문화는 어떻게 작용하는가?
조직 이미지 통합 전략/조직문화 형성의 3단계
03. 조직문화를 형성할 때 고려사항
7장|인성의 여섯 번째 틀 : 인성 행동
01. 생각은 말을, 말은 행동을 낳는다
관계를 형성하는 3가지 열쇠/마법을 불러일으키는 3가지 언어
02. 언어 편(대화) : 향기 나는 약, 냄새 없는 독
03. 인사 편 : 인사는 인상을 바꾸고 인생을 변화시킨다
04. 표정과 몸동작 언어 편 : 얼굴과 몸으로 그리는 마음의 지도
05. 자세 편 : 나의 독립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빗장
팔짱 끼기/다리 꼬고 앉기/소리
06. 조직처세 편 : 슬기로운 조직 적응
회의 : 상사를 격려하는 자리/업무 : 실력보다 신뢰가 우선이다/여흥 : 진정한 프로의 무대/일터 : 사소한 것에 목숨을 걸어라
8장|인성의 일곱 번째 틀 : 어른의 인성 덕목
01. 어른정신과 리더십
리더십의 출현 배경/리더십의 개념
02. 리더십 구축단계
제1단계 : 창업(創業)-울타리 쌓기/제2단계 : 선발(選拔)-도태시키기/제3단계 : 수용(收容)-식구로 인정하기/제4단계 : 육성(育成)-내 사람 만들기/제5단계 : 활성(活性)-능력 키워주기/제6단계 : 제시(提示)-길 안내하기/제7단계 : 양도(讓渡)-자리 물려주기
03. 다시 새로운 시작을 위하여
이 글을 마치며 인성의 울타리를 위에서
책속에서
성은 인간에게도 적용된다. 난자와 정자가 수정되어 어린아이가 되고, 어린아이가 자라 어른이 되는 과정 역시 성으로 표현된다. 남자아이가 자라서 어른이 된 상태를 남성, 여자아이가 자라서 어른이 된 상태를 여성이라 한다. 남성과 여성을 동시에 칭하는 공통
분모는 ‘사람 인(人)’이다. 따라서 인성(人性)이란 사람이 태어나 어린이(子)와 학생(學生)이라는 과정을 거쳐 자신의 생각을 비춰볼 마음의 거울을 가진 어른으로 완성된 상태를 일컫는다.
_<인성공부 1장·세상을 지배하는 단 하나의 법칙, 성(性)> 중에서
인간은 태어나 본능의 지배를 받는 어린이, 합리적인 것들을 배우고 물어 지혜와 지식을 넓히는 학생, 사회에 진출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는 사회인으로 정신적 변화와 역할의 변화를 거쳐야 비로소 어른이 된다. 중용에서 언급한 도(道)란 어린이, 즉 어리석은 아이가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어른이 되어가는 것을 말한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남녀지간의 적절치 못한 관계를 외도라고 말한다. 그러나 사실 외도는 그보다 훨씬 깊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도란 나이에 상관없이 하늘의 명을 받아 끊임없이 정신과 육체를 연마하여 어른에 이르는 과정을 말한다. 그리고 외도란 이를 벗어났을 때를 총칭한다.
그렇다면 외도를 한 사람은 어떻게 해야 할까?
매로 엄히 다스리거나 회유나 설득, 가르침을 통해 어른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행위를 교(敎)라 하며, 교를 통해 올바른 인간으로 길러내는 작업을 교육(敎育)이라 한다.
_<인성공부 1장·세상을 지배하는 단 하나의 법칙, 성(性)> 중에서
280일가량의 임신 기간을 거친 후 출산을 하고 12개월이 지나면 우리 나이로 3살이 된다. 그전까지 아이는 자신과 엄마를 한 몸으로 여겨 엄마와 떨어지려고 하지 않는다. 그러나 3살이 되면 달라진다. 아이는 자신이 독립된 개체라는 것을 알게 된다. 거울을 보여주면 자신을 알고 웃기 시작하고, 살아가는 방법을 배우려고 스스로 애를 쓰는 독립의 단계로 접어든다. 이때를 학자들은 ‘거울의 단계’ 혹은 ‘독립의 단계’라 부른다.
하지만 이성적인 판단능력이 부족해 가까이에 있는 부모형제의 행동을 그대로 따라 한다. 이 과정이 새끼 새가 어미 새의 날갯짓(羽)을 스스로(自) 백 번(百)을 따라 하며 나는 방법을 배우는 것과 비슷하다 하여 ‘익힐 습(習)’이라는 단어가 탄생하였다. 아이가 모든 행동을 수없이 반복함으로써 자신의 것으로 만든다는 의미에서 이 시기를 ‘학습기간’이라 한다. 계절에 비유하면 만물이 소생하는 봄에 해당된다.
_<2장·인성의 첫 번째 틀 : 인간의 일생>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