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이야기
· ISBN : 9788997835959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5-03-10
책 소개
목차
editorial
‘회복’하는 미술_ 윤동희
art & sight
2014 광주비엔날레 / 2014 부산비엔날레 / 미디어시티서울 2014
New Artist
전통적인 풍경화의 목적과 의미를 묻고 싶습니다_ 정재원
New Artist
마음속 어떤 물음 그리고 울음_ 송보경
a. school
작가 이지현이 사는 법_ 이지현
a. school
채움과 비움, 공간을 그리다_ 정보영
a. school
우리는 왜? 나는 왜?_ 이은실
Curator+Artist
작업이라고 부르지 않는 것_ 김장언+이수성
yBa
상대방의 사유에 균열을 내는 미술, 누군가에게 감동을 안겨주는 예술_ 노승표+정덕현
yBa
미술, 나에게 허락된 만큼의 오해 덩어리_ 임영주
art & critic
뭐가 안 보이는지 보려고 _ 구동희 〈밤도둑〉_ 현시원
art & sociology
감정을 먹다 _ 예술, 감정 그리고 사회학_ 김신식
art & book
뉴미디어 시대, 확장하는 큐레토리얼 실천에 대한 조망_ 임산
책속에서
작업이 잘 풀리지 않는 건 너무나 당연해요. 그림이 너무 잘 그려지면 타성에 젖어서 그저 ‘그리기’만 할 수 있어요. 작업이 아무렇지도 않게, 즉 너무 편안하다면 그걸 불편하게 생각해야 해요. 그 지점에서 작가로서의 고민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저는 “작가로 사는 것이 불안하지 않으세요?”라는 질문을 받을 때마다 “그게 왜 문제가 되나요?”라고 되묻고 싶어요. 제가 아기를 뱃속에 품고 물감을 멀리하던 시간이 있었어요. 그 시절, ‘이러다 그림을 그리지 않고 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잠깐 한 적이 있어요. 그때 아쉬움과 상실감을 겪었기 때문에 지금 이렇게 다시 그릴 수 있는 상황을 감사해하며 더 열심히 그리게 되었어요. 오늘 강연 제목을 정하는 것이 전시 제목을 정하는 것보다 더 힘들었거든요. 결국 고민 끝에, 작가에게는 생활이, 그러니까 사는 얘기가 곧 작업이라는 생각을 했어요.
- 이지현 ‘작가 이지현이 사는 법’ 중에서
보통 그림을 그릴 때 자신이 소재를 선택하고 이걸 어떻게 그려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작업에 들어가는데요. 어떤 확신이 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면 당연히 고민하는 시간이 길어지죠. 그 고민을 손으로 해결하는 게 중요합니다. 고민은 반쯤 접어두고 많이 그리는 게 중요해요. 내가 왜 이리 힘들게, 무슨 부귀영화를 누리겠다고 그리고 있나, 라는 생각이 들잖아요. 그럴 때마다 저는 ‘그래, 손해 보는 셈 치자’ ‘내가 좀 미치긴 했지’라는 생각으로 다작을 했어요. 어떤 그림을 봤을 때 이게 그림인가 싶은 그림도 있잖아요. 이런 그림들도 스무 점 정도를 모아두면 얘기가 되거든요. 개인전을 하는 게 중요한 이유가 여기 있어요. 다작을 해서 보여줘야만 자신만의 어떤 조형 언어를 만들 수 있고 거기서 한 단계 또 나아갈 수 있는 거잖아요. 다작을 한다는 게 참 중요합니다.
- 정보영 ‘채움과 비움, 공간을 그리다’ 중에서
내가 대안공간의 큐레이터로 일하면서 대학원을 다니고 있었을 때, 지도교수는 나에게 이렇게 이야기했다. “왜 자신의 일과 공부 그리고 삶을 결합시키지 못하고 있나요?” 우리는 늘 분리에 익숙해져 있다. 그것이 미덕인 시절도 있었다. 결합은 단순히 어긋난 그 지점을 다시 붙이는 것에 머물지 않을 것이다. 분리된 지점의 상처와 흔적은 결코 지워질 수 없는 것이다. 결합은 어쩌면 다른 곳에서 이루어지는 것인지도 모른다. 나는 그에게 그 결합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이야기했다.
- 김장언+이수성, ‘작업이라고 부르지 않는 것’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