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경제
· ISBN : 9788997870257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17-06-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_ 세상을 변화시키는 작은 실천, 삶에서 배우는 행복을 위한 돈 쓰기
프롤로그_내가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돈은 얼마일까
1교시_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것은 돈일까?
과제 ‘나의 보물’|진짜 ‘보물’은 무엇일까|마지막까지 남긴 카드는 무엇일까|어른들이 말하는 ‘나의 보물’
칼럼 ① 복권을 샀다! 1등에 당첨됐다!
2교시_ 돈과 사회, 사람과의 관계
돌고 돌아서 돈이다|‘보이는 돈’과 ‘보이지 않는 돈’|‘보이지 않는 돈’으로 유지되는 ‘보이는 돈’|급여명세표로 사회를 볼 수 있다|나만의 라이프스타일을 정한다
칼럼 ② 일과 생활의 균형
3교시_ 현명한 소비자란 무엇일까?
소비자란 누구일까|수입과 지출의 균형을 생각한다|동전의 양면을 본다 |문제를 피하는 방법과 대처 방법
칼럼 ③ 우리가 욕망을 대하는 방법
4교시_ 나답게 살자
‘나답다’란 어떤 의미일까|진정한 나를 파악하는 작업|용돈기입장을 적으면 보이는 것들|용돈기입장을 써보자|개량형 용돈기입장| 예산과 결산 |자신의 힘으로 설 수 없을 때
칼럼 ③ 우리가 욕망을 대하는 방법
급식시간_ 오사카 사람은 입맛이 까다롭다?
5교시_ 나답게 살자
생산자와 나 |이웃집 부엌을 마음대로 드나들 수 있는 관계|돈을 개입시킬지 말지는 자신이 결정한다|나는 내 것일까|전체의 일부인 나| 행복이 중심인 돈 사용법
에필로그_서로 공존할 수 있는 돈의 사용법을 익혀야 행복한 사람이 된다
리뷰
책속에서
우리가 찢어버린 카드에도 중요한 역할이 있다. ‘보물’로 뽑혔다가 버려진 이 카드들을 찢을 때의 아픔과 정도가 그 중요성을 나타낸다. 인생에서 완전한 소유는 없다. 살다보면 자신의 것이라고 생각했던 물건, 일, 사람도 결국 온전히 자신의 것은 아니다. 자신의 육체조차 그렇다. 그것은 누구도 피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반대로 ‘그러니까 더욱 소중히 하자’고 생각할 수 있다. 잃을 때의 아픔을 상상해서 그것이 곁에 있는 ‘지금 이 순간’의 소중함을 다시 느끼게 되기 때문이다.
본격적으로 돈에 대한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자신이 무엇을 소중히 생각하는지 지금 알아두는 것은 무척 의미 있는 작업이다. 소중한 것은 순간순간 변한다. 이 과제가 아니더라도 우리가 살아가면서 가끔씩 ‘지금의 나는 무엇을 소중히 여길까’ 하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묻는 시간을 갖자고 제안한다. 우리의 의미 있는 삶을 위해 말이다.
<1교시_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것은 돈일까?> 중에서
‘복권이 당첨되어도 계속 일을 할까?’라는 두 번째 질문에는 ‘복권에 당첨되어도 일은 평소처럼 하겠다’는 대답이 90%가 넘었다. ‘복권에 당첨되면 예상되는 나쁜 일’을 묻는 세 번째 질문에는 ‘모르는 친척이 갑자기 나타난다’, ‘돈을 보고 접근하는 사람이 많아질 것 같다’, ‘범죄의 표적이 될 것 같다’는 답변 외에 ‘일에 집중하지 않아 실패할 것 같다’, ‘금전감각을 잃을 것 같다’는 현실적인 대답도 많았다.
네 번째의 ‘결혼에 관한 질문’에는 ‘화려하게 치를 것 같다’, ‘해외에서 식을 올리겠다’는 답도 있었는데 ‘평범하게 하겠다’는 학생이 더 많았다. 단, 복권 1등에 당첨된 사실은 ‘결혼 상대에게 알리지 않겠다’고 쓴 사람이 대다수였다. 이렇듯 어려도 알 건 다 안다.
‘복권을 살까, 사지 않을까’라는 마지막 질문에서는 의견이 나뉘었다. ‘산다’는 사람과 ‘사지 않는다’는 사람이 거의 반반이었다. ‘사지 않는다’는 사람 중에는 ‘사도 당첨되지 않으니까’라는 이유가 가장 많았고 간혹 ‘내 생활비는 직접 벌고 싶다’는 고등학생의 귀감이 될 법한 학생도 있었다. ‘산다’는 쪽에서는 ‘한 방 터뜨려 보고 싶다’는 이유가 많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사실은 완전히 반대였다. 하나같이 1등에는 당첨되지 않을 거라면서도 ‘설렘을 느껴보고 싶다’, ‘잠시라도 꿈을 꿔보고 싶다’는 이유로 복권을 살 거라고 대답했다.
앞의 자료에서 보았듯이 복권에 당첨될 확률은 매우 낮다. 그래서 ‘당첨된다’거나 ‘당첨되어서 꼭 어떤 것을 하자’라는 목표가 아니라 ‘재미로 즐기는 여유’로 생각해야 한다. 복권이 아니면 안 된다는 생각을 갖고 구입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학생들도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현실에서 당첨금 액수는 점점 커지고 있다. 나중에는 해외 복권처럼 수백억 원에 이를지도 모른다. 하지만 당첨금만 노려 복권을 구입하는 사람이 늘지 않았으면 좋겠다.
<칼럼 ① 복권을 샀다! 1등에 당첨됐다! >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