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97889952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6-03-31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5 | 서문 6
1부 | ‘전통적인’ 질서
1장. ‘노동자계급’은 누구인가? 14
1. 노동자계급과 나: 접근 방식의 문제 14
2. 누가 노동자계급인가: 개략적인 정의 22
2장. 사람이 있는 풍경: 그들이 사는 환경 34
1. 구전 전통, 저항과 순응, 공식적인 생활양식 34
2. “내 집만한 곳이 없다” 43
3. 어머니 54
4. 아버지 73
5. 이웃 80
3장. ‘그들’과 ‘우리’ 99
1. ‘그들’: 자존심 99
2. ‘우리’: 최선과 최악 111
3. ‘참고 견디기’: “너는 너 나는 나” 128
4장. 대중의 ‘실제’ 세계 144
1. 개인적인 것과 구체적인 것 144
2. ‘진정한’ 삶과 종교 158
3. 대중잡지들의 삶 묘사법 170
5장. 풍요로운 삶 188
1. 바로, 지금, 즐겁게: 운명과 행운 188
2. ‘세상에서 가장 큰 엽란’: ‘바로크’ 시대로 떠나는 당일치기 여행 200
3. 클럽에서 노래하기 214
2부 | 새로운 것에 밀려나다
6장. 느슨해진 활력 244
1. 전통적인 것과 새로운 것 244
2. 관용과 자유 253
3. “누구나 다 한다” 혹은 “모두가 여기에 있다”: 집단의식과 민주주의적 평등주의 258
4. 현재를 살아가는 것과 ‘진보주의’ 275
5. 무관심주의: ‘개인화’와 ‘파편화’ 284
7장. ‘솜사탕 같은 세상으로의 초대’: 새로운 대중예술의 등장 302
1. 대중문학 생산자 303
2. 주간 가족전문지 변화 과정 묘사 310
3. 상업적인 대중음악 변화 과정 묘사 327
4. 결과: 거대한 획일화 342
8장. 요즘의 양산형 예술: 화려한 섹스 꾸러미 364
1. 주크박스 소년들 364
2. ‘자극적인’ 잡지 370
3. 섹스-폭력 소설 379
9장. 탄력을 잃은 용수철: 긴장감이 사라진 회의주의에 대한 기록 406
1. 회의주의에서 냉소주의로 406
2. 우화적인 인물들 423
10장. 탄력을 잃은 용수철: 유리되고 불안한 사람들에 대한 기록 434
1. 장학생들 434
2. 문화의 자리: 이상에 대한 향수 456
11장. 결론 477
1. 회복력 477
2. 오늘날의 대중문화 요약 495
옮긴이의 말 517 | 주 528 | 참고문헌 544 | 찾아보기 548
리뷰
책속에서
놀라운 사실일지도 모르지만, 대체로 이 세상은 우리에게 위대한 행동가가 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우리의 삶은 웅장하지도 않고 놀랄 만한 영웅주의가 필요하지도 않으며, 드라마틱하거나 미사여구로 수식될 만한 부분이 없다는 것이 삶의 비극인 것도 아니다.
결국 노동자계급이 세상을 ‘우리’와 ‘그들’로 나누는 것은 추상적이거나 일반적인 문제에 맞서는 것을 어려워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노동자계급은 대체로 이론이나 사회운동 같은 것에 별로 관심이 없다. 이들은 대체로 자신들이 현 상황을 더 나은 모습으로 개선할 수 있다거나 굉장히 많은 돈을 벌 수 있으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들은 사람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마치 소설가처럼 인간의 개인적인 행동과 인간관계의 양상에 매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