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새로운 시각으로 보는 개항기 조선

새로운 시각으로 보는 개항기 조선

현광호 (지은이)
유니스토리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0원
2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새로운 시각으로 보는 개항기 조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새로운 시각으로 보는 개항기 조선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97916467
· 쪽수 : 379쪽
· 출판일 : 2015-03-27

책 소개

외교문서, 기행문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서구의 조선 인식과 접근, 조선의 서구 인식과 대응을 서술하였다. 1부 '한국의 열강 접근', 2부 '고종의 외세 대응', 3부 '열강의 한국 접근'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 Foreword 5


제1부 한국의 열강 접근

1장 조선은 미국을 어떤 국가로 인식했을까 15

1. 조선 사회의 미국 인식은 어떠했나_15
2. 고종은 미국을 세계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국가로 인식했다_16
3. 미국인들을 특별 대우했다_19
4. 워싱턴에 주미공사관을 설치한 이유는_21
5. 미국을 활용해 근대화를 추구했다_22
6. 미국을 활용해 청에 대항했다._25
7. 미국을 외교 자문으로 활용했다_28
8. 미국을 통해 군사력을 강화하고자 했다_30
9. 미국에 대한 고종의 기대는 한계를 안고 있었다_32

2장 조선은 프랑스를 어떻게 인식했을까 35

1. 수교 전후 조선 사회의 프랑스 인식_35
2. 고종은 프랑스와의 수교의지가 강했다_36
3. 지배층은 왜 프랑스를 배척했을까_38
4. 서민들은 프랑스인을 어떻게 대했을까_41
5. 고종은 왜 프랑스에 접근했을까_46
6. 고종은 프랑스를 어떤 용도로 활용했을까_49
7. 대한제국에게 프랑스는 어떤 의미를 지녔을까_54

3장 조선은 일본을 어떤 시각으로 보았을까 57

1. 일본과의 수교를 주도했다_57
2. 일본으로부터 근대화의 도움을 받으려 했다_65
3. 일본의 동양평화론에 관심을 표명했다._67
4. 일본의 군사력에 관심을 보였다_71
5. 일본의 망명자 비호를 경계했다_76
6. 일본을 이용하여 러시아를 견제하려 했다_77
7. 일본의 침략 가능성을 주시했다_78

4장 조선은 러시아를 어떻게 인식했나 87

1. 러시아의 첫 인상은 어떠했을까_87
2. 러시아와 수교한 까닭은_90
3. 러시아의 도움으로 국권을 유지하려 했다_92
4. 러시아를 경계한 이유는_94
5. 러시아를 활용하여 일본을 견제하려 했다_97
6. 러시아가 한반도 중립화를 지원하기를 기대했다_98
7. 러일전쟁 이후 러시아와의 관계는_100


제2부 고종의 외세 대응

5장 고종은 왜 파천을 시도했을까 107

1. 1896년의 아관파천_108
2. 1898년의 미관파천, 영관파천 타진_112
3. 러 일의 대립과 파천 추진_114

6장 고종은 왜 황제가 되려 했을까 121

1. 칭제 논의의 개시_121
2. 신료의 칭제 건의 의도_122
3. 고종의 칭제 의도_127
4. 칭제에 대한 열강의 반응_128

7장 고종은 어떻게 영세중립국을 추구했나 135

1. 미국을 통한 중립화를 시도했다_136
2. 유럽 열강과의 긴밀한 외교를 추진했다_139
3. 국제회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_141
4. 중립화 추진세력은 국제정세를 어떻게 인식했나_143
5. 중립화는 왜 실패했을까_146

8장 고종은 왜 공사를 파견했을까 151

1. 고종의 공사 파견 시도_152
2. 청일전쟁 발발 직후 공사 파견_159
3. 대한제국 수립 직후 고종의 공사 파견_164
4. 의화단사건 직후 고종의 공사 파견_166
5. 제1차 영일동맹 체결 직후 고종의 공사 파견_171
6. 러일전쟁 발발 전후 고종의 공사 파견_175

9장 고종은 왜 징병제 시행을 못했을까 181

1. 징병제 시행을 처음 논의한 때는_181
2. 의화단사건 때 징병제실시론_187
3. 영일동맹과 징병제실시론_191
4. 징병제는 왜 무산됐나_195


제3부 열강의 한국 접근

10장 미국은 조선을 어떤 시각으로 보았을까 203

1. 미국은 왜 중국의 한국 지배를 반대했을까_203
2. 조선 주재 미국 공사는 어떻게 해서 자유재량권을 행사했을까_205
3. 조선을 보는 긍정적 시선_205
4. 조선을 보는 부정적 시선_209
5. 미국 공사가 조선 문제에 적극 개입한 배경은_212
6. 미국 공사가 조선에 대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 배경은_215
7. 미국은 어떤 방식으로 조선을 지원했을까_216
8. 미국 공사가 기피한 조선 정치인은_217
9. 미국 공사가 선호한 조선 정치인은_218

11장 영국은 조선을 어떤 시각으로 보았을까 221

1. 영국은 고종의 외교를 어떻게 인식했을까_221
2. 주요 정치인 인식_224
3. 주한 영국 공사가 가장 경계한 정치인은 누구였을까_225
4. 제1차 영일동맹 체결 이후 영국 공사는 대한제국에서 무슨 일을 했을까_228

12장 프랑스는 조선을 어떻게 인식했을까 233

1. 고종 인식_235
2. 양반, 관리층 인식_239
3. 민중 인식_242

13장 일본은 왜 대한제국과 군사협정을 체결하려 했을까 247

1. 1894년 조일공수동맹_247
2. 1900년의 한일군사동맹 교섭_249
3. 고종의 삼국동맹 검토_255
4. 박제순의 방일과 한일동맹 교섭_257
5. 제1차 영일동맹과 한일군사동맹_261
6. 러일전쟁과 한일동맹_263

14장 열강은 독립협회운동을 어떻게 보았을까 267

1. 미국은 독립협회운동에 어떻게 대응했을까_269
2. 프랑스는 독립협회운동에 어떻게 대응했을까_289
3. 영국은 독립협회운동에 어떻게 대응했을까_298
4. 러시아는 독립협회운동에 어떻게 대응했을까_305
5. 일본은 독립협회운동에 어떻게 대응했을까_313

15장 열강은 대한제국의 영세중립국 추진에 어떻게 대응했을까 327

1. 미국의 대응_328
2. 프랑스의 대응_330
3. 러시아의 대응_331
4. 영국의 대응_333
5. 일본의 대응_335

16장 서구인은 대한제국의 주권 상실 원인을 어떻게 분석했을까 337

1. 미국의 분석_337
2. 프랑스의 분석_340
3. 영국의 분석_348
4. 러시아의 분석_351

17장 100여 년 전 열강이 조선을 보는 시선은 현재의 대한제국에 어떤 시사를 줄까 357

1. 서구인들은 조선인의 자질을 어떻게 인식했을까_357
2. 서구인들은 조선의 발전 가능성을 어떻게 예측했을까_359
3. 서구인들은 조선 사회의 문제점을 무엇이라 인식했을까_361
4. 서구인들의 지적이 현재의 한국에 주는 시사점_364


참고문헌 367
찾아보기 373

저자소개

현광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교 한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세계화의 시각에서 한국근대사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 <대한제국의 대외정책>, 2002. <대한제국과 러시아 그리고 일본>, 2007. <한국 근대 사상가의 동아시아 인식>, 2009. <세계화시대의 한국근대사>, 2010. <세계화시대의 한국현대사>, 2010. <서구 열강과 조선>, 2011. <고종은 외세에 어떻게 대응했는가>, 2011. <대한제국의 재조명>, 2014. <새로운 시각으로 보는 개항기 조선>, 2015.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