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88997916498
· 쪽수 : 625쪽
· 출판일 : 2015-09-15
목차
서문 5
총론 15
1부 가야·신라 노래
1장
<구지가>와 수로탄강의례
1. 머리말 30
2. 수로탄강을 위한 의례 31
3. <구지가> 해석 44
4. 맺음말 52
2장
<서동요>와 이야기 주인공
1. 머리말 54
2. 서동설화와 <서동요>의 연구 현황 55
3. <서동요>를 둘러싼 상황 60
4. <서동요>의 성격 74
5. 맺음말 77
3장
<헌화가>의 노인은 누구인가?
1. 머리말 79
2. 기존 해독의 검토 80
3. 기존 해석의 검토 83
4. 관련기록에 대한 이해 86
5. <헌화가> 해석 96
6. 맺음말 99
4장
<처용가>와 처용의 정체
1. 머리말 101
2. 처용과 용과의 관계 102
3. 처용과 보좌왕정輔佐王政 111
4. 처용과 벽사진경 邪進慶 116
5. 처용가 해석 119
6. 맺음말 124
5장
처용(가)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1. 머리말 126
2. 연구 경향별 검토 127
3. 마무리 151
2부 고려 노래
6장
<유구곡>과 <벌곡조>
1. 머리말 165
2. 노래말 통석 165
3. <벌곡조>와의 관계 168
4. 노래의 의미와 창작의도 173
5. 맺음말 176
7장
?삼국유사?의 ‘일연찬시’ 연구
1. 머리말 178
2. 선시禪詩와 찬시讚詩 179
3. 찬시讚詩의 전개와 그 양상 183
4. 선적禪的 상징象徵에 의한 시적詩的 의미意味 194
5. 일연一然의 인생관 199
6. 맺음말 200
8장
<삼장>·<사룡> 다시 읽기
1. 머리말 203
2. 원사原詞에 대한 재고再考 204
3. 작자와 연대 214
4. 삼장三藏 223
5. 사룡蛇龍 228
6. 맺음말 231
9장
<가시리> 다시 읽기
1. 머리말 233
2. 노랫말 해석 234
3. 다른 노래와의 관계 237
4. 형식의 문제 238
5. 내용 243
6. 맺음말 245
10장
<서경별곡> 노래 말과 노래 가락
1. 머리말 247
2. 별곡別曲에 대하여 248
3. 본 노랫말의 문제 253
4. <서경별곡>의 의미 258
5. 맺음말 268
11장
<이상곡>의 작자는 누구인가?
1. 머리말 270
2. 노랫말과 그 통석 271
3. 관련기록 검토 280
4. 노랫말의 해석 290
5. 맺음말 294
12장
<청산별곡>의 구성과 주제
1. 머리말 297
2. 노랫말 형성에 대하여 298
3. 해석을 위한 논의 302
4. 구조 307
5. 맺음말 312
13장
<정석가>와 ‘딩하돌하’에 대하여
1. 머리말 314
2. 노랫말 형성에 대하여 315
3. 악조樂調 321
4. 송도지사頌禱之詞 324
5. 구호치어口號致語 329
6. 딩아돌하의 의미 331
7. 노랫말 해석 336
8. 맺음말 342
14장
<쌍화점>과 <삼장>에 대하여
1. 머리말 345
2. <쌍화점>과 <삼장>의 관련 문제 347
3. 작자 및 향수층 348
4. 노랫말의 생성 문제 351
5. <쌍화점>의 의미 354
6. 맺음말 360
15장
고려 <처용가>와 놀이
1. 머리말 362
2. 강腔과 엽葉 363
3. 관련 문헌 검토 370
4. 형식 377
5. 내용 380
6. 맺음말 383
3부 경기체가와 무가
16장
<한림별곡> 연구의 현황과 전망
1. 머리말 387
2. 연구의 현황 388
3. 연구의 전망 415
4. 맺음말 416
17장
안축安軸의 <관동별곡>에 대하여
1. 머리말 419
2. 제작 연대 420
3. <관동별곡>의 생성 배경 422
4. <관동별곡>의 내용 426
5. 맺음말 443
18장
안축의 <죽계별곡>에 대하여
1. 머리말 444
2. 제작 연대 445
3. 형식 446
4. 선학지여善謔之餘 449
5. <죽계별곡>의 성격 453
6. 맺음말 462
19장
안축安軸과 그의 자연관
-기記?한시漢詩를 중심으로-
1. 머리말 464
2. 안축의 가계와 이력 465
3. 안축의 자연관 471
4. 맺음말 481
20장
권근의 <상대별곡>
1. 머리말 483
2. 가계와 이력 484
3. 제작 연대 492
4. 형태적 특질 493
5. 내용 501
6. 맺음말 505
21장
?시용향악보?의 <삼성대왕>
1. 머리말 506
2. ‘삼성대왕’의 실체 507
3. 창작 연대 514
4. 노래의 성격 519
5. 맺음말 521
22장
유영과 그의 <구월산별곡>
1. 머리말 523
2. 유영의 가계와 이력 524
3. 구월산九月山과의 관계 535
4. 작품의 내용과 특성 538
5. 맺음말 545
23장
자암의 남해생활과 문학
-<화전별곡花田別曲>의 성격 파악을 위해-
1. 머리말 547
2. 가계와 이력 548
3. 자암의 서울 생활과 남해 생활 552
4. <화전별곡>의 성격 565
5. 맺음말 572
24장
주세붕의 경기체가 연구
-형태 변이의 양상과 창작 배경-
1. 머리말 574
2. 신재의 경기체가에 대한 인식 태도 576
3. 형태 변이의 양상과 그 배경 582
4. 시가사적 의의 589
5. 맺음말 591
참고문헌 594
찾아보기 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