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2 : 전라도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2 : 전라도

(숨겨진 우리 땅의 아름다움을 찾아서)

신정일 (지은이)
다음생각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7,1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2 : 전라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2 : 전라도 (숨겨진 우리 땅의 아름다움을 찾아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88998035044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2-10-05

책 소개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시리즈 2권 '전라도' 편. 무주, 전주, 군산, 익산, 광주 등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곳곳을 누비며 미륵사지, 섬진강, 무등산, 남고산성, 무장읍성, 도산리 고인돌, 화엄사 등 우리의 역사가 서린 곳을 소개한다.

목차

전라도 12대 길지
저자의 말
추천글

1 첩첩산중의 대명사 무진장 지역

인걸은 땅의 영기로 태어나는 것
산은 높고 그 물줄기는 길고
강낭콩보다 푸른 절개
상수리와 밤을 저장하던 무주
사돈의 팔촌에 정승 하나 없다

2 후백제의 도읍지 온고을

온전한 땅 전주
전주를 굽어보는 남고산성
후백제의 도읍지 완산
중국의 오월과 교류를 맺다
물왕말에는 백제 왕궁의 석축만 남아
남국의 인재가 몰려 있는 전주
세상에 오는 것은 돌아감을 뜻함이니

3 금강의 하류 군산

오성산에서 금강을 바라보다
『탁류』의 작가 채만식
쌀의 집산지 군산
마한의 옛 땅이었던 익산시
동양 최대의 절터 미륵사지
화암사 가는 길
구릿골, 그 유토피아의 땅

4 고부고을에 얽힌 사연

내장산과 「정읍사」의 고장
동학의 땅 정읍
나라 안에서 가장 살 만한 땅
그대의 집은 곧 나의 집이니
유형원과 허균이 좋아했던 마을
아나키스트 백정기의 고향
모양성에는 여름 햇살만 남아
판소리 연구가 신재효와 도산리 고인돌
동학농민운동의 발상지 무장읍성
3천여 승려와 89개의 암자를 거느렸던 대가람
선운산 지역이 배출한 인물들
법성포항의 영광 굴비
원불교 창시자인 박중빈이 태어난 곳
불갑산 불갑사

5 수지니, 날지니가 쉬어 넘는 고개

해동청, 보라매도 쉬어 넘는 고개
갈애바위의 전설
고을의 판세가 한양과 흡사하다
집강소를 설치하지 못했던 나주
작은 서울이었던 나주

6 영산강 유역의 고을들

영산강은 어디로 흘러가는가
사공의 뱃노래 가물거리면
나비 축제와 함평 고구마
월출산 밑 고을 영암
달은 청천에서 뜨지 않고
중국으로 가던 뱃길
섬진강의 발원지는 어디인가?
덕태산 방면에 어린 용이 보이다

7 살 제 남원, 죽어 임실

여러 산이 줄지어 있고 물 한줄기 둘러 흐른다
신포 개장국과 의견제
『산경표』를 지은 신경준의 고향
교룡산 자락에 펼쳐진 남원
남접이 시작된 선국사
운봉고원이 있는 곳
섬진강 물 맑은 유곡나루에
지리산녀가 사는 구례
화엄사 각황전
모든 산의 으뜸인 지리산
남한의 3대 길지 운조루

8 무등산을 바라보다

대나무가 많은 담양
광주, 그 영원한 도시
풍속이 화순한 고을
김삿갓의 마지막을 지켜본 동복
백성은 순박하고 일은 간략하고
보성과 벌교 그리고 『태백산맥』
흐린 물과 탁한 물
소록도가 있는 고흥군

9 산과 물이 기이한 순천

산과 물이 기이하고
금전산과 낙안읍성
향일암과 한려수도
여수의 진남관과 종고산
영취산 아래의 흥국사
봄 진달래가 아름다운 영취산
땅이 남쪽 바다에 닿았다
다산 정약용의 숨결이 남아 있는 강진군
다산초당에서 저술에 몰두하다

10 다도해 주변 고을

장보고와 청해진
보길도, 그 아름다운 곳
남쪽 나라 따뜻하여 겨울에도 눈이 없고
불교 남방전래설은 설화로 남고
삼남대로가 시작되는 이진항
진도, 그 유배의 땅
벽파진에 다리가 놓이고

저자소개

신정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사학자이자 도보여행가, 전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역사와 문화 관련 저술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작가이자 우리나라 산, 강, 섬, 바다, 자연을 40여 년 주유했던 대한민국 대표 도보여행자이다. 1980년 10월, 2년 6개월의 제주도 생활을 청산하고 전주에 자리 잡았다. 1980년대 중반 홍토현문화연구소를 발족해 동학과 동학과 동학농민혁명을 재조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사업을 펼쳤고, 1989년부터 문화유산답사 프로그램을 만들어 현재까지 진행하고 있다. 1994년 동학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사업회에 참가했다. 한국의 10대 강 도보답사를 기획해 금강에서 압록강까지 답사를 마쳤고, 우리나라 옛길인 영남-관동-삼남대로를 도보로 답사했으며, 부산에서 통일전망대까지 걷고 해파랑길을 만들었다. 한국의 산 500여 곳을 오르기도 했다. 2005년 시작된 우리땅걷기 모임의 대표를 맡고 있으며, 포털 다음의 카페 ‘길 위의 인문학 우리땅 걷기’에 글을 올리고 있다. 전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전 산림청 국가산림문화자산 심사위원으로 활동했다. 저서로 《신택리지》 시리즈(11권)와 《왕릉 가는길》 《길을 걷다가 문득 떠오른 생각》 《대동여지도로 사라진 옛 고을을 가다》 시리즈(3권), 여행자를 위한 도시 인문학 《전주·완주》, 《공주·부여》, 《꿈속에서라도 꼭 가고 싶은 곳》 《동해 바닷가 길을 걷다》 《가슴 설레는 걷기 여행》 《신정일의 동학답사기》 등 100여 권이 있다. JTV 전주방송 프로그램 ‘신정일의 천년의 길’에 출연했고, 유튜브 ‘길 위의 철학자 우리 땅 걷기’를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