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소중한 경험

소중한 경험

(김형경 독서 성장 에세이)

김형경 (지은이)
사람풍경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소중한 경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소중한 경험 (김형경 독서 성장 에세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독서에세이
· ISBN : 9788998280093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15-07-28

책 소개

김형경의 여섯 번째 심리 에세이. 저자가 첫 심리 에세이 <사람 풍경>을 출간한 이후 10년 동안 독자들과 나눈 대화와 소통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쓴 책이다. 저자는 특히 후배 여성들과 '독서 모임'을 만들어 진행해왔다. 그 소중한 경험에서 도출된 노하우를 정리하여 수록하였다.

목차

Chapter 1
독서 모임, 둥글고 고요한 공간
독서 모임은 어떻게 성장을 돕나 17
성찰하는 책 읽기 28
자기표현 말하기 38
공감적 듣기 경험 50
감정 역동 다루기 57
실천을 통해 변화하기 65
자기분석 노트 쓰기 75
독서 모임 만드는 방법 84

Chapter 2
아픈 경험에서 배우기
내 인생은 왜 힘든가요? 97
내면 아이는 몇 살인가요? 102
잘 관계 맺는 듯 보이는 것들 107
타인을 가해자로 만드는 박해감을 아시나요? 112
타인을 신뢰할 수 있는 능력 117
나르시시스트의 세상에서 살아남는 법 122
고통을 감당할 수 있는 능력 128
마음속에 머물 공간이 있나요? 133
정서적 자기 경계를 갖는다는 것 138
감정이 대물림되는 몇 가지 방식 143
독이 든 양분, 독이 되는 부모 148
부모가 먼저 변화해야 한다는 것 153

Chapter 3
실패 경험에서 배우기
생의 에너지는 어디서 얻나요? 161
사랑은 자랑하지 아니하고 167
삶에 필요한 몇 가지 용기 172
자기 삶의 바깥에서 서성이는 사람들 177
서른 살에 친구 문제로 고민한다는 것 182
수치심과 죄책감을 안은 채 살아가기 187
연애와 결혼의 환상과 마주하기 192
창의성은 어디서 오나요? 197
도덕은 무엇에 쓰는 물건인가요? 202
삶의 십진법과 정신 발달 단계 207
자기 삶의 주인이 된다는 것 212
종교의 효능은 무엇인가요? 217

Chapter 4
타인의 경험에서 배우기
부모와 자녀 세대가 소통하는 방식 225
박탈과 결핍의 문화를 넘어서 230
여성 직장인이 치르는 장애물 경주 235
남녀가 화해롭게 지내는 세상을 위하여 240
차별과 모욕의 문화를 넘어서 247
분노 처리법을 배우지 못한 사람들 252
죽음의 문화를 해결하는 길 위에서 257
우리에게 필요했던 ‘저항’의 시간 262
자기 역사로부터 도망치는 사람들 271

Chapter 5
우리가 읽은 책들
자기 마음 세세히 알아가기 279

【 개별 감정 책 읽기 】

1. 마거릿 폴, 소울 메이트 《내면 아이의 상처 치유하기》
에리카 초피크, 교양인 《내 안의 어린아이》

2. 수잔 포워드, 푸른 육아 《독이 되는 부모》
비벌리 엔젤, 책으로 여는 세상 《좋은 부모의 시작은 자기 치유다》

3. 존 브래드쇼, 학지사 《가족》
세르주 티스롱, 궁리 《가족의 비밀》

4. 로빈 노우드, 북로드 《너무 사랑하는 여자들》
콜레트 다울링, 나라원 《신데렐라 콤플렉스》

5. 샌디 호치키스, 교양인 《나르시시즘의 심리학》
베르벨 바르데츠키, 북폴리오 《여자의 심리학》

6. 수잔 포워드, 서돌 《그들은 협박이라 말하지 않는다》
폴 메이슨, 랜디 크리거, 모멘토 《잡았다, 네가 술래야》

7. 롤프 하우블, 에코 리브르 《시기심》
앤 율라노프, 배리 율라노프,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신데렐라와 그 자매들》

8. 로제 페롱,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아동 자폐증과 정신분석》
프랜시스 터스틴,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자폐 아동을 위한 심리 치료》

9. 앤드류 솔로몬, 민음사 《한낮의 우울》
윌리엄 스타이런, 문학동네 《보이는 어둠》

10. 앨리스 밀러, 양철북 《폭력의 기억, 사랑을 잃어버린 사람들》
보리스 시륄리크, 북하우스 《불행의 놀라운 치유력》

11. 월터 C. 랑거, 솔 《히틀러의 정신분석》
저스틴 프랑크, 교양인 《부시의 정신분석》

12. 어빈 얄롬, 시그마프레스 《폴라와의 여행》
어빈 얄롬, 시그마프레스 《치료의 선물》

무의식 깊이 들어가기 286

【 프로이트 학파 책 읽기 】

1. 프로이트 전집, 열린책들 《정신분석 강의》
프로이트 전집, 열린책들 《새로운 정신분석 강의》

2. 스테판 밋첼, 마가렛 블랙, 한국심리치료연구소 《프로이트 이후》

3. 안나 프로이트, 하나 의학사 《안나 프로이트의 하버드 강좌》
한나 시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멜라니 클라인》

4. R. D. 힌쉘우드,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임상적 클라인》
마가렛 말러,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유아의 심리적 탄생》

5. 제레미 홀름, 학지사 《존 볼비와 애착 이론》
마리오 마론, 시그마 프레스 《애착 이론과 심리 치료》

6. 도널드 위니캇,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성숙 과정과 촉진적 환경》
도널드 위니캇, 한국심리치료연구소 《놀이와 현실》

7. 카렌 호니,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여성 심리학》
카렌 호르나이, 민지사 《자기 분석》

8. 하인즈 코헛,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자기의 회복》
제임스 매스터슨,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참자기》

9. 오토 컨버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대상관계 이론과 임상적 정신분석》
오토 컨버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내면세계와 외부 현실》

10. 엘리자베트 루디네스코, 새물결 《자크 라캉 1, 2》

11. 조안 & 네빌 시밍텅, 눈 《윌프레드 비온 입문》
박아청, 교육 과학사 《에릭슨의 인간 이해》

12. 그레고리 바우어, 학지사 《지금-여기에서의 전이 분석》
패트릭 케이스먼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환자에게 배우기》

집단 무의식과 접속하기 295

【 융 학파 책 읽기 】

1. 카를 구스타프 융, 김영사 《카를 융, 기억 꿈 사상》
칼 구스타프 융 편저, 까치 《사람과 상징》

2. 베레나 카스트, 푸르메 《나를 창조하는 콤플렉스》
베레나 카스트, 푸르메 《어머니 콤플렉스, 아버지 콤플렉스》

3. 이부영, 한길사 《그림자》
로버트 존슨, 에코의 서재 《당신의 그림자가 울고 있다》

4. 에마 융, 동문선 《아니무스와 아니마》
존 샌포드, 아니마 《우울한 남자의 아니마, 화내는 여자의 아니무스》

5. 진 시노다 볼린, 또 하나의 문화 《우리 속에 있는 여신들》
진 시노다 볼린, 또 하나의 문화 《우리 속에 있는 남신들》

6. 이부영, 한길사 《자기와 자기실현》
제임스 홀리스, 리더스하이 《에덴 프로젝트》

7. 제레미 테일러, 성 바오로 《꿈으로 들어가 다시 살아나라》
제레미 테일러, 동연 《사람이 날아다니고 물이 거꾸로 흐르는 곳》

8. 루트 암만, 분석심리학연구소 《융 심리학적 그림 해석》
테오도르 압트, 분석심리학연구소 《융 심리학적 모래놀이 치료》

9. 마이어스 브릭스, 부글북스 《성격의 재발견》
돈 리처드 리소, 러스 허드슨, 한문화 《애니어그램의 지혜》

10. 로버트 블라이, 씨앗을 뿌리는 사람 《무쇠 한스 이야기》
클라리사 에스테스, 이루 《늑대와 함께 달리는 여자들》

11. 대릴 샤프, 북북서 《융, 중년을 말하다》


마음 그 너머의 세계로 확장하기 305

【 심리학과 주변 학문이 만난 책 읽기 】

1. 에리히 프롬 《자유로부터의 도피》
에리히 프롬 《소유냐 삶이냐》

2. 아브라함 매슬로, 문예출판사 《존재의 심리학》
빅터 프랭클, 청아출판사 《죽음의 수용소에서》

3. 데이비드 버스, 추수밭 《위험한 열정, 질투》
매트 리들리, 사이언스북스 《이타적인 유전자》

4. 롤로 메이, 사람풍경《자기를 찾아가는 현대인》(예정)
앤서니 기든스, 새물결 《현대성과 자아 정체성》

5. 데이빗 홀브룩, 한국심리치료연구소 《교육, 허무주의, 생존》
앤서니 기든스, 새물결 《현대 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6. 대니얼 레빈슨,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여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대니얼 레빈슨,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남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7. 낸시 초도로우, 한국심리치료연구소 《모성의 재생산》
미리암 그린스핀, 또 하나의 문화 《우리 속에 숨어 있는 힘》

8. 조셉 캠벨.빌 모이어스, 이끌리오 《신화의 힘》
조셉 캠벨, 한숲 《신화와 함께 하는 삶》

9. 제임스 존슨, 한국심리치료연구소 《현대 정신분석학과 종교》
앤 율라노프,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영성과 심리 치료》

10. 마크 앱스타인, 학지사 《붓다의 심리학》
안도 오사무, 민족사 《명상의 정신의학》

11. 샤론 미잘레스, 시그마프레스 《현대 심리학과 고대의 지혜》
세이무어 부르스타인, 하나 의학사 《자아 초월적 정신치료》

저자소개

김형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났다. 경희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1983년 『문예중앙』 신인상에 시가, 1985년 『문학사상』 신인상에 중편소설 「죽음 잔치」가 당선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로 『새들은 제 이름을 부르며 운다』 『세월』 『울지 말아요, 기타』 『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 『내 사랑은 그 집에서 죽었다』 『외출』 『꽃피는 고래』, 소설집으로 『단종은 키가 작다』 『담배 피우는 여자』, 시집으로 『시에는 옷걸이가 없다』 등이 있으며, 심리 에세이 『남자를 위하여』 『사람 풍경』 『천 개의 공감』 『좋은 이별』 『만 가지 행동』 『소중한 경험』을 펴냈다. 제10회 무영문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독서 모임은 우선 그 자체가 중간 공간 역할을 한다. 내가 아무것도 건네지 않을 때조차 그들은 모임 공간에 앉아 있다는 사실만으로 편안한 유대감을 느끼는 듯했다.”


“독서 모임에서 이야기를 나누다보면 자기 생각에 무수히 많은 오류가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게 된다. 소중히 여겨온 삶의 가치들이 잘못된 인식 위에 서 있다는 사실도 알아차린다. 다른 사람이 꺼내 놓는 삶의 이야기에서 사유의 외연을 넓히고, 타인의 경험에서 구체적인 삶의 지혜를 얻는다.”


독서 모임에 참석하는 이들에게 “당분간 열심히 살지 말 것”을 요청한다. 유아기 생존법을 버리지 못했기 때문에 열심히 살수록 잘못된 결과를 낳는다. 성인으로서의 생존법을 형성할 때까지 열심히 살지 말 것을 당부하면 그들은 또 묻는다. “열심히 살지 않으려면 무엇을 해야 하나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