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산업공학
· ISBN : 9788998366612
· 쪽수 : 720쪽
· 출판일 : 2023-03-14
책 소개
목차
Ⅰ.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시장 실태와 전망 33
1. 탄소중립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원자력발전 시장 33
1-1. 탄소중립과 신재생에너지 33
1) 탄소중립 개요 33
(1) 탄소중립, 기후중립, 넷제로(Net-Zero), RE100, CF100 개념 33
(2) 탄소중립 배경 36
2) 주요국 탄소중립 목표 및 주요 전략 37
(1) EU 37
(2) 미국 39
(3) 중국 43
(4) 일본 45
3)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믹스(MIX) 48
4) 2023년 신재생에너지 관련 글로벌 동향과 이슈 50
(1)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50
(2) 미국, ‘국방물자생산법(DPA)’ 52
(3) EU, 재생에너지 허가 패스트 트랙 53
(4) EU, 에너지 위기 대응 ‘REPowerEU’ 계획 54
(5) EU, 미국 IRA 대응 녹색산업 보호·활성화 계획(안) 56
(6) 세계자원연구소(WRI), 태양광 투자(2030년) 로드맵 58
1-2. 글로벌 원자력발전 시장동향과 전망 60
1) 국내 원자력 발전 동향과 전략 60
(1) 원자력발전의 필요성 60
(2) 국내 원자력발전 현황 64
(3) 원전산업 생태계 복원과 육성 67
(4) 원자력발전 기술개발 동향 72
(5) 원전수출산업화 동향과 전망 74
2) 글로벌 원자력발전 현황과 전략 81
(1) 글로벌 원자력발전 현황 81
(2) 주요국별 원자력발전 추진전략 83
3) 국내외 소형모듈원자로(SMR)개발동향과 전망 87
(1)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동향 87
(2) EU,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계획 91
2. 국내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과 전략 93
2-1.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 현황 93
1)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현황 총괄 93
2) 국내 신재생에너지 업종별 현황 94
(1) 제조업 94
(2) 건설업 95
(3) 발전 및 열공급업 96
(4) 서비스업 97
2-2.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 현황 98
1)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98
(1) 총괄 98
(2) 생산실적 98
2)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및 설비용량 99
(1) 총괄 99
(2) 발전실적 99
(3) 설비용량 100
2-3. 국내 신재생에너지 관련 주요 정책 동향과 추진전략 101
1) 「탄소중립 녹색성장」 추진전략 101
(1) 추진 배경 101
(2) 비전 및 추진전략 105
(3) 탄소중립·녹색성장 4대 전략 12대 과제 107
(4) 추진체계 및 향후계획 126
2) 제10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주요 내용 129
(1) 개요 129
(2) 기본 방향 129
(3) 전력수요 전망 130
(4) 발전설비 계획 131
(5) 발전원별 정책방향 133
(6) 재생에너지 백업설비 구성 134
(7) 발전량 전망 135
(8) 온실가스 배출목표 달성방안 135
(9) 환경 개선효과 136
(10) 전력계통 확충 137
(11) 전력시장 개선(안) 137
3) 제3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2023∼2027) 139
(1) 개요 139
(2) 목표 및 추진전략 141
(3) 주요 추진 과제 142
(4) 투자계획 145
(5) 추진 일정 146
4) 에너지 환경 변화에 따른 재생에너지 정책 개선방안 147
(1) 재생에너지 정책 현황 147
(2) 재생에너지 정책 평가 148
(3) 재생에너지 정책 방향 152
(4) 재생에너지 정책 과제 153
(5) 추진일정 162
3.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시장 동향과 주요국 동향 163
3-1.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동향 163
1)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현황 및 전망 163
(1) 글로벌 동향 163
(2) 국가별 동향 164
(3) 재생에너지원별 동향 168
2)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투자 동향 169
(1) IEA, 2030년까지 청정에너지 투자 2조 달러 이상 증가 전망 169
(2) 글로벌 인프라 펀드(칼라일, 맥쿼리) 재생에너지 사업 투자 170
(3) 중국, 글로벌 재생에너지부문 43% 투자 171
3-2. 주요국 신재생에너지 산업 및 정책 동향 173
1) 미국 173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173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178
2) 캐나다 181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181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185
3) 독일 187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187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192
4) 영국 196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196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00
5) 스페인 204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204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06
6) 중국 208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208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10
7) 일본 213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213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17
8) 호주 222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222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27
9) 인도 231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231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40
10) 브라질 242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242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48
11) 칠레 249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249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54
Ⅱ. 국내외 태양광 발전산업 밸류체인별 동향과 전망 259
1. 태양전지, 모듈 시장 기술 동향 및 전망 259
1-1. 태양전지 259
1) 태양전지 개요 및 분류 259
(1) 태양전지 정의 259
(2) 태양전지의 작동원리와 종류 259
(3) 태양전지의 중요성 및 의의 261
(4) 태양전지 분류 262
(5) 태양전지 Value-Chain 263
2) 주요 차세대 태양전지 264
(1) 염료감응 태양전지(DSSC) 265
(2)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perovskite solar cell) 266
(3) 유기 태양전지(organic solar cell) 269
(4) 양자점 태양전지(quantum dot solar cell) 270
3) 국내외 태양전지 시장 동향과 전망 272
(1) 세계시장 272
(2) 국내시장 273
4) 국내외 태양전지 R&D 동향 274
(1) 차세대 단일접합 태양전지 274
(2) 초고효율 탠덤 태양전지 277
(3) 다기능 태양전지 279
5) 태양전지 기술 및 기업 동향 281
(1) 태양전지 상용화기술 및 활용분야 281
(2) 태양전지 관련 주요 기업 및 산업 동향 284
1-2. 태양광 발전 모듈 및 장치 290
1) 태양광 발전 모듈 및 장치 개요 290
(1) 태양광 발전 모듈 및 장치의 정의 290
(2) 태양광 발전 모듈 및 장치 Value Chain 291
(3) 태양광 발전 모듈 및 장치의 분류 292
2) 국내외 태양광 발전 모듈 시장 동향과 전망 293
(1) 세계시장 293
(2) 국내시장 295
3) 태양광 발전 모듈 및 장치 기술개발 동향 297
(1) 모듈 및 장치 기술개발 동향 297
(2) 국내외 기업 기술 동향 300
2. 태양광 발전산업 시장 동향 및 전망 310
2-1. 태양광 발전산업 개요 및 성장요인 310
1) 태양광 발전산업 개념 310
(1) 태양광 발전의 개요 310
(2) 태양광 발전 Value Chain 311
(3) 태양광 발전 특징 312
(4) 태양광 발전 적용 유형 313
2) 태양광산업 성장요인 315
(1) 태양광산업 성장배경 315
(2) 태양광산업 성장 Cycle 316
2-2. 국내외 태양광산업 시장 동향과 전망 317
1) 글로벌 태양광 발전 시장 규모 및 전망 317
(1) 글로벌 태양광발전 시장 규모 및 전망 317
(2) 세부항목별 시장 규모 및 전망 321
(3) 주요국별 지역별 시장 규모 및 전망 324
2) 태양광 밸류체인별 가격 및 공급망 동향 326
(1) 폴리실리콘 326
(2) 웨이퍼 328
(3) 태양전지 및 모듈 330
3) 주요국 수출입 동향 및 해외 주요기업 실적 동향 335
(1) 주요국 수출입 동향 335
(2) 해외 주요 기업 실적 동향 338
4) 국내 태양광산업 동향과 전망 339
(1) 국내 태양광 설치량(보급량) 339
(2) 국내 태양광발전 시장 규모 및 전망 339
(3) 국내 REC 가격 동향 341
(4) 국내 태양광 밸류체인별 수·출입 동향 342
(5) 국내 주요 태양광 기업 실적 동향 345
2-3. 주목되는 BIPV 시장 동향과 전망 346
1)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개요 및 분류 346
(1) BIPV 정의 346
(2) BIPV 필요성 347
(3) BIPV 분류 349
(4) BIPV Value-Chain 350
2) BIPV의 건물 통합 방법 351
(1) 창호일체형 351
(2) 외벽일체형 352
(3) 지붕일체형 353
(4) 루버형 353
(5) 발코니일체형 354
3) 국내외 BIPV 시장 동향 및 전망 355
(1) 세계 시장 355
(2) 국내 시장 356
4) BIPV로 사용되는 태양전지 기술개발 동향 358
(1) 연료감응형 태양전지 358
(2)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360
(3) 유기 태양전지 360
(4) 양면형 태양전지 362
(5) 투광형 태양전지 363
5) 국내외 기업 기술 개발 동향 365
(1) 해외기업 365
(2) 국내기업 368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372
6) 건물일체형 태양광(BIPV) 산업생태계 활성화 방안 377
(1) BIPV 인정 체계 정립 378
(2) 초기시장 창출을 위한 제도적 지원강화 380
(3) 고부가가치 기술혁신 지원 382
(4) 설계단계부터 BIPV 적용 확대 385
(5) 추진 일정 386
2-4. 주요국별 태양광발전 시장 동향과 전망 388
1) 유럽 388
(1) 독일 태양광 시장 388
(2) 스페인 태양광 시장 393
(3) 헝가리 태양광 시장 397
(4) 이탈리아 태양광 시장 401
(5) 체코 태양광 시장 404
(6) 폴란드 태양광 시장 410
2) 미주 415
(1) 미국 태양광 시장 415
(2) 멕시코 태양광 시장 427
(3) 아르헨티나 태양광 시장 431
(4) 페루 태양광 시장 435
3) 아시아·중동 438
(1) 중국 태양광 시장 438
(2) 일본 태양광 시장 444
(3) 태국 태양광 시장 449
(4) 필리핀 태양광 시장 457
(5) 인도네시아 태양광 시장 461
(6) 베트남 태양광 시장 465
(7) 사우디아라비아 태양광 시장 469
(8) 아랍에미리트 태양광 시장 473
4) 기타(오세아니아, 아프리카) 477
(1) 호주 태양광 시장 477
(2) 남아프리카공화국 태양광 시장 483
(3) 나이지리아 태양광 시장 486
(4) 케냐 태양광 시장 488
(5) 탄자니아 태양광 시장 491
3. 태양광발전 관련 유망 사업 동향과 전망 494
3-1.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사업화 동향과 전망 494
1) 태양광 설비용량과 폐패널 발생 및 재활용 시장 전망 494
(1) 국내외 태양광 설비용량 현황 494
(2) 국내외 태양광 폐패널 발생량 전망 496
(3) 국내외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시장 전망 499
2)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기술 동향 502
(1) 기술의 정의 502
(2) 태양광 폐기물 재활용 기술 506
(3) 해외 기술 동향 508
(4) 국내 기술 및 기업 동향 512
3) 국내외 태양광 패널 재활용 투자 동향 523
(1) 해외 주요 태양광 기업, 패널 재활용 투자 강화 523
(2) 국내 R&D 투자 동향 및 주요 R&D 사업 525
4) 국내외 태양광 폐패널관련 정책 동향 528
(1) EU 528
(2) 미국 530
(3) 일본 530
(4) 중국 531
(5) 한국 532
3-2. 가상발전소(VPP) 기술, 시장, 정책 동향과 사업화 전략 538
1) 가상발전소 개요 538
(1) 가상발전소 시장 개요 538
(2) 가상발전소 유형 및 장단점 540
2) 가상발전소 시장 및 정책 동향 542
(1) 국내외 가상발전소 시장규모 및 전망 542
(2) 가상발전소 가치사슬 및 비즈니스 모델 543
(3) 국내외 가상발전소 정책 및 규제현황 545
3) 주요국 가상발전소 사업 사례 및 시장 동향 549
(1) 미국 549
(2) 독일 550
(3) 영국 551
(4) 일본 553
(5) 호주 555
4) V2G(Vehicle to Grid)와 VPP 558
(1) V2G 기술과 VPP 558
(2) 전기차 충전 인프라와 V2G, VPP 563
4. 태양광 관련 기술개발 연구테마 569
4-1. 2023 신규 기술개발 사업 연구테마 569
1) 탠덤 태양전지용 건식기반 페로브스카이트 30MW급 파일럿 양산 핵심 장비 개발 569
2) M10 이상 대면적, 150μm 이하의 박형 결정질/박막 실리콘 이종접합(HJT) 태양전지
및 모듈 양산기술 고도화 (플래그쉽) 572
3) 결정질 실리콘 기반 탠덤 태양전지 적용을 위한 전층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상부셀
및 핵심소재 개발 575
4) 전력피크 분산과 이용률 제고를 위한 동서형 건물 지붕(옥상) 태양광 기술개발 및
실증 578
4-2. 2022 신규 기술개발 사업 연구테마 581
1) 건물형 태양광 모듈 급속차단 기능과 이용률 개선을 위한 모듈단위전력전자(MLPE)
장치개발 및 실증 581
2) 소음저감과 탄소중립을 위한 철도적합 태양광 실증 584
3) 태양광 보급 잠재량 분석모델 고도화 및 개방형 데이터 플랫폼 개발 587
4) 건물 실물모형(mock-up) 기반 통합 성능 평가를 위한 건물형 태양광 실증센터 기반
구축 589
5) 태양광 설치단가와 LCOE 경쟁력 확보를 위한 700W+ 고출력 모듈 산업생태계 강화 595
6) 태양광 설치단가와 LCOE 경쟁력 확보를 위한 700W+고출력 모듈 개발 및 양산성
검증 599
7) 태양광 설치단가와 LCOE 경쟁력 확보를 위한 700W+고출력 모듈용 인버터 개발 및
실증 601
8) 강화된 내화성능 확보를 위한 건물형 태양광 모듈 제품(시스템)표준모델 개발 및
성능 평가 603
9) 저전력 구동 가능한 컬러 변환 BIPV 기술개발 606
10) (신남방)무음영 영농형 태양광발전 설비 개발 및 평가, 해외 실증을 통한 수출 모델
개발 608
11) 친환경 공정 기반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609
12) 초고효율 탠덤(다중접합)용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요소기술 개발 612
13) 고효율 대면적 초경량·유연 무독성 CIGS 박막 태양전지 기술개발 616
14) 산업공정용 열공급을 위한 태양열 융합 열공급시스템 개발 및 스마트 O&M시스템
구축 기술개발 621
15) 태양열(광), 지열 등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바이오매스(가축분뇨) 고체연료화 모델
개발 및 경제성, 환경성을 위한 선행 조사·연구 623
Ⅲ. 국내외 태양광발전 관련 주요 업체 사업 동향 627
1. 해외 태양광 발전 주요 업체 사업 동향 627
1-1. Tongwei [중국] 627
1) 회사 현황 627
(1) 일반현황 627
(2) 사업현황 628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30
(1) Tongwei, HJT 배터리 효율 최적화로 태양광 기술 혁신 도모 630
(2) Tongwei, 모듈 분야로의 본격적인 진출 631
1-2. GCL Technology (구, GCL-Poly Energy) [중국] 632
1) 회사 현황 632
(1) 일반현황 632
(2) 사업현황 633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34
(1) 보리협흠, 협흠과기로 사명 변경 634
(2) Tongwei, GCL 등 중국 폴리실리콘 증설 현황 635
1-3. Wacker [독일] 637
1) 회사 현황 637
(1) 일반현황 637
(2) 사업현황 637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41
(1) Wacker, 폴리실리콘 공장 현황 641
(2) Wacker, 폴리실리콘 생산 공정 642
(3) 폴리실리콘 非중국계(Wacker, OCI, Hemlock) 3인방의 반격 643
1-4. Daqo New Energy [중국] 645
1) 회사 현황 645
(1) 일반현황 645
(2) 사업 현황 645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48
(1) Daqo New Energy, 2023년 말까지 생산 능력 305,000MT로 확대 648
1-5. Hemlock [미국] 649
1) 회사 현황 649
(1) 일반현황 649
(2) 사업 현황 650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51
(1) Hemlock, 3억 7,500만 달러 규모의 공장 확장 프로젝트 착공 651
(2) Hemlock, 듀폰 TCS 사업부 인수 651
1-6. Longi Group [중국] 652
1) 회사 현황 652
(1) 일반현황 652
(2) 사업 현황 653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55
(1) Longi, 중국 정책 최대 수혜 업체 655
(2) Longi, 태양전지 기술력 656
(3) Longi, 실리콘 태양광 전지 효율 세계 신기록 26.81% 달성 657
(4) Longi, 분산 발전‧지붕형태양광 최적화한 태양광 모듈 출시 658
1-7. Jinko Solar [중국] 659
1) 회사 현황 659
(1) 일반현황 659
(2) 사업현황 659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62
(1) Jinko Solar, LG전자 태양광 美 특허 352건 이전 662
(2) Jinko Solar, ‘타이거 네오’ 패널 시리즈 출품 662
(3) Jinko Solar · Tongwei 태양광 공급망 제휴 강화 663
1-8. First Solar [미국] 664
1) 회사 현황 664
(1) 일반현황 664
(2) 사업현황 664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67
(1) First Solar, 미국 앨라배마주에 11억 달러 투자 667
(2) First Solar, 美·유럽 전방위 점유율 확대 기대 668
1-9. SolarEdge [이스라엘] 670
1) 회사 현황 670
(1) 일반현황 670
(2) 사업현황 671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74
(1) SolarEdge, ESS용 신규 배터리 셀 출하 시작 674
(2) SolarEdge, 가정용 태양광 발전 옵티마이저 시리즈 발표 675
(3) 솔라엣지-코캄, 한국에 연간 2GWh 규모 배터리 셀 공장 설립 676
2. 국내 태양광 발전 주요 업체 사업 동향 677
2-1. OCI(주) 677
1) 회사 현황 677
(1) 일반현황 677
(2) 사업현황 678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82
(1) OCI, 지주사·화학 2개사로 인적분할 추진 682
(2) OCI, 미국 텍사스 주 태양광 모듈 공장 1GW로 증설 683
(3) OCI 말레이시아 공장,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증설 작업 완료 684
(4) OCI, 한화솔루션과 1조 4,500억원 폴리실리콘 장기공급 계약 685
2-2. 한화솔루션(주) 686
1) 회사 현황 686
(1) 일반현황 686
(2) 사업현황 687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91
(1) 한화솔루션, 북미 최대 태양광 공장 프로젝트 시동 691
(2) 한화큐셀, EU 차세대 태양광 ‘탠덤셀’ 양산화 프로젝트 참여 692
(3) 한화솔루션, 태양광 사업 집중을 위해 첨단소재·갤러리아 분할 693
(4) 한화솔루션·GS, 태양광 소재 합작사 설립 694
(5) 한화솔루션·삼성전자, 유럽 ‘태양광 난방’ 사업 공략 695
(6) 한화솔루션, 가상발전소(VPP) 시장 진출 본격화 696
2-3. (주)신성이엔지 697
1) 회사 현황 697
(1) 일반현황 697
(2) 사업현황 697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700
(1) 신성이엔지, 한국농어촌공사와 서천 부사호 EPC협약 체결 700
(2) 신성이엔지·코웨이, RE100 달성 ‘맞손’ 701
(3) 신성이엔지, 엑시콘에 태양광 토털 솔루션 공급 701
(4) 양면·N타입 등 고출력 차세대 태양광 모듈 발표 702
(5) 태양광 셀 라인 매각, 모듈에 집중 703
2-4. 현대에너지솔루션(주) 704
1) 회사 현황 704
(1) 일반현황 704
(2) 사업현황 704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706
(1) 현대에너지솔루션, 태양광 모듈 앞세워 순항 706
(2) 현대에너지솔루션, 전력중개 사업 진출 707
(3) 현대에너지솔루션, 주성엔지니어링과 초고효율 태양광 개발 708
2-5. (주)에스에너지 710
1) 회사 현황 710
(1) 일반현황 710
(2) 사업현황 710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713
(1) 에스에너지, 제주도에 1550억 태양광 발전소 건설 713
(2) 에스에너지, 최첨단 태양광모듈 생산기반 마련 713
2-6. 한솔테크닉스(주) 715
1) 회사 현황 715
(1) 일반현황 715
(2) 사업현황 716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719
(1) 한솔테크닉스, 탄소인증 고품질 태양광 양면모듈 선도 719
(2) 한솔그룹, KAIST와 공동 연구센터 건립 720
(3) 한솔테크닉스, 아이원스 1,275억에 인수 720
표 목차
Ⅰ.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시장 실태와 전망 33
<표1-1> 넷제로의 유사개념과 온실가스 배출범위와의 관계 34
<표1-2> 파리기후협약과 교토의정서 비교 36
<표1-3> 주요국의 탄소중립 목표 선언 내용 37
<표1-4> EU의 탄소중립 목표 추이 37
<표1-5> EU 그린딜 주요 실행정책 38
<표1-6> EU ‘Fit for 55’ 주요 내용 38
<표1-7> 미국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탄소중립 관련 주요 정책동향 40
<표1-8> 미국, 5대 정책 방향 42
<표1-9> 중국,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단계별 목표 43
<표1-10> 중국 탄소배출 정점 10대 행동 44
<표1-11> 혁신적 환경 이노베이션 전략의 5대 분야 및 16개 기술 47
<표1-12>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 주요 내용 51
<표1-13> Fit-for-55 대비 REPowerEU의 신규조치 및 목표치 상향 내역 54
<표1-14>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원전 반영표 62
<표1-15> 국내 원자력발전소 현황 64
<표1-16> 고리원자력본부 65
<표1-17> 새울원자력본부 65
<표1-18> 월성원자력본부 65
<표1-19> 한울원자력본부 65
<표1-20> 한빛원자력본부 66
<표1-21> 원자력발전소 정지 현황 66
<표1-22> 연도별 발전원별 발전설비 추이 66
<표1-23> 신한울3·4호기 건설사업 개요 67
<표1-24> 신한울3·4호기 건설사업 주요 추진경과 67
<표1-25> 원자력산업 기술개발 투자현황 73
<표1-26> UAE 원전사업 개요 74
<표1-27> 국가별 원자력발전 점유율(2021년) 81
<표1-28> 운전 중인 원전의 노형 비율(2021년 기준) 82
<표1-29> 영구정지 원전 현황(2021년 12월 기준) 83
<표1-30> 용도별 SMR 국제 시장 전망 88
<표1-31> EU 국가의 SMR 프로젝트 92
<표1-32>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현황 총괄 93
<표1-33> 신·재생에너지 산업 현황 총괄표 93
<표1-34> 국내 신·재생에너지 업종별 현황(제조업) 94
<표1-35> 2021년 신·재생에너지 제조업 현황 94
<표1-36> 국내 신·재생에너지 업종별 현황(건설업) 95
<표1-37> 2021년 신·재생에너지 건설업 현황 95
<표1-38> 국내 신·재생에너지 업종별 현황(발전 및 열공급업) 96
<표1-39> 2021년 신·재생에너지 발전 및 열 공급업 현황 96
<표1-40> 국내 신·재생에너지 업종별 현황(서비스업) 97
<표1-41> 2021년 신·재생에너지 서비스업 현황 97
<표1-42> 전년대비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및 증감률(원별) 98
<표1-43> 전년대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및 증감률(원별) 99
<표1-44> 전년대비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 및 증감률(원별·누적) 100
<표1-45> 전년대비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 및 증감률(원별·신규) 100
<표1-46> 4대 전략과 12대 과제 106
<표1-47> 4대 탄소중립 녹색성장 전략 과제별 소관부처 127
<표1-48> 목표수요 기준 전력소비량 및 최대전력 전망 130
<표1-49> ‘36년 신재생에너지 용량 131
<표1-50> 연도별 전원구성(연말 정격용량 기준) 전망 132
<표1-51> 연도별 전원구성(연말 실효용량 기준, 피크기여도 반영) 전망 132
<표1-52>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횟수 현황 134
<표1-53> 연도별 재생에너지 백업설비 구성(누적) 134
<표1-54> 재생에너지 백업설비 소요비용 전망(안) 134
<표1-55> 전원별 발전량 및 비중 전망 135
<표1-56> ‘18년과 ‘30년 전원별 발전량 비중 비교 135
<표1-57> ‘30년 수소·암모니아 발전량 전망 136
<표1-58> 연도별 미세먼지, 오염물질 배출전망 136
<표1-59> 국내 재생에너지 설비보급 현황 147
<표1-60> 국내 태양광 낙찰 평균가 148
<표1-61> 재생에너지 정책 개선방안 추진 일정 162
<표1-62> 2020년 미국 재생에너지 소비량 및 발전량 173
<표1-63> 미국 재생에너지 분야 주요 기업 177
<표1-64> 미국, 탄소 중립 계획 180
<표1-65> 캐나다 주요 재생 에너지 기업 현황 185
<표1-66> 독일 내 에너지 저장장치의 매출액 증가 189
<표1-67> 독일 재생에너지 관련 전시회 개요 191
<표1-68> 영국 신재생에너지원별 사용량 199
<표1-69> 영국 내 운용 중인 원자로 현황 200
<표1-70> 스페인 2021∼2030년 국가에너지 및 기후변화 통합 계획 207
<표1-71> 중국의 재생에너지 산업 주요 지원 정책(2021년 이후) 211
<표1-72> 중국, 재생에너지 14.5계획의 주요 정책목표 212
<표1-73> 중국, 재생에너지 발전을 위한 세부 전략 212
<표1-74> 일본기업의 암모니아 제조 관련 기술의 개발 상황 217
<표1-75> 태양광패널 폐기비용 적립제도의 개요 220
<표1-76> 2018-2020년 호주 풍력 발전기 부품 수출입 동향(HS Code 848390) 224
<표1-77> 2018-2020년 호주 태양광 패널 수출입 동향(HS Code 854140) 225
<표1-78> 인도 에너지원별 발전 현황(‘21.12.12. 기준) 232
<표1-79> 인도 에너지별 발전량 연도별 추이 232
<표1-80> 인도 태양광 PV 모듈 국가별 수입 현황(HS코드 8541) 234
<표1-81> 2020년 인도 풍력에너지 발전용량 236
<표1-82> 풍력 대표 품목(풍력 발전세트 HS코드 8502.31) 수입 현황 236
<표1-83> 2020년 인도 주요 지역별 소수력 발전 잠재성과 발전용량 237
<표1-84> 2020년 인도 바이오에너지 발전량(단위: MW) 238
<표1-85> 바이오 대표 품목(가스 발생기 HS코드:8402.9090) 수입 현황(2021년) 239
<표1-86> 폐기물 대표 품목(폐기물 건조기 HS코드: 8419.31) 수입 현황(2021년) 239
<표1-87> 인도 바이오에너지 정부 예산 지원액 연도별 추이 241
<표1-88> 브라질 태양광 모듈(HS Code 8541.40) 수입 동향 244
<표1-89> 브라질 풍력 발전세트(HS Code 8502.31) 수입 동향 245
<표1-90> 브라질 내 가동 중인 원자력발전소 247
<표1-91> 칠레 에너지원별 프로젝트 진행 현황 249
<표1-92> 칠레 단계별 수력 프로젝트 현황 250
<표1-93> 칠레 단계별 태양광 프로젝트 현황 250
<표1-94> 칠레 태양광 모듈 수입 동향 251
<표1-95> 칠레 단계별 풍력 프로젝트 현황 251
<표1-96> 칠레 풍력 발전세트 수입 동향 252
<표1-97> 칠레 단계별 바이오매스 프로젝트 현황 252
<표1-98> 칠레 생산진흥청 선정 그린수소 프로젝트 현황 253
<표1-99> 칠레 에너지 로드맵별 주요 내용 255
Ⅱ. 국내외 태양광 발전산업 밸류체인별 동향과 전망 259
<표2-1> 태양전지의 소재별 분류 262
<표2-2>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구조별 분류 263
<표2-3> 태양전지 산업구조 263
<표2-4> 국내 태양전지 시장규모 및 전망 273
<표2-5> 국내 태양광 시장 현황 및 시장 예측 273
<표2-6> 실리콘 태양전지의 핵심작업 282
<표2-7> 결정질 실리콘과 박막 카드뮴 텔룰라이드 태양전지 재료 282
<표2-8> 실리콘 태양전지 관련 Key Player(‘22년 기준) 284
<표2-9>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관련 Key Player(‘22년 기준) 287
<표2-10> 수상 태양광 관련 Key Player(‘22년 기준) 288
<표2-11> 태양광 발전 모듈 분야 산업구조 291
<표2-12> 태양광 전력변환장치 분야 산업구조 291
<표2-13> 용도별 분류 292
<표2-14> 태양광발전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293
<표2-15> 태양광 발전 모듈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293
<표2-16> 태양광발전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295
<표2-17> 국내 태양광산업 수출 동향 295
<표2-18> 국내 태양광산업 수입 동향 296
<표2-19> 글로벌 태양광 발전 시장의 주요 기업 개발 현황(2019∼2020년) 300
<표2-20> 고효율 태양광발전 모듈 및 장치 주요 연구조직 현황 307
<표2-21> 국내 태양광발전 모듈 및 장치 관련 선행연구(정부/민간) 309
<표2-22> 태양광 밸류체인(Value Chain) 311
<표2-23> 주요국 태양광 설치량 현황 및 전망 324
<표2-24> 주요 해외 태양광기업 실적 동향 338
<표2-25> 국내 태양광 설치량(보급량) 현황 및 전망 339
<표2-26> 태양광 발전 국내외 시장규모 및 전망 339
<표2-27> 국내 태양광산업 수출 동향 343
<표2-28> 국내 태양광산업 수입 동향 344
<표2-29> 국내 주요 태양광기업 실적 동향 345
<표2-30> BIPV 기술별 분류 349
<표2-31> BIPV 용도별 분류 350
<표2-32>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품목 산업구조 350
<표2-33> BIPV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355
<표2-34> 설치 유형에 따른 세계 태양광 시장규모 355
<표2-35> 주요국의 BIPV 관련 진흥 정책 356
<표2-36> BIPV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356
<표2-37> Canadian Solar의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제공 현황 365
<표2-38> First Solar의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제공 현황 365
<표2-39> Yingli Green Energy Holding의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제공 현황 366
<표2-40>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주요 연구조직 현황 372
<표2-41> 국내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관련 선행연구(정부/민간) 사례 376
<표2-42> BIPV 설치유형과 분류기준 378
<표2-43> 독일 가정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설치 현황 389
<표2-44> 독일 태양열 모듈 제조사(15개) 390
<표2-45> 스페인 에너지원별 발전용량 목표(단위: MW) 394
<표2-46> 스페인 태양광 모듈 주요 국가별 수출입 추이(HS코드 8541.40) 395
<표2-47> 2015∼2021년 헝가리 1차 에너지 생산규모 397
<표2-48> 체코 태양광 패널(HS코드 854140기준) 수입 현황 408
<표2-49> 체코 태양광 패널 유통 및 판매 업체 409
<표2-50> PEP 2040 에너지 정책 8가지 목표 주요 내용 411
<표2-51> 2018∼2020년 폴란드 신재생에너지원별 발전량 비교 411
<표2-52> 인플레이션 감축법 시행으로 인한 연도별 투자세액공제 415
<표2-53> 태양광 발전 부품별 첨단제조 생산세액공제 415
<표2-54> 2022년 2분기 착공한 미국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 419
<표2-55> 2022년 1~9월 HS Code 854143기준 미국 수입 현황 421
<표2-56> 2021년 태양광 패널 수입금액(HS Code: 8541.10 기준) 430
<표2-57> 2017∼2020년 태양광 패널 유형별 설치 현황 430
<표2-58> 아르헨티나 에너지원별 발전량(2017-2020) 434
<표2-59> 2019∼2021년 태양광 모듈 아르헨티나 수입추이 435
<표2-60> 2019∼2021년 태양광 모듈 페루 수입추이 437
<표2-61> 세계 10대 폴리실리콘 기업(2021년 기준) 441
<표2-62> 중국 폴리실리콘 수급동향 441
<표2-63> 중국 폴리실리콘(HS 2804.61) 수입동향 442
<표2-64> 중국 폴리실리콘(HS 2804.61) 수출동향 442
<표2-65> 동남아에 공장 설립한 중국기업 443
<표2-66> PPA 방식의 장점 447
<표2-67> 온 사이트 PPA 방식과 오프 사이트 PPA 방식 차이 447
<표2-68> 태국 연도별 주요 재생에너지 동향 450
<표2-69> 태국 연도별 태양 에너지 소비량 동향 및 목표 451
<표2-70> 태양열·태양광 발전 동향 452
<표2-71> 태국 태양광패널(HS Code 8541.42, 8541.43) 수입동향 452
<표2-72> 태국 광전지(HS 8541.42, 8541.43) 수입관세 453
<표2-73> 태국 태양광 발전 업체(2021년 매출 기준) 453
<표2-74> 하이브리드 수력-부유식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 추진 계획 455
<표2-75> 필리핀 2020년 전력 총 생산량 457
<표2-76> 필리핀 2020년 지역별 전력 생산 현황 458
<표2-77> 필리핀 최근 3년간 태양광 패널 수출 현황 459
<표2-78> 필리핀 최근 3년간 태양광 패널 수입 현황 460
<표2-79> 2021∼2030 신재생에너지발전계획 461
<표2-80> 인도네시아, 태양광 패널 수입규제 및 관세율 463
<표2-81> 인도네시아 태양광 패널 수입액 464
<표2-82> 인도네시아 태양광 패널 주요 수입국 464
<표2-83> 발전원별 장기 계획 466
<표2-84> 베트남 태양광 FIT(발전차액지원, Feed-In Tariff) 468
<표2-85> 태양광 주요 대규모 프로젝트 468
<표2-86> 2019-2024 사우디 비수력 재생에너지 발전 동향 470
<표2-87> 2025-2030 사우디 비수력 재생에너지 발전 동향 471
<표2-88> 2019년 사우디 주요 발전사 및 발전량 현황 471
<표2-89> 사우디 발전량 기준 10대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진행 현황 472
<표2-90> 토후국별 유틸리티(수·전력) 담당기관 473
<표2-91> UAE 전력생산 동향 474
<표2-92> 2016-20 UAE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동향 475
<표2-93> 아부다비 주요 태양광 프로젝트 475
<표2-94> 두바이 MBR 솔라파크 추진동향 476
<표2-95> 호주 연방정부 및 각 주 정부별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설치 지원 방안 479
<표2-96> 남아공 신재생에너지 시장 규모 및 전망 484
<표2-97> 2018-2020년 케냐 에너지원 별 설치용량 및 가동동량 488
<표2-98> 2018-2020년 에너지원별 전력 생산 및 수입 현황 489
<표2-99> 국내 태양광 설치량(보급량) 현황 및 전망 495
<표2-100> 주요국의 폐태양광 패널 누적 발생량 전망 497
<표2-101> 국내 태양광 폐패널 발생 전망 498
<표2-102> 국내 태양광 폐패널 발생 전망 498
<표2-103> 태양광 패널 재활용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499
<표2-104>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500
<표2-105> 국내 5개사 태양광 폐모듈 재활용 처리능력 501
<표2-106> 태양전지 종류별 효율 및 특징 503
<표2-107> 결정질 실리콘계 태양광 패널의 구성 소재 및 비율 504
<표2-108> 실리콘계 태양광 패널 분석 분류 505
<표2-109> 주요국의 태양광 폐기물 재활용 관련 R&D 프로젝트 현황 511
<표2-1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폐패널 재활용 상세기술 소개 522
<표2-111> VPP 유형 및 장·단점 539
<표2-112> VPP 유형별 장·단점 541
<표2-113> DER 관리 시스템 시장규모 추이 543
<표2-114> VPP 가치사슬에 따른 기업 구분 544
<표2-115> 소규모 전력 공개시장 주요 사업자 547
<표2-116> GMP의 에너지저장장치 보급 프로그램 549
<표2-117> 2020년 독일 Next Kraftwerke 현황 551
Ⅲ. 국내외 태양광발전 관련 주요 업체 사업 동향 627
<표3-1> Tongwei 프로필 627
<표3-2> Tongwei, 폴리실리콘 및 셀 주요 생산지 628
<표3-3> Tongwei 제품 매출 현황 629
<표3-4> GCL Technology 프로필 632
<표3-5> GCL Technology 제품 매출 현황 633
<표3-6> GCL Technology 제품 지역별 매출 현황 634
<표3-7> 중국 폴리실리콘 기업 증설계획에 따른 글로벌 폴리실리콘 수요-공급 비교 635
<표3-8> 글로벌 태양광 신규 설치 규모에 따른 모듈 수요로 추산한 폴리실리콘 수요 636
<표3-9> 중국 폴리실리콘 기업의 생산라인별 가동 현황 및 계획 636
<표3-10> Wacker 프로필 637
<표3-11> Wacker 제품 매출 현황 640
<표3-12> Wacker 제품 지역별 매출 현황 640
<표3-13> Daqo New Energy 프로필 645
<표3-14> Daqo New Energy 제품 매출 현황 647
<표3-15> Daqo New Energy 제품 지역별 매출 현황 647
<표3-16> Hemlock 프로필 649
<표3-17> LONGi Group 프로필 652
<표3-18> Longi 제품 매출 현황 655
<표3-19> Longi 제품 지역별 매출 현황 655
<표3-20> Longi의 PV module 효율 현황 657
<표3-21> Jinko Solar 프로필 659
<표3-22> First Solar 프로필 664
<표3-23> First Solar의 태양전지 모듈 665
<표3-24> SolarEdge Technologies 프로필 670
<표3-25> OCI㈜ 업체 프로필 677
<표3-26> OCI 사업부문 현황 678
<표3-27> 한화솔루션㈜ 업체 프로필 686
<표3-28> ㈜신성이엔지 업체 프로필 697
<표3-29> 현대에너지솔루션㈜ 업체 프로필 704
<표3-30> ㈜에스에너지 업체 프로필 710
<표3-31> 한솔테크닉스㈜ 업체 프로필 715
그림 목차
Ⅰ.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시장 실태와 전망 33
<그림1-1> 탄소중립과 기후중립에 대한 글로벌 타임라인 34
<그림1-2> 미국, 과거 탄소 배출량 및 향후 전망 41
<그림1-3>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한 경로별 탄소 배출량 저감 목표 41
<그림1-4> 일본, 2050년 탄소중립에 따른 녹색성장전략의 14대 주요 산업 46
<그림1-5> 2020년 기준 대한민국 발전 비중 48
<그림1-6> 2020년 기준 국가별 발전 비중 49
<그림1-7> 세계자원연구소(WRI) ‘태양광 로드맵’ 보고서 58
<그림1-8> 태양광 발전 용량과 투자 규모의 추이(2010년∼2021년) 58
<그림1-9> 국내 원자력발전소 운영 현황 64
<그림1-10> 원자력산업 실태조사 68
<그림1-11> SMART 원자로 모형과 SMART 원전 조감도 80
<그림1-12> 운전 중 원자로 수명(2021년 기준) 82
<그림1-13> 탄소중립·녹색성장 정책방향 105
<그림1-14>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기본 방향 129
<그림1-15>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및 보급 실적 현황 147
<그림1-16> 재생에너지 정책 방향 152
<그림1-17> 구성 및 운영(안) 154
<그림1-18> 글로벌 재생에너지 신규 발전설비용량(2019∼2021) 163
<그림1-19> 국가별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용량(2019∼2021) 164
<그림1-20> 국가별 연간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용량 165
<그림1-21> 중국, EU, 미국, 인도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용량(2019∼2023) 166
<그림1-22> 브라질, 동남아, 중동, 아프리카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용량(2019∼2023) 167
<그림1-23> 재생에너지원별 신규 발전설비용량(2017∼2023) 168
<그림1-24> 각국 정부의 정책을 기반으로 전망한 청정에너지 투자액 169
<그림1-25> 미국 부문별 에너지 생산량 및 전망 174
<그림1-26> 2020년 미국 재생에너지 산업별 소비량 174
<그림1-27> 주별 RPS 목표 179
<그림1-28> 넷미터링 운영 현황(‘20.3월 기준) 179
<그림1-29> 캐나다 내 재생 에너지 발전소 분포 181
<그림1-30> 캐나다 총 전기 생산에서의 풍력 에너지 점유율(2012∼2021년) 182
<그림1-31> 2021년 독일 총 에너지 소비 187
<그림1-32> 2020년 독일 부문별(전력/냉난방/수송) 재생에너지 이용 188
<그림1-33> 독일 내 에너지 저장장치의 2021년 부문별 매출액 189
<그림1-34> 매년 독일 내 설치되는 태양광 설비 용량 190
<그림1-35> 2035년까지 연도별 풍력발전 및 태양광 확대 목표 193
<그림1-36> 영국의 1차 에너지원(Primary Fuels) 생산 현황 196
<그림1-37> 영국의 에너지 수입 의존도(1970년∼2020년) 197
<그림1-38> 영국 발전원별 발전 비율(2019년∼2020년) 198
<그림1-39> 영국 신재생에너지원별 사용 비중 198
<그림1-40> 2020년 스페인 신재생 에너지원 설치 비중 204
<그림1-41> 스페인 태양광 모듈 수출입 추이(HS코드 8541.40) 205
<그림1-42> 스페인 풍력발전세트 수출입 추이(HS코드 8412.80) 205
<그림1-43> 중국의 누적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 208
<그림1-44> 재생에너지원별 발전설비 용량 208
<그림1-45> 2021년 중국 재생에너지원별 설비증설 용량 및 비중 209
<그림1-46> 중국 재생에너지 발전량 209
<그림1-47> 2021년 중국 원별 발전량 비중 210
<그림1-48> 주요국의 태양광 도입량 및 태양광 발전 비용 213
<그림1-49> 일본, 해상풍력 지역별 도입목표 215
<그림1-50> 재생에너지 주력 전원화 제도 구축 방향 218
<그림1-51> FIT 제도 및 FIP 제도의 대상 219
<그림1-52> 비확정형(Non-firm) 접속방식에 의한 송전 이용방식 221
<그림1-53> 2021년 호주의 재생에너지별 발전 비중 222
<그림1-54> 2020년 기준 주별 재생에너지 비중 및 생산량 223
<그림1-55> 2020년 기준 호주 연간 지붕형 솔라 패널 설치수 224
<그림1-56> 호주 스타트업 H2X 수소차 모델 가상도 226
<그림1-57> 그린 수소 캐리어로 활용도가 높은 암모니아 227
<그림1-58> ‘Rewiring the Nation’을 통한 전력망 개통 계획 228
<그림1-59> 호주 Beacon Hill 지역에 설치된 지역 공용 배터리 229
<그림1-60> 인도 전력 수요 및 공급 연도별 추이 231
<그림1-61> 인도 신재생에너지부 예산 추이 233
<그림1-62> 인도 권역별 태양에너지 주요 생산지역(연계형) 234
<그림1-63> 인도 권역별 풍력에너지 주요 생산지역 235
<그림1-64> 2021년 브라질 주요 전력원 242
<그림1-65> 브라질 태양광 발전 설비용량 243
<그림1-66> 브라질 풍력에너지 생산 능력 245
<그림1-67> 2050년 한국·브라질 그린수소 생산비용 비교 246
<그림1-68> 2020년 칠레 에너지원별 소비 비중 249
Ⅱ. 국내외 태양광 발전산업 밸류체인별 동향과 전망 259
<그림2-1> 태양전지의 기본 구조 및 작동 원리 260
<그림2-2> 광흡수층 재료에 따른 태양전지 종류 260
<그림2-3> mass production에서 Cz-mono Si 웨이퍼의 예측 점유율 261
<그림2-4> 태양전지 종류별 광전변환효율 264
<그림2-5> DSSC의 구조(광전극/전해질/상대전극) 및 작동 매커니즘 265
<그림2-6> 2016-2027년 미국의 DSSC 시장 예측 266
<그림2-7> 납 기반 페로브스카이트(CH3NH3PbI3)의 결정구조 및 이를 활용한 태양전지의
구조 267
<그림2-8>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제조공정 268
<그림2-9>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사진 268
<그림2-10> 유기 태양전지의 구조(右)와 모듈 셀(左) 269
<그림2-11> 양자점 태양전지의 구조 270
<그림2-12> NREL 인증 효율 변천사 271
<그림2-13> 글로벌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C-Si) 시장 규모 및 전망 272
<그림2-14>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시장 규모 및 연평균 성장률예측 272
<그림2-15> 3세대 태양전지 국내시장 규모 및 전망 273
<그림2-16>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셀 최고효율 갱신 추이(‘22년 4월 기준) 275
<그림2-17>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태양전지 셀 최고효율 갱신 추이(‘22년 4월 기준) 277
<그림2-18> 태양전지 기술 종류 281
<그림2-19> 태양광 모듈의 구조 290
<그림2-20> 태양광발전시스템 구성 291
<그림2-21> 2022년 글로벌 모듈 생산용량 현황 294
<그림2-22> 2022년 기업별 모듈 생산용량 현황 294
<그림2-23> p-type 및 n-type 태양전지 효율 증가 동향 298
<그림2-24> 웨이퍼 type별 시장점유율 예측–기술별 셀 생산 비율 298
<그림2-25> 태양전지 종류별 최고 효율 299
<그림2-26> Trina Solar의 430W Vertex S 주거용 옥상 모듈 적용 301
<그림2-27> 태양광 발전 개요 310
<그림2-28> 태양광발전 시스템 및 구성 요소 311
<그림2-29> 태양에너지와 여타 에너지의 상대적 비교 312
<그림2-30> 시간별 건물부하와 태양에너지 313
<그림2-31> 태양광 발전의 활용 314
<그림2-32> 세계 태양광산업 성장 Cycle 316
<그림2-33> 발전용 연료가격 동향 317
<그림2-34> 2022 상반기 VS 2022년 하반기 글로벌 발전원별 발전단가 318
<그림2-35> 글로벌 태양광 설치량 현황 및 전망 319
<그림2-36> 글로벌 태양광 발전 시장 규모 및 전망 320
<그림2-37> 글로벌 태양광 발전 시장의 구성요소별 시장 규모 및 전망 321
<그림2-38> 글로벌 태양광 발전 시장의 재료별 시장 규모 및 전망 322
<그림2-39> 글로벌 태양광 발전 시장의 배터리 유형별 시장 규모 및 전망 322
<그림2-40> 글로벌 태양광 발전 시장의 설치유형별 시장 규모 및 전망 323
<그림2-41> 글로벌 태양광 발전 시장의 용도별 시장 규모 및 전망 324
<그림2-42> 글로벌 태양광 발전 시장의 지역별 시장 규모 및 전망 325
<그림2-43> 폴리실리콘 가격 동향 326
<그림2-44> 2022년 기준, 글로벌 폴리실리콘 생산용량 현황 327
<그림2-45> 2022년 기준, 기업별 폴리실리콘 생산용량 현황 328
<그림2-46> 단결정 웨이퍼 가격 동향 329
<그림2-47> 2022년 기준, 글로벌 웨이퍼 생산용량 현황 329
<그림2-48> 2022년 기준, 기업별 웨이퍼 생산용량 현황 330
<그림2-49> 단결정 태양전지 및 모듈 가격 동향 331
<그림2-50> 2022년 기준, 글로벌 태양전지 생산용량 현황 332
<그림2-51> 2022년 기준, 기업별 태양전지 생산용량 현황 333
<그림2-52> 2022년 기준, 글로벌 모듈 생산용량 현황 333
<그림2-53> 2022년 기준, 기업별 모듈 생산용량 현황 334
<그림2-54> 미국 태양전지 수입 현황 336
<그림2-55> 미국 모듈 수입 현황 336
<그림2-56> 중국 태양전지 및 모듈 수출 현황 337
<그림2-57> 우리나라 태양광 발전 시장 규모 및 전망 339
<그림2-58> 우리나라 태양광 발전 시장의 용도별 시장 규모 및 전망 340
<그림2-59> 국내 REC 가격 동향 342
<그림2-60> BIPV의 개념도 347
<그림2-61> BIPV 모듈의 설치 위치에 따른 통합 방안 351
<그림2-62> 창호일체형 태양광시스템 적용 352
<그림2-63> 외벽일체형 태양광시스템 적용 352
<그림2-64> 지붕일체형 태양광시스템 적용 353
<그림2-65> 루버형 태양광시스템 적용 354
<그림2-66> 발코니일체형 태양광시스템 적용 354
<그림2-67>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359
<그림2-68> 납 기반 페로브스카이트(CH3NH3PbI3)의 결정구조 및 이를 활용한 태양전지의
구조 360
<그림2-69> 유기 태양전지의 구조(右)와 모듈 셀(左) 361
<그림2-70> 단면형 대비 양면형 태양전지의 출력 상승 및 설치 방향에 따른 발전 특성 362
<그림2-71> 루버 형태 BIPV가 설치된 건축물 363
<그림2-72> 투광형 CIGS 모듈의 창호 적용 예(건물 모형) 364
<그림2-73> Schuco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366
<그림2-74> BIPV 시스템이 적용된 제2여객터미널 제2교통센터 368
<그림2-75> 한축테크 ‘옥상건물일체형태양광’ 369
<그림2-76> 에스지에너지 BIPV 모듈이 시공된 마곡 넥센 사옥 370
<그림2-77> 알루이엔씨 커튼월 BIPV 시공, 청진CH타워 370
<그림2-78> BIPV 산업생태계 활성화 방안 377
<그림2-79> 독일 월별 재생에너지 전력생산 현황, 태양열 전력 증가세 389
<그림2-80> 독일 태양열 에너지 월별 전력생산 현황, 전년 대비 증가세 390
<그림2-81> 독일, 소형 태양광 시스템 391
<그림2-82> 스페인 태양광 발전용량 추이 393
<그림2-83> 스페인 태양광 모듈 수출입 추이(HS코드 8541.40) 394
<그림2-84> 2010∼2022년 4월, 헝가리 태양광 발전기 설비 용량 398
<그림2-85> 2019∼2022년 6월 헝가리 소규모(50kWh 이하) 태양광 발전기 설비 용량 399
<그림2-86> 이탈리아 재생에너지 설비 현황(2020년) 401
<그림2-87> 체코 신재생에너지 전력생산량 및 전력소비 대비 비중 404
<그림2-88> 2030년 목표 달성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예상 투자 지원 수준 405
<그림2-89> 체코 태양광 발전 규모 406
<그림2-90> 2020년 폴란드 자원별 전기 생산 비중 410
<그림2-91> 2020년 기준 EU내 태양광 발전(PV) 용량 증가 순위 412
<그림2-92> 2021년 1분기 말 기준 폴란드에 설치된 태양광 누적 용량 413
<그림2-93> 2025년까지 태양광 설치 용량 전망 414
<그림2-94> 인플레이션 감축법 실행 이후 부문별 신규 태양광 발전 설치량 전망 416
<그림2-95> 2021년 2분기, 2022년 2분기의 부문별 평균 태양광 설비 가격 417
<그림2-96> 미국 내 태양광 발전 관련 생산 용량 418
<그림2-97> 신규 용량 중 연도별 발전원별 비중 419
<그림2-98> 주별 누적 태양광 발전 설치 용량 420
<그림2-99> 주별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 계획 420
<그림2-100> Saule Technologies사에서 개발 중인 얇고 유연한 태양광 패널 422
<그림2-101> Pvilion의 태양광 캐노피 423
<그림2-102> 영농형 태양광의 다양한 구성 424
<그림2-103> 2017년 미국 전력 에너지원별 메가와트당 필요 토지 425
<그림2-104> 2011∼2021년 멕시코 태양광 에너지 설치 용량 427
<그림2-105> 2021년 라틴아메리카 태양광 에너지 설치용량 427
<그림2-106> 2018∼2021년 총 에너지 발전량 및 총 태양광 발전량 428
<그림2-107> 2021년 멕시코 태양광 발전 주요 지역 429
<그림2-108> 2017∼2020년 기업별 태양광 발전 판매금액 430
<그림2-109> 아르헨티나 1월(왼쪽) 및 6월(오른쪽)의 월 평균 일사량 432
<그림2-110> 아르헨티나 전력 수요 구성(2020) 432
<그림2-111> 아르헨티나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및 비중(2011∼2020) 433
<그림2-112> 아르헨티나 지역별 신재생에너지 설치 전력(2020년) 433
<그림2-113> 태양광 산업사슬의 건전한 발전 촉진에 관한 통지 438
<그림2-114> 글로벌 및 중국 연간 신규 태양광 발전설비 용량 439
<그림2-115> 중국 태양광 발전설비 총용량 439
<그림2-116> 글로벌 및 중국 연간 신규 폴리실리콘 생산량 440
<그림2-117> 주요국의 태양광 도입량과 태양광 발전 비용 444
<그림2-118>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 446
<그림2-119> 태국, 연도별 주요 재생에너지 발전량 동향 450
<그림2-120> 가정용 태양광 설치 시장 규모 454
<그림2-121> 태국, 시린톤댐 및 부유식 태양광 발전소 456
<그림2-122> 필리핀 향후 3년간 태양광 설치 용량 전망 458
<그림2-123> 지역별 정부/민간 프로젝트 발전 용량 461
<그림2-124> 신재생에너지 잠재/활용 전력 462
<그림2-125> 인도네시아 태양광 발전 설비 용량 462
<그림2-126> 베트남 에너지 믹스(2020년 기준) 465
<그림2-127> 지역별 전력 수요 465
<그림2-128> 베트남 연간 일조량, 풍량 지도 467
<그림2-129> 2020-2030 전체 전력 발전 중 비수력 재생에너지 발전량 전망 470
<그림2-130> 국영알루미늄회사 EGA의 Solar 알루미늄 ‘CelestiAL’ 474
<그림2-131> 태양광 모듈의 가격 변화 추이 그래프 478
<그림2-132> 2021년 호주 주 별 가정용 배터리 설치 수 480
<그림2-133>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설비 전체 요약도 481
<그림2-134> 2020년 케냐 전력발전 비중 489
<그림2-135> 글로벌 태양광 설비용량 현황 494
<그림2-136> 글로벌 태양광 신규 설치 규모 및 증가율 495
<그림2-137> 국내 태양광 설비용량 현황 495
<그림2-138> 전 세계 태양광 폐패널 발생량 추이 496
<그림2-139> 국내 태양광 폐패널 발생 전망 497
<그림2-140> 폐 태양광패널 재활용 시장 전망 499
<그림2-141> 태양광 패널의 구성 502
<그림2-142> 실리콘 소재 태양광 패널의 일반적인 구조 502
<그림2-143> c-Si 태양광 패널의 재활용 체계 505
<그림2-144> 태양광 폐기물의 재활용 기술 모식도 506
<그림2-145> 결정질 실리콘 폐모듈의 가능한 재활용 공정의 블록흐름도 507
<그림2-146> 패널 질량 대비 구성요소의 비중(左) 적층유리 재활용 공정(右) 507
<그림2-147> 태양광 재활용 센터규모(부지 15,847㎡, 건축연면적 3,812㎡) 512
<그림2-148> 2TPD(ton/day)급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 폐패널의 재활용 연속식 통합공정
시스템 구축 513
<그림2-149> ㈜우원테크의 주요 사업 제품 514
<그림2-150> 우원테크 폐태양광 재활용 장치 515
<그림2-151> 태형리싸이클링, 태양광 폐패널 부문 주요 제품 516
<그림2-152> 원광전력, 폐모듈 재활용 설비 517
<그림2-153> 태양광 모듈 재활용 공정순서 518
<그림2-154> 태양광 폐패널 분리 공정 520
<그림2-15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를 통해 개발한 태양광 패널 순환경제 개념도 521
<그림2-156> BloombergNEF가 추정한 폐 태양광 패널의 가치 523
<그림2-157> 폐패널 재활용 기술 관련 정부연구개발 투자 규모 및 과제 수(2015∼2020) 525
<그림2-158> 2016∼2020년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기술 관련 부처별 정부 R&D 투자비중 526
<그림2-159> 2016∼2020년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기술 관련 정부 R&D 투자비중 526
<그림2-160> PV 사이클(PV Cycle)의 태양광 폐모듈 회수 및 재활용 과정 529
<그림2-161> 태양광 폐패널 수거체계 구축 시범사업 개념도 533
<그림2-162>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운영체계 534
<그림2-163> VPP 플랫폼 개념도 538
<그림2-164> 공급형 VPP 540
<그림2-165> 수요형 VPP 541
<그림2-166> 융합형 VPP 541
<그림2-167> 2019~2030년 유럽 VPP 시장규모 예측 542
<그림2-168> VPP 투자 거래 건수 및 투자 가치 변화 543
<그림2-169> VPP 비즈니스 모델별 가치사슬 영역 544
<그림2-170> 소규모 전력공개시장 개요 547
<그림2-171> 전기차 V2G를 활용한 VPP 운영 550
<그림2-172> Next Kraftwerke의 관리용량 및 발생이익 552
<그림2-173> Shell의 전기차 충전 및 에너지서비스 부문 인수 추이 553
<그림2-174> 일본 송·배전사업자 수급조정(밸런싱)시장 개요 553
<그림2-175> SAPN의 VPP 운영 협력 사례 555
<그림2-176> Ausgrid의 VPP 운영 실증 사례 556
<그림2-177> 테슬라 오토비더(Autobidder) 플랫폼 556
<그림2-178> AGL의 VPP 구성 557
<그림2-179> 호주의 VPP 운영 모델 557
<그림2-180> V2G 시스템 기본 개념 558
<그림2-181> V2G 시스템 구성도 예시 559
<그림2-182> VPP 개념도 560
<그림2-183> VPP 발전 방향 및 고도화 방안 561
<그림2-184> VPP 플랫폼을 활용한 전기차 관련 수익 흐름 예시 562
<그림2-185> V2G와 VPP 연계 개념도 562
<그림2-186> 전기수소차 전략분야 내 전기차 충전인프라 위치 564
<그림2-187>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성체계 564
<그림2-188> 전기차 충전인프라 범위 565
<그림2-189> 전력공급 및 저장시스템의 구성도 566
<그림2-190> 헬리옥스의 ‘SprintCharge’ 567
<그림2-191> 전기차 충전 인프라 분야에서 유틸리티 업체가 맡을 수 있는 역할 568
Ⅲ. 국내외 태양광발전 관련 주요 업체 사업 동향 627
<그림3-1> Tongwei, 폴리실리콘 및 셀 생산능력 628
<그림3-2> Tongwei, 분기별 매출액 및 증감율 추이 629
<그림3-3> 실리콘 사업 분야 638
<그림3-4> 바이오 솔루션 사업 분야 639
<그림3-5> 폴리머 사업 분야 639
<그림3-6> 폴리실리콘 사업 분야 640
<그림3-7> Wacker, 폴리실리콘 생산공장 현황 641
<그림3-8> Wacker, 폴리실리콘 생산 공정 642
<그림3-9> Daqo New Energy, 폴리실리콘 CAPA 추이 646
<그림3-10> Daqo ASP vs. 원가 646
<그림3-11> Daqo New Energy 연간 매출 및 영업이익률 추이 647
<그림3-12> Hemlock 폴리실리콘 제조 공정 650
<그림3-13> 태양광 산업 밸류체인과 Longi Group의 산업 부문 653
<그림3-14> Longi 웨이퍼 생산능력 및 중국내 점유율 추이 653
<그림3-15> Longi 모듈 생산능력 및 중국내 점유율 추이 654
<그림3-16> Longi, 분기별 매출액 및 매출액 증가율 추이 654
<그림3-17> Jinko Solar 태양광 모듈 효율 동향 660
<그림3-18> Jinko Solar 제품 매출 현황 661
<그림3-19> Jinko Solar 지역별 매출 현황 661
<그림3-20> 타이거 네오(Tiger Neo) 패널 663
<그림3-21> 2021 년부터 전량 S6 판매 시작, 2023년에는 S7 판매 비중 20% 목표 665
<그림3-22> First Solar 지역별 생산설비 규모 및 제품 666
<그림3-23> First Solar 제품 매출 현황 666
<그림3-24> First Solar 지역별 매출 현황 667
<그림3-25> First Solar 모듈 출하량 및 신규수주 물량 추이 668
<그림3-26> 가정용 인버터 솔루션 시스템 671
<그림3-27> 상업용 인버터 솔루션 시스템 671
<그림3-28> 인버터 솔루션 vs 보편적 중앙 집약형 인버터 672
<그림3-29> 인버터와 옵티마이저, 글로벌 생산능력 672
<그림3-30> SolarEdge 제품군 673
<그림3-31> SolarEdge 제품 매출 현황 673
<그림3-32> SolarEdge 지역별 매출 현황 674
<그림3-33> 충청북도 음성, 배터리 생산 시설 셀라2 675
<그림3-34> OCI 지배구조 679
<그림3-35> OCI 실적 추이 681
<그림3-36> OCI 기업분할 및 지주회사 전환 개요 682
<그림3-37>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셀 구조도 692
<그림3-38> 한화솔루션 태양광 히트펌프 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