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8408282
· 쪽수 : 406쪽
· 출판일 : 2020-03-31
책 소개
목차
서문 … 5
Ⅰ. 서론: 한국사회의 역동성과 한국인의 집단주의 … 13
Ⅱ. 집단주의 이론과 한국인의 ‘우리’: 이론적 배경, 시각, 연구방법 … 37
1. ‘우리’, 집단주의의 한국적 모습, 그리고 그 속의 ‘나’ … 41
2. 집단주의 이론과 집단화 차원 … 60
(1) 집단주의, 서구 근대적 개인주의의 거울상 … 61
(2) 집단주의의 세 하위차원: 관계적 자기, 집합적 기능주의, 그리고 일반화한 타자 속의 자기 … 66
3. 집단주의의 한국적 양상 연구 … 82
(1) 국내 연구의 개관과 평가 … 82
(2) 본 연구의 대상, 성격, 방법 … 92
Ⅲ. 현대화의 맞이: 한국적 ‘우리’의 전통과 사회적 의의 … 99
1. 한국 집단주의의 원형적 형상: 조선 유교질서의 이념적 요소와 역동성 … 106
2. 조선사회의 사회동학과 한국적 ‘우리’의 원형적 유형들 … 121
(1) 관념/이익 단일체의 기본 동학과 사회적 얼개 … 121
(2) 사회적 신분 상승을 향한 유교적 동력의 중심, ‘가’와 ‘통’ 그리고 ‘보편/첨단 의 우리’ … 127
(3) 성별화된 집단적 기능주의/권위주의, 그리고 ‘향토적/연고적 우리’ … 134
(4) ‘서민으로서의 우리’와 대동(大同)을 향한 역동성 … 140
3. ‘현대’ 앞에 선 조선, 그 구심력과 원심력의 변증법 … 146
Ⅳ. 현대와의 조우, 그리고 타율적 현대화의 불씨(1880~1945) … 155
1. 새로운 보편성, 정당한 전체와 질서의 모색, 그리고 좌절 … 160
(1) 쇄국과 개항의 풍경 … 161
(2) 새로운 ‘나’와 ‘우리’를 향한 추구: 실학, 서학, 동학 … 167
(3) 신문명(新文明)과 기회의 유혹, 각자도생, 그리고 표류(漂流) … 178
2. 식민지하 현대화와 집단화의 구조적 얼개 … 189
(1) 일제 식민지배와 현대화의 특성 … 192
(2) 일제하 조선사회와 참여/사회통합의 구조 … 199
(3) 일본적 행정국가와 사회 합리화, 그리고 전통 속의 민중 … 207
3. 일제하 집단주의의 주요 양상과 그 발화(發火)적 원천들 … 218
(1) 총동원체제의 소용돌이와 ‘민족’을 둘러싼 집단화의 분기(分岐) … 219
(2) 출세(出世)·출신(出身)·저항: 현대화 지향 ‘청년’의 삼두마차 … 229
(3) ‘민족’으로 가는 마지막 비상구: 가족, 고향, 의리, 그리고 ‘진정한 나라’에 의 꿈 … 239
Ⅴ. 현대를 향한 질주와 그 집합적 수행자: 한국적 ‘우리’의 만개와 정립 (1945~1980) … 253
1. 자주적 현대화의 용광로, 그리고 폭력적 정치세계 … 259
(1) 신생 탈식민사회 조선: 민족을 향한 열망과 국가주의의 심화 … 261
(2) 해방된 인민대중의 사회 … 270
(3) 6.25전쟁과 이승만 정부하의 전쟁사회, 그리고 내집단(內集團)에의 강박 … 279
2. 현대화를 부과하는 국가와 집단주의의 대중 … 287
(1) 도시대중의 형성, 부상(浮上)하는 ‘우리’ 유형들, 그리고 앞서가는 집단 … 289
(2) 현대화와 국가능력, 합리적 엘리트, 그리고 대중 … 302
3. ‘근대화’로서의 산업화: 다차원적인 ‘우리’의 열망과 추구 … 310
(1) ‘보편적/첨단의 우리’와 상승 열망의 보편화, 그리고 벌열의 추구 … 311
(2) 성별화된(gendered) 우리: 가족적 기능주의와 여성의 오이코스적 역할, 그리 고 ‘공적 존재로서의 우리’ … 316
(3) ‘향토적/연고적 우리’: 가상화된 소속과 체면, 그리고 이익추구/승인을 위한 닫힌 우리 … 325
4. ‘근대화’의 불만-민주화: 저항과 참여로 되돌아선 ‘우리’의 속내 … 335
(1) 기업과 노동의 세계: ‘함께 잘살기’의 모순과 대항 집단화 … 335
(2) ‘서민으로서 우리’의 반격: 신중산층, 지역주의, 그리고 민주화 지도집단 … 346
Ⅵ. 결론: 한국 현대성과 ‘나’와 ‘우리’의 변증법, 그리고 새로운 의리를 향한 동경 … 361
참고 문헌 … 385
찾아보기 … 401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인은 흔히 희망과 기다림의 민족이라 불린다. 그렇다면 무엇이 우리를 그토록 분주하게 하고 숱한 좌절과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꿈을 추구하고 다시 일어나고 견디게 했을까?
현대화를 향해 달려가는 한국인과 한국사회가 보유한 에너지의 강력함은 이들을 집단화, 전체화, 집단적 역능화(力能化)의 방향으로 이끌던 한국 집단주의 특유의 논리와 구조에서 나왔다고 할 수 있다. …한국적 ‘나’와 ‘우리’가 상호작용하는 변증법의 요체는 개인적 성취를 상상된 소속집단의 이득과 상승, 열망 속에서 이상화, 성화시키는 그리고 그 반대 방향의 작용 또한 합리화하는 특유의 방식에 있는 것 같다.
한국사회의 현대화는 무엇보다도 전 국민적 ‘따라잡기’와 개인으로든 집단으로든 그리고 민족으로든 ‘자기(自己) 세우기’, 그리고 그를 위한 ‘우리’의 구축과 주장, 향상(向上)의 열망에 지배된 대중 운동의 과정이었다. … 본질은… 경쟁의 집단화이며… 사회의 일극을 향한 벌열 형성, 추구라는 한국 집단주의의 핵심을 기본논리와 동학으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