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8408305
· 쪽수 : 306쪽
· 출판일 : 2020-07-20
책 소개
목차
서문 ……5
Ⅰ. 역동적 한국인(Dynamic Korean) 의 출현 ……15
1. 한국인은 어떻게 자신의 역동성을 긍정하게 되었나? ……17
2. 왜 우리는 ‘다이내믹 코리안’에 주목하게 되었나? ……25
Ⅱ. 한국인을 바라보는 시선의 역사(1880-1980) ……31
1. 외국인의 눈에 비친 한국인 ……34
(1) 구한말 서양인에게 비친 한국인 ……36
(2) 일제 강점기 일본인의 한국인론 ……51
(3) 해방 후 외국인이 본 한국인 ……57
(4) 종합: 외국인이 본 한국과 한국인 ……61
2. 한국인의 눈에 비친 한국인 ……67
(1) 현대적 한국인론의 출발점: 식민지 지배에 대응한 ‘조선인론’ ……69
(2) 해방, 한국전쟁, 그리고 이승만 정부 전후 시기의 한국인론 ……74
(3) 4.19혁명과 1960년대 산업화 시기 이후의 한국인론 ……79
Ⅲ. 역동적 한국인의 역사와 이론적 접근 ……87
1. 역동적 한국인의 역사적 형성 ……90
(1) 조선 말, 일제의 억압과 민중의 저항 ……91
(2) 일제 강점기와 해방 후 기독교의 확산과 역동성 ……98
(3) 해방과 분단, 전쟁의 고통 속에서 피어난 교육 열망 ……102
(4) 산업화: ‘자신감’, 헌신 그리고 저항 ……107
(5) 권위주의 통치와 민주화를 향한 열망 ……112
2. 사회적 성격에 대한 이론적 접근 ……116
(1) 사회적 성격이란 무엇인가? ……116
(2) 지식사회학적 관점으로 보는 사회적 성격 ……120
(3) 사회적 성격에 대한 비교역사적 접근 ……123
(4) 사회적 성격 형성의 상호작용적 맥락: 사회적 위치와 정서의 공유 ……124
3. 한국인의 행위양식과 역동성의 개념적 이해 ……131
(1) 한국인론에 대한 사회학적 성찰 ……131
(2) ‘한국인의 역동성’의 개념적 이해 ……141
(3) 전통과 현대성의 모순적 융합과 다섯 가지 행위양식 ……148
(4) 다섯 가지 행위양식과 ‘한국인의 역동성’의 개괄적 이해 ……161
Ⅳ. 한국인의 역동성과 그 원천들: 이념과 행위양식 ……169
1. 가족주의: 씨족 가족주의에서 핵가족 가족주의로……175
(1) 가족, 가족주의의 개념적 이해 ……177
(2) 한국 가족주의의 특수성과 보편성 ……182
(3) 가족주의와 한국 사회의 역동성 ……185
(4) 1980년대 이후 가족주의의 전개와 전망 ……192
2. 집단주의: 개인과 전체의 모순적 결합 ……197
(1) 집단주의의 개념적 이해 ……200
(2) 집단주의의 보편성과 한국적 특수성 ……207
(3) 집단주의와 한국인의 역동성 ……214
(4) 1980년대 이후 집단주의의 전개와 전망 ……217
3. 민족주의: 종족적 민족주의와 시민적 민족주의의 경합 ……222
(1) 민족주의의 개념적 이해 ……224
(2) 민족주의의 보편성과 한국적 특수성 ……227
(3) 민족주의와 한국인의 역동성 ……231
(4) 1980년대 이후 민족주의의 전개와 전망 ……235
4. 실용주의: 현세주의에서 실리주의로 ……238
(1) 실용주의의 개념적 이해 ……239
(2) 실용주의의 보편성과 한국적 특수성 ……244
(3) 실용주의와 한국인의 역동성 ……251
(4) 1980년대 이후 실용주의의 전개와 전망 ……257
5. 평등주의: 평등주의와 서열주의의 대결 ……262
(1) 평등주의의 개념적 이해 ……265
(2) 평등주의의 보편성과 한국적 특수성 ……273
(3) 평등주의와 한국인의 역동성 ……281
(4) 1980년대 이후 평등주의의 전개와 전망 ……284
Ⅴ. ‘한국인의 역동성’ 연구의 미래 ……289
참고문헌 ……299
저자소개
책속에서
▶ 서문에서
한동안 후진국 병으로 취급받았던 ‘빨리빨리’ 문화가 어느새 역동성의 상징이 되어버렸고, 지금 세계적인 코로나 전염병 확산 사태에 직면하여 오히려 ‘빨리빨리’ 문화의 위력이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 역동성이란 것이 그동안 한국인들에게 없었다가 최근에 와서 갑자기 생긴 것인가? 예전에는 그렇게 비하하고 조롱하던 행동들에 왜 갑자기 역동성이라는 이름을 붙이며 긍정하게 되었는가? 게다가 한국 사회의 이러한 역동성이 어디서 나온 것인지를 한국인 스스로는 과연 잘 알고 있는가?
한국인의 역동성이 어떤 역사적 뿌리도 없이 갑작스레 생겨난 것도 아니고, 갑자기 부정적인 존재에서 긍정적인 존재로 변화된 것이 아니라면, 우리가 우리 자신을 ‘다이내믹 코리안’으로서 자긍심을 갖고 새롭게 인식하게 된 지금이야말로 본격적으로 ‘우리’ 혹은 ‘한국인’에 대해 새롭게 질문을 던질 때다. … 지금 우리가 긍정하는 ‘다이내믹 코리안’에 대해 역사적 경험 속에서 그 뿌리를 찾고 변화의 과정을 추적하는 일이야말로 한국인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이 책은 총론으로서 ‘다이내믹 코리안’이라는 주제 아래 진행되는 전체 연구 과정을 개괄적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전체 연구는 가족주의, 집단주의, 민족주의, 실용주의, 평등주의 등 다섯 가지 행위양식에 대한 개별적 연구를 포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