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농촌

농촌

(지리학의 눈으로 보는 농촌의 삶, 장소 그리고 지속가능성)

마이클 우즈 (지은이), 강마야, 김종수, 김찬규, 박경철, 송주연, 장효안, 최민영, 허남혁 (옮긴이)
따비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농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농촌 (지리학의 눈으로 보는 농촌의 삶, 장소 그리고 지속가능성)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농업 > 농업일반
· ISBN : 9788998439316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6-12-24

책 소개

다양한 기능과 상반되는 이미지가 교차하는 농촌을 파악하기 위해 9개의 주제를 다루고 있는 책

목차

옮긴이 서문 • 4

1장 농촌에 접근하기
왜 농촌인가 • 9 | 농촌을 연구하기 • 12 | 이 책의 범위와 구조 • 23

2장 농촌을 상상하기
들어가며 • 27 | 농촌의 역사적 구성 • 28 | 농촌을 알기 • 42 | 관계적 농촌 • 55 | 나가며 • 64

3장 농촌을 이용하기
들어가며 • 68 | 자원자본주의와 농촌경제 • 71 | 생산주의적 농촌 • 89 | 다기능적 농촌으로의 이행? • 103 | 나가며 • 114

4장 농촌을 소비하기
들어가며 • 118 | 농촌의 상품화 • 120 | 농촌의 경치, 소리, 맛 • 129 | 체화된 농촌 소비 • 151 | 나가며 • 162

5장 농촌을 개발하기
들어가며 • 165 | 근대화와 농촌개발 • 167 | 내생적 농촌개발 • 176 | 개도국의 농촌개발 재검토 • 187 | 나가며 • 196

6장 농촌에서 살기
들어가며 • 200 | 공동체, 소속, 농촌 공간 • 202 | 농촌공동체의 재구성 • 220 | 비인간 농촌 거주자 • 237 | 나가며 • 244

7장 농촌을 수행하기
들어가며 • 247 | 농촌 생활의 체화된 수행 • 249 | 농촌공동체를 수행하기 • 253 | 농장을 수행하기 • 262 | 사냥을 통한 농촌성의 수행 • 269 | 나가며 • 279

8장 농촌을 규제하기
들어가며 • 282 | 농촌정책의 수립 • 285 | 농촌경제에 대한 규제 • 294 | 환경을 규제하기 • 307 | 나가며 • 316

9장 농촌을 다시 만들기
들어가며 • 319 | 글로벌한 시골? • 321 | 위험에 처한 농촌, 여러 행위자가 함께 만드는 농촌 • 333 | 농촌의 반격 • 343 | 나가며: 관계적인 농촌지리 • 351

참고문헌 • 358

찾아보기 • 393

사진·상자·표 찾아보기• 396

옮긴이 소개 • 398

저자소개

마이클 우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웨일즈 에이버리스트위스대학교(University of Wales, Aberystwyth) 인문지리학 교수이다. 세계화와 농촌지역의 변화라는 주제로 많은 책과 논문을 쓰고 있다. 저서로 《현대 촌락지리학》(시그마프레스, 2014) 등이 있다. https://www.aber.ac.uk/en/iges/staff-profiles/listing/profile/zzp
펼치기
김종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회적협동조합 공동체세움 상임이사
펼치기
박경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연구원 농촌농업연구부 책임연구원. 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원 및 전문연구원(2003~07). 학부에서 농학, 석사에서는 지역사회개발을 공부하고 중국에서 사회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로 한국과 중국의 3농 문제를 연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농민기본소득, 토종씨앗, 농민인권, 도농교류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농촌의 변화를 보다》(2006, 공저), 《2011 중국의 재발견》(2011, 공저), 《중국대륙에서 부르는 타이항산 아리랑》(2013, 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이화림 회고록》(2015)이 있다.
펼치기
송주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 충남연구원 농촌농업연구부 연구원(2011~13). 《한국의 도시성장과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로 지리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도시 및 농촌사회지리학에 관심을 두고 있다. 주요 연구로는 〈도시의 질적 발전을 위한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이론적 탐색〉(2015), 〈우리나라 로컬푸드 원칙의 인식구조와 준수실태〉(2013), 〈경력 경로를 이용한 농촌리더화 과정 및 요인〉(2013), 〈외국인 이주자의 이주과정에 관한 연구〉(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장효안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 충남연구원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책임연구원. 학부에서 사회복지학, 석사로 사회적경제와 사회적기업, 박사로 조직민주주의를 공부했다(박사 수료). 사회적경제와 같은 인간 중심의 경제운동과 민주적인 운영에 관심을 갖고 있다. 저서로 《사회적경제의 발견》(2015), 《자활, 지역사회실천을 말하다》(2015)가 있다.
펼치기
최민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재)지역재단 먹거리정책·교육센터 연구원. 학부에서 산업·노동관계학, 석사로 사회학을 공부했다. 노동, 환경, 농업·농촌, 젠더, 이민자 등의 주제를 먹거리의 틀로 서로 관계 짓고 해석하는 데 관심을 갖고 있다.
펼치기
허남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재)지역재단 먹거리정책·교육센터 센터장. 전 충남연구원 농촌농업연구부 책임연구원(2010~13). 학부에서 경제학, 석사로 환경계획학, 박사로 인문지리학을 공부했다(박사 수료). 농업과 먹거리를 둘러싼 글로벌한 관계와 로컬에서의 대안에 관심을 갖고 있다. 저서로 《내가 먹는 것이 바로 나 ?사람·자연·사회를 살리는 먹거리 이야기》(2008)가 있고, 역서로 《로컬푸드》(2006), 《학교급식혁명》(2010), 《농업생명공학의 정치경제》(2006), 《먹거리정책》(2012)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찬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충남연구원 초빙책임연구원. 전 한국미래발전연구원 연구실장(2011~13). 학부 및 대학원에서 정치학을 공부했다(정치학 박사). 저서로 《진보와 권력 ?참여정부정책총서 정부운영편》(2011, 공저), 연구보고서로 《거버넌스시대 국정운영시스템과 철학》(2004, 공저), 역서로 《세계체제론 1》(1991, 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강마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연구원 농촌농업연구부 책임연구원. 학부부터 박사까지 줄곧 농업경제학을 전공했다. 주로 농가 경영과 소득 문제, 농업정책과 농업재정 문제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농촌이나 농업 현장과 관련 있는 사람들이라면 이 책을 한 번쯤 꼭 읽어보기를 권한다. 농업에 종사하든 농촌 컨설팅에 종사하든 농촌 관련 공무원이든 농산물 유통에 종사하든 간에, 현재 하고 있는 일을 한 발짝 떨어져서 객관화하고, 공간적으로 전세계의 다른 사례들을 비춰보고 시간적으로 역사적 궤적과 비춰보아 새로운 아이디어나 접근방식을 떠올릴 수 있도록 만들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근에 농업이나 농촌 등 새로운 ‘농’의 가치에 눈을 돌리는 청년들도 이 책을 꼭 읽어보고 장래의 비전을 만들어가기를 희망한다. 이것이 바로 현장에 대해 제공해줄 수 있는 사회과학 학문의 역할이기도 하다.


인류가 방어 가능한 정착지에 모이기 시작하면서 마을과 도시의 바깥 부분을 가리킬 개념이 필요해졌다.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용어인 ‘농촌’에 대해 가장 초기에 기록된 어원은 문자 그대로 ‘공터open space’를 가리켰다. 고대 로마에 이르자 시골을 ‘공간’으로 인식할 뿐만 아니라 도덕적·문화적 연상작용이 더해진, 더욱 정교한 농촌성의 표상이 나타났다. 로마의 시골은 먹거리와 자연자원, 하인, 군인의 원천으로 인식되었을 뿐 아니라, 군복무의 보상으로 재분배된 토지라는 정치적 자원이기도 했다. 부유한 로마인에게 시골의 별장은 도피처이자 지위의 상징이었다. 농촌에서 도시로 이주한 이주민은 거칠고 상스러운 사람으로 여겨졌다.


생산주의 농업이 농촌지역에 미치는 사회적·경제적 영향도 상당했다. 특히, 노동 전문화와 농장생산 과정의 기계화로 인해 선진 시장경제 국가의 농업부문 노동인구가 크게 감소했다. 영국에서는 고용된 농장 노동자의 수가 1940년대 80만 명에서 1990년대 30만 명으로 줄어들었다. 프랑스에서는 농민을 포함한 농업부문 노동인구가 1954년 500만 명 이상에서 1975년 200만 명가량으로 줄어들었다. 많은 농장 노동자가 일자리를 찾기 위해 농촌을 떠났고, 그로 인해 전후 초기의 농촌인구 감소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얄궂은 점은, 훗날 이주 추세가 역전되면서, 소읍과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이때 버려진 오두막과 농장 주택들을 구입하여 고급주택으로 개축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