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농업 > 농업일반
· ISBN : 9788998439316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6-12-24
책 소개
목차
옮긴이 서문 • 4
1장 농촌에 접근하기
왜 농촌인가 • 9 | 농촌을 연구하기 • 12 | 이 책의 범위와 구조 • 23
2장 농촌을 상상하기
들어가며 • 27 | 농촌의 역사적 구성 • 28 | 농촌을 알기 • 42 | 관계적 농촌 • 55 | 나가며 • 64
3장 농촌을 이용하기
들어가며 • 68 | 자원자본주의와 농촌경제 • 71 | 생산주의적 농촌 • 89 | 다기능적 농촌으로의 이행? • 103 | 나가며 • 114
4장 농촌을 소비하기
들어가며 • 118 | 농촌의 상품화 • 120 | 농촌의 경치, 소리, 맛 • 129 | 체화된 농촌 소비 • 151 | 나가며 • 162
5장 농촌을 개발하기
들어가며 • 165 | 근대화와 농촌개발 • 167 | 내생적 농촌개발 • 176 | 개도국의 농촌개발 재검토 • 187 | 나가며 • 196
6장 농촌에서 살기
들어가며 • 200 | 공동체, 소속, 농촌 공간 • 202 | 농촌공동체의 재구성 • 220 | 비인간 농촌 거주자 • 237 | 나가며 • 244
7장 농촌을 수행하기
들어가며 • 247 | 농촌 생활의 체화된 수행 • 249 | 농촌공동체를 수행하기 • 253 | 농장을 수행하기 • 262 | 사냥을 통한 농촌성의 수행 • 269 | 나가며 • 279
8장 농촌을 규제하기
들어가며 • 282 | 농촌정책의 수립 • 285 | 농촌경제에 대한 규제 • 294 | 환경을 규제하기 • 307 | 나가며 • 316
9장 농촌을 다시 만들기
들어가며 • 319 | 글로벌한 시골? • 321 | 위험에 처한 농촌, 여러 행위자가 함께 만드는 농촌 • 333 | 농촌의 반격 • 343 | 나가며: 관계적인 농촌지리 • 351
참고문헌 • 358
찾아보기 • 393
사진·상자·표 찾아보기• 396
옮긴이 소개 • 398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농촌이나 농업 현장과 관련 있는 사람들이라면 이 책을 한 번쯤 꼭 읽어보기를 권한다. 농업에 종사하든 농촌 컨설팅에 종사하든 농촌 관련 공무원이든 농산물 유통에 종사하든 간에, 현재 하고 있는 일을 한 발짝 떨어져서 객관화하고, 공간적으로 전세계의 다른 사례들을 비춰보고 시간적으로 역사적 궤적과 비춰보아 새로운 아이디어나 접근방식을 떠올릴 수 있도록 만들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근에 농업이나 농촌 등 새로운 ‘농’의 가치에 눈을 돌리는 청년들도 이 책을 꼭 읽어보고 장래의 비전을 만들어가기를 희망한다. 이것이 바로 현장에 대해 제공해줄 수 있는 사회과학 학문의 역할이기도 하다.
인류가 방어 가능한 정착지에 모이기 시작하면서 마을과 도시의 바깥 부분을 가리킬 개념이 필요해졌다.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용어인 ‘농촌’에 대해 가장 초기에 기록된 어원은 문자 그대로 ‘공터open space’를 가리켰다. 고대 로마에 이르자 시골을 ‘공간’으로 인식할 뿐만 아니라 도덕적·문화적 연상작용이 더해진, 더욱 정교한 농촌성의 표상이 나타났다. 로마의 시골은 먹거리와 자연자원, 하인, 군인의 원천으로 인식되었을 뿐 아니라, 군복무의 보상으로 재분배된 토지라는 정치적 자원이기도 했다. 부유한 로마인에게 시골의 별장은 도피처이자 지위의 상징이었다. 농촌에서 도시로 이주한 이주민은 거칠고 상스러운 사람으로 여겨졌다.
생산주의 농업이 농촌지역에 미치는 사회적·경제적 영향도 상당했다. 특히, 노동 전문화와 농장생산 과정의 기계화로 인해 선진 시장경제 국가의 농업부문 노동인구가 크게 감소했다. 영국에서는 고용된 농장 노동자의 수가 1940년대 80만 명에서 1990년대 30만 명으로 줄어들었다. 프랑스에서는 농민을 포함한 농업부문 노동인구가 1954년 500만 명 이상에서 1975년 200만 명가량으로 줄어들었다. 많은 농장 노동자가 일자리를 찾기 위해 농촌을 떠났고, 그로 인해 전후 초기의 농촌인구 감소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얄궂은 점은, 훗날 이주 추세가 역전되면서, 소읍과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이때 버려진 오두막과 농장 주택들을 구입하여 고급주택으로 개축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