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8439484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18-05-30
책 소개
목차
ICAS의 ‘농업 변동과 소농 연구 시리즈’에 관해 5
편집인 서문 8
옮긴이 서문 11
1. 농민과 사회 변혁: 분열을 낳는 논쟁거리 20
농민 이론의 정치적 관련성 40
농민 농업과 자본주의 49
차야노프는 어떻게 ‘천재’가 되었는가? 53
계보도 59
2. 차야노프가 발견한 두 개의 균형 62
농민 생산 단위: 무급, 무자본 64
첫 번째, 노동-소비의 균형 79
노동-소비 균형과 정치의 연관성 83
노동-소비 균형과 과학의 연관성 85
두 번째, 만족과 수고의 균형 89
‘주관적 평가’에 관해 96
자기 착취 100
3. 상호작용하는 더 높은 층위의 균형들 104
사람과 살아 있는 자연 사이의 균형 105
생산과 재생산의 균형 116
내부 자원과 외부 자원의 균형 120
자율성과 의존성의 균형 126
규모와 집약도의 균형(그리고 영농 스타일의 출현) 130
적대적 환경 속에서 진보를 위한 투쟁 135
종합을 대신하여: 농민 농장 140
분화에 관한 마지막 메모 148
4. 보다 넓은 맥락에서 본 농민 농업의 위치 154
교환이 매개하는 도시-농촌 관계 156
이주가 매개하는 도시-농촌 관계 160
영농 대 식품가공 및 마케팅 162
국가-농민층 관계 165
농업 성장과 인구 성장의 균형 170
5. 단위수확량 172
현재의 노동 주도형 집약화 메커니즘 182
노동 주도형 집약화의 의미와 범위 200
노동 주도형 집약화가 차단될 때 203
무엇이 노동 주도형 집약화를 촉진하는가? 206
집약화와 농업과학의 역할 208
농민이 세계를 먹여 살릴 수 있을까? 224
6. 재농민화 232
재농민화의 과정과 표현 237
서유럽의 재농민화: 균형 재설정 239
용어 해설 246
참고문헌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