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88998602321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6-10-2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두 번째 결별, 무엇이 다르고 무엇이 같은가?
PART 1 다시 맞은 결별의 시대
01 왜 결별의 시대인가
마지막 순간, 나폴레옹이 들은 환청 | 대기업이 운영한 싸이월드와 풋내기 대학생이 만든 페이스북 | 뉴 노멀의 반대말은 올드 노멀이 아니라 ‘애브노멀’ | 세계 3대 구조조정 컨설팅사가 한국에 눈독 | 진짜 구조조정은 아직 시작되지도 않았다 | 더 이상 경쟁자가 아니다, 이제 우리는 도전자다 | 사람 수명은 늘고 기업 수명은 짧아진다 | 병든 대마는 살리기 더 어렵다 | 네 탓이오, 모두가 네 탓이로소이다 | 조용한 지각 변동, 의대보다 공대 | 절박함 더하기 관성은 필패
02 위기는 상시적이 되었다
사오정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 명예 없는 명예퇴직, 정상 없는 임금피크 | 하나의 세계를 파괴하지 않으면 안 된다 | 거의 모든 것과 결별해야 하는 시대
PART 2 뉴 노멀 시대 생존 전략
03 파괴적 혁신이 만드는 세상
파괴와 혁신의 일반화 | 스타벅스는 무엇을 파는가 | 골드만삭스가 실리콘밸리에서 주주총회를 여는 이유 | 이것은 누가 만드는 약병입니까 | 버버리 CEO가 애플로 간 까닭은? | 마켓셰어에서 라이프셰어로 | 나를 백화점이라 부르지 말아다오 | 한국 기업과 대학에 닥친 갈라파고스 위기 | 소유의 종말이 만드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 내연기관이 사라지고, 자동차업계 판도가 바뀐다 | 차세대 자동차 시장 주인공은 IT 기업 | 그래픽 제조업체가 자동차 시장 강자로 떠오르다 | 애플, 구글, MS가 음성 비서에 빠지다 | 4차 산업혁명, 제조업의 위기 또는 기회
04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상식을 깨는 사람들 | 삼성전자의 반성, 결별을 예고하다 | 왜 ‘스타트업 삼성’을 선언했나 | 살아남은 기업들의 비밀 | 순혈주의는 뜨거운 피를 냉각한다 | 존댓말 쓰면서 상하관계 없앨 수 있나 | 굳이 친목을 도모하지 않습니다 | 결혼 관계도 재정립하자는 움직임 | 이들은 사악하고 괘씸한 직장인인가 | ‘9 to 6’를 버려라
PART 3 언더 독의 기회
05 격변은 기회다
없는 자가 불리하지 않은 시대 | 신인이 베테랑을 때려눕히다 | 세상에 맞출 것인가, 나에게 맞출 것인가 | 재봉건화하는 한국 사회 | 싸우고 덤비고 도전하라
과연 누가 골리앗인가 | 직원 1인당 가치가 7700만 달러인 회사
06 그들 모두 언더 독이었다
레이쥔 “안 되는 게 어딨어” | 트래비스 칼라닉 “겸손 따위 개나 줘버려” | 앨런 멀러리 “서슴없이 적색등을 켜라”
07 언더 독의 도전 방식
취향과 취미는 최고의 콘텐츠 | 성공한 스타트업 창업자들은 미쳤다 | 새로운 미디어 시대를 여는 앙팡 테리블 | 1인 기업과 프리랜서는 다르다
PART 4 영 포티의 숙명
08 변화의 시대를 살아온 특별한 세대
젊은 언더 독의 파트너 | 역사상 가장 젊은 40대, 강남 좌파의 주축 | 영 포티의 6가지 특징
09 누가 당당한 결별을 주도하는가
영 포티는 한국 사회 진화를 위한 킹 핀이다 | 누가 40대의 변신을 두려워하는가 | 머리는 앞서가도 몸이 따라주지 않은 386세대 | 공자의 ‘불혹’ 이제는 버릴 때다 | 왜 영 포티가 나서야 하는가 | 40대와 2030이 결합한 스타트업 모델 | 대한민국을 발전시킬 환상의 조합
PART 5 버티는 힘, 결별하는 용기
10 버티는 힘
꿈꾸기와 버티기 | 몇 년 치 생활비가 마련되어 있는가 | 메이저리거의 당당한 버티기 | 퇴사학교와 인생학교
11 결별하는 용기
버려야 얻는다 | 왜곡된 자존심을 버리는 용기 | 우리 모두에겐 자신만의 바둑이 있다 | 당신의 세 번째 직업은 무엇인가 | 함께 살아갈 방법은 없을까? | 생활 자체가 공동체 비즈니스가 된다면 | 폭탄 돌리기가 탄생시킨 헬조선 | 미래를 위한 결별
에필로그 · 세상은 당신을 기다려주지 않는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글로벌스탠더드가 한 번 바뀌고 마는 게 아니라 늘 쉴 틈 없이 변화 중이고 앞으로도 이 변화가 지속적이라면, 소극적인 적응만으로는 문제에 근원적으로 대처할 수가 없다. 최선의 방어는 공격이고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미래를 창조하는 것이다. 지금 우리는 수동적인 자세가 아니라 능동적 관점으로, 적응하기보다는 창조와 혁신을 주도함으로써만 오늘의 시대를 헤쳐갈 수 있다.
싸이월드와 페이스북 초창기 조건을 비교해보면, 전자는 국내 유력 재벌 그룹이 실시한 서비스인 데 반해 후자는 초기 가입자가 개발자인 마크 주커버그를 포함해 25명에 불과한 대학생 동아리 수준의 사교 네트워크였다. SK는 무궁무진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시장에 먼저 발을 들여놓고도 이를 키워내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