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98614607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19-01-2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01 고구려의 저력과 기개의 상징_ <안시성>
02 동아시아의 대국 고구려는 어떻게 멸망했나_ <평양성>
03 고려 왕실의 핏빛 스캔들_ <쌍화점>
04 수양대군은 피도 눈물도 없는 악한인가_ <관상>
05 성리학적 규범을 초탈한 왕, 연산군_ <왕의 남자>
06 기생, 불우하고 슬픈 계급의 여인들_ <황진이>
07 임진왜란기 백성의 영웅이 된 반란자_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08 정유재란을 승리로 이끈 결정적 전투_ <명량>
09 폭군이라는 누명을 쓰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왕_<광해, 왕이 된 남자>
10 병자호란, 뼈아픈 항복의 역사와 강인한 민초_ <최종병기 활>
11 구중궁궐 속 뜻밖의 권력_ <궁녀>
12 넘어설 수 없는 신분제의 벽_ <방자전>
13 정조 암살 미수 사건_ <역린>
14 유교 순정주의에 반하는 자유로운 예술혼_ <미인도>
15 천재 관료 정약용의 기록되지 않은 나날_ <조선명탐정: 각시투구꽃의 비밀>
16 조선 시대에도 B급 성인 소설이 있었을까_ <음란서생>
17 19세기 세도정치의 혼란과 부패_ <혈의 누>
18 수탈을 견디다 못해 일어선 백성_ <군도>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2000년 이후 제작된 한국 역사 영화의 시대 배경은 대개 조선 시대나 근현대에 집중되어 있다.
“이 책은 관객들이 영화의 재미뿐 아니라 역사에 대한 흥미까지 함께 느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쓰였다. 전공자이거나 역사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면 모든 역사 영화의 시대상을 잘 알기는 무척 어렵다. 그러나 역사 영화를 볼 때 영화가 다루는 시대 배경이나 인물을 알면 영화 보는 재미가 배가되는 것은 분명하다. 『한국사 영화관』을 출간한 후 다양한 대중 강연을 다니면서 관객이자 독자를 많이 만났다. 영화를 볼 때 잘 몰랐던 역사적 사실을 알고 나자 영화가 더 재미있어졌고, 역사를 더 공부하고 싶기도 하고 영화와 다른 관점으로 당대를 생각해 볼 여지가 생겼다는 분들이 많았다. 이것이 더 많은 영화를 다루면서 『한국사 영화관』을 두 권으로 개정, 증보한 계기가 되었다.”
―「머리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