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 회화

조선 회화

홍선표 (지은이)
한국미술연구소CAS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원 -5% 0원
1,140원
36,8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 회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 회화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한국미술
· ISBN : 9788998680022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4-05-30

책 소개

조선 회화를 기존의 연대기적 서술 방식에서 벗어나 사회문화적 기반과 기록들을 추적하고 대외관계를 밝힌다. 1부 '조선왕조와 회화', 2부 '조선 회화의 대외관계', 3부 '조선의 작가상', 4부 '조선의 회화세계'로 구성되었다.

목차

책 머리에

Ⅰ. 조선왕조와 회화
1. 조선시대 문사들의 고동서화 수집과 감상 취미
2. 조선시대 궁궐의 그림 치장
3. 조선 전기 서거정의 회화 관련 기록
4. 조선시대 경기지역 연고 문인화가들의 회화 활동
5. 뿌리 깊은 나무, 남도의 전통회화
6. 화원의 역사와 직무

Ⅱ. 조선 회화의 대외관계
1. 15.16세기 조선화단의 중국화 인식과 수용태도: 명나라와의 관계 변화를 중심으로
2. 명말 청대 서학서의 시학지식과 조선 후기 회화론의 변동
3. 명.청대 서학 관련 삽화 및 판화의 서양화법과 조선 후기의 서양화풍
4. 상업출판 문화와 『개자원화전』 초집의 편찬내용
5. 17.18세기 한일 회화교류의 관계성: 에도시대의 조선화 열기와 그 영향

Ⅲ. 조선의 작가상
1. 조선 초 회화의 양대 산맥, 안견과 강희안
2. 문인화사 정선의 작가적 생애와 창작론
3. 시서화를 겸비한 최초의 전업화가, 최북의 작가상과 작품성
4. 김홍도 생애의 재구성
5. 화류계의 여항화가 신윤복

Ⅳ. 조선의 회화세계
1. <몽유도원도>의 창작세계: 선경의 재현과 고전산수화의 확립
2. 조선 전기의 계회도 유형과 해외소재 작품들
3. 조선 전기 <18학사도>의 신원
4. 만력 임진년(1592) 제작의 <호작도>: 한국 까치호랑이 그림의 원류
5. <인왕제색도>의 해석과 평가 문제
6. 서울역사박물과 소장의 조선 회화
7. 조선 민화의 새로운 관점과 이해
8. 조선의 춘화와 '춘첩'의 성풍속
9. 조선시대 감로회도의 연희 이미지


인명 색인
용어 색인

저자소개

홍선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한국회화사를 전공하고, 일본 규슈대학 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에서 「근세 한일회화교류사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현대미술관 운영위원과 문광부 학예사 운영위원, 문화재청과 서울특별시, 경기도 문화재위원, 일본 문부성 일본국제문화연구센터 특별초청연구원, 미술사연구회와 소치연구회, 한국미술사교육학회,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한국미술사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홍익대 대학원과 고려대 대학원, 연세대 국제대학원, 서울대 대학원에서 강의했으며, 한국전통문화대 대학원 석좌교수를 지냈다. 이화여대 대학원 미술사학과 교수로 정년퇴임하고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사)한국미술연구소 이사장, 『미술사논단』 발행인 겸 편집인이다. 1979년 이래 300여 편의 논고를 통해 한국의 전통회화와 근현대 회화의 통시성과, 동아시아 회화와의 관계성 및 통합성을 연구해 오고 있다. 저서로 『조선시대 회화사론』(1999, 월간미술 학술대상, 문광부 우수학술도서, 교보문고 주관 전문가가 뽑은 1990년대 100권의 저서), 『고대 동아시아의 말그림』(2001, 마사박물관 학술도서, 비매품), 『한국의 전통회화』(2009, 문고판), 『한국근대미술사』(2009, 한국미술저작상), 『조선회화』(2014, 우현학술상), 여명관련 『韓國近代美術史』(東京大學出版會2019), 『한국회화통사1 선사‧고대회화』(2017), 『한국 근현대미술사론』(2022, 출판 콘텐츠 창작 지원 도서)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화원의 역사와 직무
'화원(畵員)'은 조선왕조의 도화 업무에 종사하던 관직 화가로, 『경국대전』에 법제화된 명칭이다. 중국에도 일본에도 고려에도 직업화가로서 이런 칭호는 없었다. 우리나라의 조선시대에서만 사용되었으며, 도화서(圖畵署)에 소속되어 '도화서관원', '도화서원', '도화서화생'으로도 불렸다. '원(員)'은 관리를 뜻하기도 했다. 그래서 근세 일본에서는 조선 화원을 '화관(畵官)'으로도 표 기했었다. 화원을 '유직의관인(有職衣冠人)'이라고 했듯이 관직이 있는 의관을 갖춘 화가로서 작명된 것이다.
화원은 조선시대 이전부터 사용되던 '화공(畵工)'과 '화사(畵師·畵史·畵士)', '화수(畵手)' 등과 통칭되기도 하였다. 드물게 '족사(族史)'로 기재된 바도 있다. 화공은 도화서 생도와 유사한 것으로 오래 종사하여도 벼슬을 제수 받지 못한 관직 없는 화가라는 의미로 쓰인 적도 있다. 천류(賤流)에 속하는 공장工匠의 직역성과 신분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기도 했고, 의궤의 공장질 등에서 화사(畵師)와 함께 화원과는 다른 유형의 화가 명칭으로 기록되기도 했다. 그러나 화공이나 화사, 화수와 같은, 화원 이외의 호칭들은 대부분 그림에 전문적인 기예를 지닌 사람을 가리켜 부르는 보통명사로 쓰인 적이 많다. 조선시대 문집류에서 화가 일반을 지칭할 때 화원으로 표기한 예는 거의 없고 화공과 화사 순으로 주로 명기한 것으로도 이들 명칭의 용례를 짐작할 수 있다.


문인화사 정선의 작가적 생애와 창작론
겸재 정선(鄭敾, 1676~1759)은 한국 회화사의 새로운 전통을 수립한 '거벽'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전문적인 기량을 갖춘 '유화배(儒畵輩)' 또는 '회소가(繪素家)'의 선구적 작가로도 미술사적 의의를 지니지만, 고전을 형식적으로 모방하던 기존의 '정형산수화풍'을 갱신하고 '진경산수 화풍'을 창신 한 작가로 특히 유명하다. 그의 이러한 창작 활동은 조선 후기를 문예 발흥과 회화 창달의 시대로 빛나게 했다는 점에서도 각별하다.


조선의 춘화와 《춘첩》의 성풍속
춘화(春畵)는 남녀 간의 성행위 장면을 그린 그림을 말한다. 조각품으로 만든 것은 '춘의(春意)'라 불렀다. 주술과 방중술, 최음 및 향락 등의 용도로 제작되었으며, 이규경(李圭景, 1788~1856)은 "동욕조흥(動欲助興)" 즉 "욕정을 일으키고 흥감을 돕는 것"이라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춘도(春圖)' 또는 '춘화도(春花圖)'로도 표기했다. 명나라 말 기의 만명 호색문화의 파급과 함께, 18·19세기의 기생방을 중심으로 발흥된 한양의 도회지적인 유흥쾌락 풍조와 결부되어 대두한 것으로 보인 다. 이들 그림은 유곽인 '협사(狹斜)'의 비속한 풍속화도 즐겨 그렸다고 전하는 김홍도의 야루한 이속도(俚俗圖)와, 여색을 탐하고 색정을 암시하는 소재를 많이 다룬 신윤복의 춘정류 풍속화를 한층 더 적나라하게 묘사한 것으로 생각되며, 양자의 연계성이 추측된다. 다시 말해 조선 춘화는 16세기 이래 동아시아 호색문화의 확산과 더불어 야루한 이속도나 춘정류 풍속화가 외설화되고 노골화된 양태로 전개된 것이 아닌가 싶다.
이러한 춘화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에로티시즘 문화로, 당시의 성풍속을 반영하고 있을 뿐 아니라 남녀 간의 욕정을 둘러싼 시정市井의 새로운 사회문화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어 각별하다. 특히 이 시기 최고의 풍속화가 김홍도와 신윤복의 화풍이 반영되어 있는 춘화들은, 사실력과 예술적인 격조에 의한 회화성을 지니고 있어 더욱 소중하게 여겨진다. 이들 그림의 정겹고 흥겨우면서 박진감 넘치는 작풍은, 중국과 일본의 춘화들과 특색을 달리 하면서 조선 후기 특유의 인정물태와 심미적 풍류정서를 생생하게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미술사적 가치에 대한 조명이 필요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