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한국미술
· ISBN : 9788998680190
· 쪽수 : 498쪽
· 출판일 : 2022-11-21
책 소개
목차
서언 - 중세 전기 회화로서의 고려시대 회화
1장 - 고려 초기 회화
초상화 제도의 수립
어용 제작과 궁중 봉안시설의 탄생
왕의 어용의 제작 | 태조 왕건의 청동상 | 궁중 봉안 시설, 경령전의 건립
공신상 및 화상 봉안과 영제影祭의 확산
공신 초상의 등장 | 문사상과 성현상의 봉안 | 영정 제례의 확산
궁전 장식과 의병扆屛 제도의 정착
어좌의 장엄 | 궁전 치장과 각종 병풍
새로운 회화활동과 화제의 대두
‘착색산수도’와 ‘본국팔로도’ | 고려 화접선의 명성과 인기화접선에 그려진 풍속과 화조 | 지형도 유형의 실경도
불교회화의 새로운 전개
오백나한상과 각종 불화 | ‘행도천왕도’ | 현존하는 고려 최초의 사경변상화현존하는 한국 최초의 판경변상화
고분벽화의 부활
현릉 고분벽화의 매화나무와 대나무, 소나무
2장 – 고려 중기 회화
북송과의 회화교류와 서화 수장시설의 설립
문종대의 회화교류
북송과의 국교 재개와 고려 사절의 도화 구입 | 상국사 벽화의 이모와 회화교류
예종과 인종대의 회화교류
선화전 휘종 화적의 관람 | 일급 화인들의 왕래와 상인들의 교역
서화 수장시설 및 전관처의 설립
문인화가의 탄생과 문인화 및 화론의 태동
문인화가의 탄생과 문인화의 태동
문인화론의 대두
화국畫局의 설치와 화사의 활약
화국 및 도화원과 화업 | 이녕과 화국 화사의 활약 및 원체화풍
산수화의 약진
『어제비장전』의 산수판화
실경산수화의 태동과 발전
이녕의 ‘예성강도’와 ‘천수사남문도’
중기 불교회화의 전개
중기 불교회화의 북송과 교류
상국사 벽화의 모사
사경변상화와 판경변상화의 화풍
3장 – 고려 후기 회화
서화 애호풍조의 확산과 감평활동의 태동
문방과 방장에서의 서화 애호 | 최초의 감평가 이규보
사대부 회화이론의 심화
문인화론의 본격화 | 창생적 창작론의 태동
묵희 풍류의 확산과 묵죽화의 풍미
묵희 풍류의 확산 | 최고의 묵죽화가 정홍진안치민과 이인로, 김군수의 묵죽화 | 묵죽 문양과 초목류 문인화
인물화의 새로운 변화
고사인물화의 대두와 효방
선종화의 태동
공예화의 동자상
강남경 산수화의 대두와 이곽파 화풍의 전개
수묵화풍 강남경 산수화의 대두와 소상팔경도
강남경 산수화의 대두 | 소상팔경도의 발생과 수용
이곽파 화풍의 전개
변상판화의 이곽파 화풍 | 오백나한도의 이곽파 화풍
화조화의 성행과 화조문
화조화 애호풍조 | 지당소경과 절지영모 화조문의 화풍
후기 불교회화의 전개
불교회화의 증식
사경화의 백미, 법화서탑도 | 후기 변상판화의 특징
동아시아 유일의 각 폭 오백나한도
고분벽화의 부흥과 변화
4장 – 고려 말기 회화
원나라와의 회화교류
충선왕의 만권당과 회화교류
주덕윤과 이제현의 회화교류 | 고려 말기 회화교류의 다양성
서화 애호와 사대부 회화관의 성숙
서화고동 애호와 수장풍조 | 신흥사대부 회화관의 성숙
공민왕의 서화활동
기록에 남은 공민왕의 초상화와 도석화, 불화 | 산수화 및 어해화와 글씨
인물화의 여러 양상
초상화
현존하는 공민왕 진영의 실체 | 사대부 초상화의 확산 | 안향과 이제현 초상화
고사인물화
송원대 고사인물화의 확산 | 고사인물화의 전칭작들
도석인물화
선종화 | 신선도
공민왕 전칭의 <천산대렵도> 잔편들
풍속화 모티프의 확장
불화 속의 풍속 인물상
세속인상 | 승속 인물상과 비구와 비구니 | 나한상의 세태 이미지 | 미인상과 동자상
산수화의 발흥
제화시의 산수화 주류 경향
운산도와 청산백운도의 대두 | 수묵산수화의 심화
전칭작 산수화의 화풍
불화 속의 산수 표현
지온인 소장 <오백나한도>의 산수 표현 | 변상도의 산수 표현수월관음도의 산수 표현
실경산수화의 확산과 금강산도의 탄생
삼한산수천하설과 금강산도의 탄생 | 노영의 금강산도
동물 및 화조, 화훼, 묵죽, 전각 등의 화풍
동물 및 화조화 | 화훼화와 묵죽 | 전각도의 화풍십장생도와 처용화상 및 기물도의 대두
말기 불교회화의 번성
사찰 벽화
탱화의 유형과 특징
비로자나여래 계열 | 아미타여래 계열 | 약사여래 계열 | 미륵여래 계열치성광여래 계열 | 관음보살과 지장보살 계열 | 신중도와 나한도 계열
사경변상화와 판경변상화
사경변상화 | 판경변상화
여말선초 고분벽화의 종언
권준묘와 공민왕릉의 벽화 | 박익묘와 노회신묘의 벽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