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98742898
· 쪽수 : 524쪽
· 출판일 : 2017-06-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4
화엄경 해제 … 14
1. 경명 … 14
2. 화엄경 편찬 … 14
1) 화엄경, 인도에서 대승경전으로 편찬되다 … 14
2) 화엄경, 중국에서 번역되다 … 16
3) 화엄경, 한국에서 번역되다 … 17
3. 화엄경의 구성 … 18
1) 제1회 법보리도량 : 『화엄경』의 서론 - 비로자나부처님의 성불 … 18
2) 제2회 보광명전(1) : 본론 - 보살이 성불해 가는 과정 1 - 10신(十信) … 19
3) 제3회 도리천궁 : 보살이 성불해 가는 과정 2 - 10주(十住) … 21
4) 제4회 야마천궁 : 보살이 성불해 가는 과정 3 - 10행(十行) … 24
5) 제5회 도솔천궁 : 보살이 성불해 가는 과정 4 - 10회향(十廻向) … 26
6) 제6회 타화자재천궁 : 보살이 성불해 가는 과정 5 - 10지(十地) … 27
7) 제7회 보광명전(2) : 보살의 성불 직전 - 등각(等覺) … 29
8) 제8회 보광명전(3) : 보살의 성불 - 묘각(妙覺) … 32
9) 제9회 기수급고독원 : 결론 - 중생의 성불의 모든 과정(해탈문) … 33
첫 번째 법회장소인 법보리도량에서의 설법 : 화엄경의 서론
고요한 깨달음의 장소에서 … 37
- 비로자나부처님의 성불 -
1. 세주묘엄품(世主妙嚴品) … 38
_ 세상의 모든 신들이 부르는 찬탄의 노래
2. 여래현상품(如來現相品) … 46
_ 부처님이 모습을 드러내시다
3. 보현삼매품(普賢三昧品) … 53
_ 보현, 부처님의 광명 속으로 들다
4. 세계성취품(世界成就品) … 61
_ 부처님의 세계를 보다
5. 화장세계품(華藏世界品) … 79
_ 연화장세계를 보이다
6. 비로자나품(毘盧遮那品) … 105
_ 화엄의 교주이신 비로자나부처님
두 번째 법회장소인 보광명전에서의 첫 설법
십신(十信), 삼보에 대한 믿음을 세우다 … 121
- 보살이 성불해 가는 과정 1 -
7. 여래명호품(如來名號品) … 122
_ 믿음의 대상은 부처님이다
8. 사성제품(四聖諦品) … 142
_ 모든 괴로움을 벗어나는 길
9. 광명각품(光明覺品) … 149
_ 행복의 길
10. 보살문명품(菩薩問明品) … 171
_ 어떤 의심을 버려야 믿음이 생길까? 10신(十信)
11. 정행품(淨行品) … 185
_ 3업(三業) 속에서 지혜롭게 사는 법
12. 현수품(賢首品) … 193
_ 현수보살이 들려주는 믿음의 공덕 357가지
세 번째 법회장소인 도리천궁에서의 설법
십주(十住), 가치관을 세우다 … 203
- 보살이 성불해 가는 과정 2 -
13. 승수미산정품(昇須彌山頂品) … 204
_ 하늘에 오르신 부처님
14. 수미정상게찬품(須彌頂上偈讚品) … 209
_ 청법 대중들의 찬탄의 노래
15. 십주품(十住品) … 218
_ 불자의 가치관을 형성하자
16. 범행품(梵行品) … 237
_ 10주를 완성시키기 위한 청정한 수행
17. 초발심공덕품(初發心功德品) … 244
_ 발심한 보살은 부처님과 같다
18. 명법품(明法品) … 256
_ 청정한 보살은 10바라밀로 중생을 만족시켜라
네 번째 법회장소인 야마천궁에서의 설법
십행(十行), 행복한 마음으로 실천하기 … 273
- 보살이 성불해 가는 과정 3 -
19. 승야마천궁품(昇夜摩天宮品) … 274
_ 부처님이 보리수 아래를 떠나지 않고 야마천궁으로 향하시다
20. 야마궁중게찬품(夜摩宮中偈讚品) … 278
_ 야마천궁에서 행복한 마음으로 설법하시다
21. 십행품(十行品) … 289
_ 행복한 마음으로 살아가기 위한 열 가지 실천법
22. 십무진장품(十無盡藏品) … 325
_ 불자의 행동강령, 행복한 삶으로 자신을 변화시킨다
다섯 번째 법회장소인 도솔천궁에서의 설법
십회향(十廻向) … 333
- 보살이 성불해 가는 과정 4 -
23. 승도솔천궁품(昇兜率天宮品) … 334
_ 도솔천에 오르신 부처님과 함께 행복의 길을 만나다
24. 도솔천궁게찬품(兜率天宮偈讚品) … 339
_ 도솔천궁에 광명을 나투신 부처님의 덕을 찬탄하다
25. 십회향품(十廻向品) … 347
_ 도솔천궁에서 행복 나눔인 회향에 대해 말씀하시다
여섯 번째 법회장소인 타화자재천궁에서의 설법
십지(十地) … 367
- 보살이 성불해 가는 과정 5 -
26. 십지품(十地品) - 보살의 지혜 나눔 … 368
_ 보살수행자, 드디어 깨달음의 빛이 보이는 길목에 서다
일곱 번째 법회장소인 보광명전에서 두 번째 설법
등각(等覺) … 397
- 모든 이들이 부처다 -
27. 십정품(十定品) … 398
_ 삼매의 장
28. 십통품(十通品) … 402
_ 깨달음과 함께하는 신통에 대하여
29. 십인품(十忍品) … 405
_ 진정한 걸림 없는 지혜가 생기는 길
30. 아승지품(阿僧祇品) … 408
_ 수의 무한성
31. 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 … 411
_ 시간의 무한성
32. 제보살주처품(諸菩薩住處品) … 415
_ 모든 곳에 계신 보살
33. 불부사의품(佛不思議品) … 418
_ 부처님의 법을 생각한다
34. 여래십신상해품(如來十身相海品) … 421
_ 부처님의 몸을 97가지로 나타내다
35. 여래수호광명공덕품(如來隨好光明功德品) … 423
_ 빛의 공덕을 설하다
36. 보현행품(普賢行品) … 426
_ 보살의 뛰어난 실천
37. 여래출현품(如來出現品) … 430
_ 믿음이 있는 이는 온 세계에 가득한 부처님을 만나게 되리라
여덟 번째 법회장소인 보광명전에서 세 번째 설법
묘각(妙覺) 1 … 435
- 보살의 실천을 총괄하는 장(章) -
38. 이세간품(離世間品) … 436
_ 처염상정, 연꽃처럼 세상에 머물되 번뇌에 물들지 말라
아홉 번째 법회장소인 기수급고독원에서의 설법
묘각(妙覺) 2 … 443
- 선재의 구법여행기 -
39. 입법계품(入法界品) … 444
_ 세상 모든 이들이 부처이며 선지식임을 믿고 그들을 찾아 떠나는 선재동자
40. 보현행원품(普賢行願品) … 508
_ 아름다운 세상과 행복을 만들어 가는 길, 보현행원
참고문헌 … 518
저자소개
책속에서
화엄경은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성취한 직후에 벌어지는 우주의 상황과 그 깨달음으로 향해가는 이들이 만나게 되는 다양한 방법론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우주에서 주인 역할을 하고 있던 신들은 자신들이 속한 세계 속에서 신이 아닌 인간이 일으킨 엄청난 변화를 일으키는 지혜의 물결을 만나게 됩니다.(p.4)
부처님이 설법하시는 방법은 부처님 몸 곳곳에서 찬란한 광명을 발산하면, 함께 있던 보현을 비롯한 보살대중들이 삼매에 들어 부처님의 깨달음에 관한 모든 것을 눈으로 보고 귀로 듣게 하시는 것입니다. 요즘 말로 하면 시청각교육 혹은 홀로그램을 이용한 수업을 하신 것입니다. 일차적으로 그 수업을 들은 보살들은 조교가 되어서 삼매에 들지 못한 보살대중을 위한 2차 수업을 하게 되었고, 이때는 시청각교육 후 그 상황에 따른 질문을 받고 대답하는 방식의 교육이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화엄경은 2600년 전 부처님께서 깨달았던 그 모든 내용을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만, 현대의 모든 과학과 물리학과 의학이 지금도 실현하기 어려운 가능성에 대해 무한대로 열려 있다는 것을 이제 여러분들도 알게 될 것입니다. 이 화엄의 정신은 철학이 되고 예술이 되어, 우리가 가진 순수한 영혼(참 나=진여)과 만나 그 어디에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방대하고 자유자재한 힘을 갖게 합니다.
세상 모든 것은 인연 따라 일어나고, 인연 따라 사라지지만 이 순수한 영혼과 만난 화엄의 정신은 우리를 일체 모든 곳을 향해 나아가게 하고 그 길에서 만난 모든 이들을 자유롭고 행복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화엄의 정신은 바로 부처님의 정신입니다. 화엄은 일체 모든 생명들은 다 존귀하며 그 존귀한 것들과 함께 모든 것을 공유하고 서로 소통하는 삶의 방식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인류가 공존하며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지녀야 할 가치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p.5)
부처님이 보리수 아래에서 성도하신 그날, 그 순간에 신통력으로 시방세계에서 하늘의 신들이 그 자리에 함께하게 되었습니다. 집금강신을 비롯한 39명의 신들은 각각 열 명의 신들과 동행했으므로 390명이 모였습니다. 또한 지상에서도 수행 중이었던 보현보살이 이름에 보(普)자가 들어가는 형제보살 열 명, 다른 이름을 지닌 친구보살들 열 명까지 모이니 전체 410명이었습니다.
이들은 바로 과거생부터 현재까지 언제나 서원하기를, 부처님을 공경 공양하며 예배하고 법문을 청하는 대중들이었으며, 그런 인연으로 새로운 부처님, 석가모니의 탄생을 알아차리고 성도하시는 그 순간 자리를 빛내고 계셨던 것입니다. 부처님이 깨달음을 성취하시는 날을 축하하러 모인 신들과 보현은 온갖 공양구로써 불꽃을 피우고, 오색구름을 모으고, 꽃비를 내리는 새들을 불러 노래 부르게 하는 신통력을 발휘한 것입니다. 바로 세상의 주인인 신(神)들이 온갖 장엄을 하고 있는 그날의 풍경이 바로 세주묘엄품(世主妙嚴品)입니다.(p.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