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88998845629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4-09-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5
제1부. 해방기 시론과 이념의 형성
제1장 서론 / 13
1. 연구 목적 ……… 13
2. 연구사 검토와 문제 제기 ……… 18
3. 연구 방법과 연구 범위 ……… 34
제2장 문예대중화 운동과 시의 대중화론 / 44
1. 문맹의 경우 ……… 46
1) ‘시부’의 조직과 시 낭독의 활성화 ……… 46
2) 대중 연대로의 전환과 시의 종합예술성 모색 ……… 61
2. 북예총과 북문예총의 경우 ……… 75
1) 문예 서클의 확충과 시의 선전적 기능 ……… 76
2) 창작 사업으로의 전환과 신인 양성론 ……… 90
제3장 좌우의 대립과 순수시 이념의 쟁점화 / 103
1. 좌파 문단의 정치 투쟁과 시론 ……… 104
1) 위기의 정세 인식과 구국투쟁론 ……… 104
2) 과업 체제의 고무와 고상한 애국주의론 ……… 127
2. 좌우의 문화 투쟁과 순수 논쟁 ……… 153
1) ‘정치≠순수’ 상호 배격론과 조지훈의 시 입명론 ……… 154
2) ‘정치 / 순수’ 양립론과 김동석의 변모 ……… 175
3. 김광균의 ‘정치.순수’ 지양론과 중간파 논쟁 ……… 190
제4장 민족시론의 내적 다변화와 로컬리티 / 214
1. 시적인 것의 탐구와 시정신론 ……… 216
1) 시와 산문의 변별적 규명 ……… 216
2) 시정신의 구체화와 에로스의 시정신 ……… 227
2. 모어의 가치화와 전통시론 ……… 236
1) 윤곤강의 혁신적 전통론과 시조 탐구 ……… 237
2) 고전의 현대화와 동양적인 것의 담론화 ……… 247
3. 순수시 이념의 확산과 영남 시단의 반응 ……… 261
1) 청문협과 <죽순>, <낭만파>의 상관성 ……… 262
2) 문총 진주지부와 설창수의 시론 ……… 278
제5장 1920~30년대 시론과의 연속성과 그 의미 / 297
제6장 결론 / 318
제2부. 시집 <응향> 관계 시론
1. 서론 / 333
2. <관서시인집>과 <응향> 사건의 시대적 배경 / 335
3. <응향>의 비판적 재소환과 담론화 양상 / 344
1) 안함광의 경우 ……… 345
2) 한효의 경우 ……… 351
4. 결론 / 359
▣ 참고문헌 /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