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98940225
· 쪽수 : 156쪽
· 출판일 : 2023-01-31
책 소개
목차
여는 글_ 블록버스터 건축 vs. 보편적 건축
1장 건축과 건축가의 역할
새로움은 좋은가?
건축가가 할 수 있는 고유의 일은 과연 무엇인가?
2장 보편적인 건축의 출발점: 유형과 예시
좋은 건축은 무엇인가?
보편적인 것이 소통하기 쉽다
서양 고전 건축이 보여준 보편성과 소통방식
현대 건축의 보편적 언어는? 유형과 예시
3장 건축을 보편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도구: 형태와 도면
형태의 어원
형태의 기록: 도면
가장 중요한 도면: 평면도
4장 유형이란?
분류학에서 유형학까지
유형은 선험적이고 절대적이다_ 카트르메르 드 캉시
유형은 그 시대의 표준이자 기준이다_ 발터 그로피우스
유형은 경험적인 것이다_ 줄리오 카를로 아르간
유형은 도시를 읽는 단위이다_ 알도 로시
유형은 반복적이고 보편적인 것이다_ 라파엘 모네오
유형과 기능주의
5장 유형의 가치
유형: 창작과 역사의 연결고리
과거는 항상 우리 곁에 있다
추상화가 필요한 이유
추상성: 잠재된 새로움
형태와 형태구조
반복성은 복제가 아니다
6장 유형적 접근법
유형과 유형적 접근법
일반적 형태 vs. 구체적 형태
7장 유형적 접근법의 사례
그리드
아파트
8장 유형과 예시의 상보성
9장 예시적 접근법의 특징들
구체적인 것에서 구체적인 것으로
예외적인 것
지적 환경 조성
10장 로버트 벤투리의 예시적 접근법
로버트 벤투리 건축의 배경
포용주의
예시는 이미지다
11장 뒤랑의 예시적 접근법
예시(사례)조사
역사적 배경
지적 환경: 구성
12장 건축 디자인의 출발점: 유형적·예시적 접근법
맺는 글_ 건축의 철학적 측면
저자소개
책속에서
· 이 책은 ‘건축학’이라는 전공 학문의 고유한 가치에 관하여 개인적으로 오랜 시간 고민한 결과다. 나는 건축을 공부하고 관련 분야에서 일하는 내내 ‘건축가’ 혹은 ‘건축사’라는 직업이 정확히 어떤 가치 판단 기준에 의해 평가될 수 있는지, 또 어떤 사람이 ‘좋은’ 건축가이고 어떤 건물이 ‘좋은’ 건축물인지에 대한 만족스러운 해답을 얻을 수 없었다.
· 어떤 학문이든지 보편적 가치가 없다면 우리는 그 학문에 대해 소통할 수 없고, 소통할 수 없다면 ‘좋다’, ‘나쁘다’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토론이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인간은 ‘새로움’ 혹은 ‘새로운 자극’을 받아들이는데 그 지각능력의 한계가 있으며 오히려 우리의 지각 능력은 서서히 변해가는 일상의 속도에 더 익숙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