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91112037046
· 쪽수 : 967쪽
· 출판일 : 2025-08-06
목차
차 례
개정판 머리말 5
머리말 7
제 1부 고조선 국가연구 이론 34
여는 장 35
1.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35
(1) 연구의 목적 35
(2). 연구의 문제 37
2. 연구의 기본 가설과 연구 내용 38
(1) 연구의 기본 명제와 가설 38
(2) 연구의 명제와 기본 가설을 설정한 이유 40
(3) 연구의 주요 내용 42
3. 선행연구와 국가이론 적용의 가능성과 한계 47
(1). 선행연구의 공헌과 한계: 역사학에서 종합과학으로 47
(2) 국가이론 적용의 가능성과 한계 48
4. 인공지능시대의 학문과 접근 방법 50
(1). 인공지능 시대의 역사학, 사회과학 그리고 융합학문 50
(2) 접근방법과 연구방법 52
제 1장. 한국 고대국가에 관한 선행 연구 검토 55
1. 한국 고대역사학의 선행 연구와 평가 55
(1) 한국 고대 역사 연구에 대한 평가 55
(2). 1945년 이후 한국 고대 국가 연구 성과 및 동향 57
(3). 단군 사화의 전승과 근대적인 연구 60
(4) 일제식민사관과 단군조선•기자조선 부인 및 위만조선 인정 63
(5) 식민사학의 극복 시도 66
2. 한국 고대사회학의 선행연구와 평가 67
(1) 신용하의 《고조선 국가형성의 사회사》 등 67
(2) 평가 68
3. 한국 역사정치학의 선행연구와 평가 68
(1) 신채호의 《조선상고사》 68
(2) 안확의 《조선문명사》 등 70
(3) 진덕규의 《한국정치의 역사적 기원》 70
4. 한국 고대경제학의 선행연구와 평가 72
(1) 김용섭의 《농업으로 보는 한국통사》 등 72
(2) 평가 73
5. 한국 고대문화학의 선행연구와 평가 74
(1) 최남선의 불함문화론 74
(2) 손진태의 민속학•인류학적 연구 77
(3) 김경동의 한민족문화원형이론 78
(4) 신용하의 '한'부족의 한강문화론 80
6. 한국 고고학의 선행연구와 평가 81
7. 한국고대사연구에 대한 고대사학계의 종합적인 평가 83
8. 고조선 역사에 대한 한국고대사학계의 소극적 해석과 적극적 해석 88
제 2장. 고대국가에 대한 국가이론적 접근 90
1. 종합 학문으로서의 국가이론과 국가학 91
2. 국가: 역사의 주체로서의 국가의 7가지 차원의 개념 91
(1). '나라'로서의 국가 92
(2). '지배이데올로기•상부구조'로서의 국가 93
(3). '지배연합•지배계급•지배블럭'으로서의 국가 94
(4). '사회관계의 응집'으로서의 국가 94
(5). '관료기구와 법질서의 총체'로서의 국가 94
(6). '정부•정권•통치집단'으로서의 국가 95
(7). '국왕•국가관리자•국가엘르트'로서의 국가 95
3. 국가위기 98
4. 국가변동: 문명순환론과 국가발전론 103
(1) 스펭글러의 문명순환론과 기승전결론 103
(2) 알몬드와 박동서의 국가발전 이론: 국가형성, 국민형성, 경제발전, 참여 및 배분 105
(3) 스펭글러의 문명순환론과 알몬드의 국가발전단계론의 통합 105
5. 국가위기와 국가변동의 관계: 내인론과 외인론 106
(1) 토인비의 내인론적 문명순환론: 도전과 응전의 기승전결 106
(2) 토인비의 외인론적 문명순환론: 외적 프롤레타리아트와 고난의 시기 107
(3). 크레벨드의 국가발전의 단계별 유형과 전개 110
(4) 진덕규와 만의 IEMP 이론에 따른 국가의 유형과 역사적 전개 112
(5) 국가의 7가지 개념간의 상호관계: 내인론과 외인론 113
1) 진덕규의 역사정치학의 인식논리 113
2) 국가변동의 내인론 114
3) 국가변동의 외인론 116
6. 국가 성격의 변화 119
(1) 국가의 역할 119
(2) 국가의 힘 120
(3) 국가자율성 120
(4). 국가의 비연속성과 연속성 121
(5). 국가의 '비동시성의 동시성'과 '동시성의 비동시성’ 122
(6). 국가의 경로창조성과 경로의존성 124
(7) 거버넌스 125
7. 국가능력 126
8. 한국 고대국가에 대한 융합학문적 접근과 통합적 연구방법 128
(1) 정상과학과 융합적 접근의 필요성 128
(2). 상위맥락•중간맥락•구성부문에 대한 다양한 연구방법 131
(3) 국가의 7가지 개념 수준별 접근방법 134
9. 연구의 분석틀 138
(1). [분석틀1]: 국가의 7가지 개념 수준별 분석 138
(2)[분석틀II]: 세계체제•사회계급•7개의 변수간 국가발전 기승전결 단계별 상호관계 분석틀 139
(3) [분석틀III]: 국가•국가위기•국가변동•국가성격변화•국가행정•국가정책의 분석틀 140
제 3장. 고조선의 건국 141
1. 단군조선 '나라'의 건국 141
(1). 아사달문명권과 한민족의 등장 142
(2). 단군(고)조선의 등장 150
2 《삼국유사》로 본 나라의 건국 152
(1) 《삼국유사》의 단군조선 건국 기록 152
(2) 단군조선 건국 기록의 열일곱 가지의 함의 154
3 '석유환국'이냐 '석유환인'이냐? 161
(1) 《삼국유사》의 변조설 161
(2) 북한 역사학계의 단군릉과 인골연도 측정 연구 175
(3) 《환단고기》에 대한 일본의 왜곡•활용과 대책 180
4. 건국의 성격과 시기 181
(1) 고대 역사서에서의 기록 181
(2) 별자리로 본 나라의 건국 183
(3) 단군사화의 3단계 187
(4) 단군조선의 시기 구분 189
5. 청동기문화와 단군조선의 건국 190
6. 고인돌문화와 단군조선의 건국 197
제 4장. 고조선의 성격 논쟁 205
1. 고조선 국가의 성격 논쟁 205
(1). 단군과 단군조선은 역사인가 신화인가 205
(2). 단군과 단군조선의 부정과 신화화 208
(3) 단군과 단군조선의 인정과 역사화 210
1) 단재 신채호의 《조선상고문화사》 210
2) 백암 박은식의 《대동고대사론》 등 211
3) 다른 민족 사학자들의 입장 212
(4) 단군과 단군조선을 인정한 이병도•최태영의 《한국상고사 입문》 212
(5) 최태영의 세년가의 발견과 일본 현지답사를 통한 고조선 역사의 확인 221
(6) 18세기 프랑스 신부 레지가 전하는 고조선 국가 역사의 실체성 223
2. 고조선 역사서에 대한 성격 논쟁 227
(1) 문헌고증학•문서비평과 위서논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