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12053268
· 쪽수 : 659쪽
· 출판일 : 2025-09-02
목차
머리말 v
차 례 viii
여는 장 1
1. 연구 문제의 제기 1
2. 연구 목적 2
3. 연구의 주제 4
4. 연구의 방법 5
제 I 부 AI혁명과 교육환경 변화 6
제1장 제 5차 산업혁명으로서의 AI혁명 6
I. AI시대의 개념과 출현 6
II. AI혁명의 개념과 성격 9
III. 1~5차 산업혁명과 AI혁명 14
IV. 한국사 속에서 1차~5차 산업혁명과 AI혁명 17
V. 한국과 세계에서의 1~5차 산업혁명과 AI혁명 20
VI. 한국과 세계 5차 산업혁명의 공통점과 차이점 24
VII. 1~5차 산업혁명과 AI 혁명에서 한국의 위상 28
제2장 AI 혁명 이후 AI시대의 변화 32
I.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문명사적 변화 비교 32
1. 문명사적 변화 32
2.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사회철학적 변화 비교 33
3.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인류 비전 변화 38
II.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경제적 변화 비교 40
1. 경제적 변화 40
2.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생산방식 변화 43
3.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노동구조 변화 45
4.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경제체계 변화 47
III.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문화적 변화 비교 50
1. 문화적 변화 50
2.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윤리 관점 변화 52
3.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예술과 창의성 변화 54
4.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문화 구조 변화 57
IV. AI 시대이후의 인간·인간성ㆍ인식론ㆍ자아정체성 변화 비교 59
1.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인간·인간성 변화 59
2. 시대 이전과 이후의 인식론 변화 65
3.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자아 정체성 변화 68
V.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분야별 구조적 변화 75
제 II부 AI 혁명과 AI시대의 특성 76
제 3장 AI 시대 AI와 인간ㆍ사회ㆍ핵심 패러다임 변화 76
I. 핵심 패러다임 변화 76
1. 핵심패러다임 전환에서 주체의 위치변화 76
2. 핵심패러다임 전환에서 지식의 형태 변화 79
3. 핵심패러다임 전환에서 행위판단기준 변화 82
4. 핵심패러다임 전환에서 정치권력 중심 변화 86
5. 핵심패러다임 전환에서 사회질서 기반 변화 90
6. 핵심패러다임 전환에서 윤리구조 변화 92
7. 핵심패러다임 전환에서 문화생산 변화 94
8. 핵심패러다임 전환 요약 97
II. AI와 인간 98
1. AI와 인간의 관계 이해 98
2. AI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이해 101
3. AI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 104
4. AI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 107
5. AI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윤리학적 이해 110
6. AI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법학적 이해 113
7. AI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인지과학적 이해 116
8. AI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다학제적 이해 119
III. AI와 사회: 핵심 주제별 구성 121
1. AI와 사회 121
2. AI와 사회에 대한 학문분야별 쟁점 비교 124
3. AI 사회문제 학문분야별 지식지도 131
4. AI 사회문제 학문분야별 주요 개념과 연결망 135
5. AI 윤리와 인문학 139
6. AI시대 디지털 사회철학 151
제 4장 AI 시대의 특징 155
I. AI시대의 주요 특징 155
1. 주요 특징 155
2. AI시대의 기술적 특징 156
4. AI시대의 사회적 특징 167
5. AI시대의 정치적, 행정적, 법제도적 특징 172
6. AI시대의 문화적, 철학적 특징 176
II. AI시대 인간적ㆍ사회적 특징 179
1. 데이터 중심 사회 (Data-Driven Society) 179
2. 자동화와 일자리 재편(Automation & Job Disruption) 183
3. 초개인화 (Hyper-Personalization) 185
4. 윤리적 도전 (Ethical Challenges) 187
5. 초지능(AGI)과 인간의 미래 190
6. 초연결성 (Hyper-Connectivity) 192
7. 실시간 의사결정(Real-Time Decision Making) 194
8. 지속가능성과 AI의 긍정적 활용 (Sustainability & AI for Good) 196
9. AI의 사회적 책임(Explainable AI, 공정성) 강조. 198
III. 인간ㆍ교육의 특성 200
1. 창의성과 인간 고유 역량(Human-Centric Creativity) 강조 200
2. 지능자동화(Intelligent Automation)의 일상화 202
3. 인지권력의 재편과 플랫폼 중심 권력 구조 204
4. 세계질서와 인문학의 재구성 206
5. AI 시대의 철학적 특성 210
6. AI사회의 철학적 특성 216
7. 전통사회, 산업사회, AI사회의 철학적 특성 221
8. 4~5차 산업 성공을 위한 핵심 역량 231
제 III부 제 4~5차 산업혁명과 창의적 인재양성정책 236
제5장 제4~5차 산업혁명을 위한 창의융합 인재양성 방안 236
I. 1차, 2차, 3차, 4 산업혁명과 5차 산업혁명의 인재양성의 성격 비교 236
1. 1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재상과 교육 236
2. 2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재상과 교육 236
3. 3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재상과 교육 237
4.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재상과 교육 238
5. 5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재상과 교육 240
6. 제 4~5차 산업혁명에 대한 한국의 추진 243
8. 한국사회의 창의성과 역량 수준 250
II. 사라지는 직업과 떠오르는 직업에 따른 미래 교육 253
1.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온 직업 변화 253
2. 제 5차 산업혁명이 가져온 직업세계의 변화 256
III. 창의적 인재양성 261
1. 창의적 인재양성의 필요성 261
2. 창의융합교육의 중요성 262
3. 대학·정부·기업별 실행 전략 매트릭스 263
IV. 4~5차 산업혁명과 창의융합 인재양성의 방향 265
1). 공급자 측인 대학의 학과와 전공의 통합과 상호 창의적 융합 265
2). 수요자 중심의 개인 맞춤형 창의융합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