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12073853
· 쪽수 : 487쪽
· 출판일 : 2025-10-15
목차
제 I부 문명축적이론 21
제 1장 문명이론 21
I. 문명과 문화 21
II. 문명이론 32
III. 문명축적론 44
제 2장 문명충돌론 50
I. 문명충돌론의 이론적 기초 50
II. 한국문명에 대한 헌팅턴이론의 적용 74
1. 한국의 문명적 위치 74
2. ‘찢어진 나라(Torn Country)’ 개념과 한국 74
3. ‘갈라진 나라(Cleaved Country)’ 개념과 한반도 74
4. 한국문명 적용의 함의 75
5. 적용의 한계 75
제 3장 문명교체론 76
I. 이론적 내용 76
1. 문명교체론의 개념 76
2. 역사적 전개 76
II. 한국문명에 대한 문명교체론의 적용 79
1. 분석 틀: 교체를 식별하는 다섯 축 79
2. 적용: 한국문명 장기지속 속의 ‘교체’ 국면들 79
3. 메커니즘: 교체를 추동한 네 가지 동력 82
4. 문명교체론의 설명력과 한계 83
5. 소결: ‘교체–번역–축적’의 통합 모형 83
제 4장 아널드 토인비의 문명 이론 84
I. 토인비의 문명 이론 84
II. 한국문명에 대한 토인비 이론의 개괄적 적용 85
III. 한국문명에 대한 토인비 이론의 세부적 적용 88
1. 토인비 이론의 핵심과 적용 원칙 88
2. 한국문명의 장기 전개와 토인비적 해석 89
3. 범주별 한국사 매핑 93
4. 설명력과 한계 평가 93
5. 결론: ‘도전–응전’ 틀과 번역·축적의 결합 94
IV. 연대표(도전–응전 결절점)와 토인비 범주 매핑표 94
제 5장 슈펭글러의 문명이론 98
I. 슈펭글러의 문명 이론 98
II. 한국문명에 대한 스펭글러 이론의 적용 100
1. 문화와 문명의 구분 100
2. 문명의 주기: 탄생–성장–쇠퇴–사멸 100
3. 서구적 문명과의 충돌 101
4. 현대 한국문명에 대한 적용 101
III. 슈펭글러식 문명 주기와 한국사 적용 102
IV. 토인비, 슈펭글러, 헌팅턴의 문명 이론의 비교 102
제 II부 한국고대문명 104
제 6장 요하문명과 홍산문화 104
I. 요하문명과 고조선문명 104
II. 홍산문화와 고조선 문명 110
III. 요하문명ㆍ홍산문화와 단군조선 문명 계승 흐름 116
IV. 고조선문명으로의 계승 117
V. 요하 문명과 황하 문명의 관계 122
VI. 홍산 문명과 황하 문명의 관계 124
VII. 중국의 탐원공정과 동북공정의 주장 평가 126
VIII. 요하문명, 홍산문화, 고조선 문명 계승 주장의 평가 132
제 7장 고조선 문명론 135
I. 고조선 문명 135
1. 고조선문명 135
2. 고조선 문명론 137
II. 고조선문명의 10대 특징 138
III. 단군조선의 문명론 139
IV. 고조선 문명과 지역 문화권 142
V. 고조선 문명과 중국 문명의 관계 144
VII. 삼한문명과 한(漢) 문명의 관계 155
VIII. 삼한문명과 일본문명 156
제 8장 삼국시대 문명 163
I. 삼(사)국시대 문명의 특징 163
II. 고조선문문명과 삼국시대 문명의 관계: 충돌, 변화, 조화, 축적 166
1. 고조선문명과 삼국시대 문명의 관계 166
2. 고조선문문명과 삼국시대 문명의 관계 정리 170
III. 삼(사)국시대 문명과 통일신라 문명의 축적 171
1. 삼(사)국시대 문명과 통일신라 문명의 축적구조 171
2. 한국문명이 융합·축적 관계로 정립된 이유 173
IV. 신라 문명과 중국 문명의 관계 176
V. 삼(사)국문명과 일본문명 178
1. 신라 문명과 일본 문명의 관계 178
2. 백제 문명과 일본 문명의 관계 179
3. 가야 문명과 일본 문명의 관계 181
제 III부 한국 중세문명 185
제 9장 통일신라의 문명 185
I. 통일신라문명의 특성 185
II. 통일신라문명과 삼국ㆍ후삼국문명 187
III. 발해 문명과 통일신라 문명의 관계 201
IV. 한국 고대문명과 통일신라 문명의 관계 203
V. 통일신라 문명과 외국 문명의 관계 215
1. 통일신라 문명과 중국 문명의 관계 215
2. 통일신라 문명과 일본 문명의 관계 217
VI. 통일신라와 발해문명의 관계. 219
VII. 통일신라 문명과 고려·발해 문명의 관계 220
VIII. 고조선문명과 통일신라ㆍ발해문명의 상호관계 223
IX. 고조선–신라–발해 정통성 계승 구조 224
제 10장 발해의 문명 226
I. 발해문명의 특성 226
II. 발해문명과 고조선문명의 관계 228
1. 발해문명과 고조선문명의 비교 228
2. 발해문명과 고조선문명의 계승과 단절의 관계 231
III. 발해문명과 고구려문명의 관계 235
1. 발해문명과 고구려문명의 비교 235
2. 발해문명과 고구려문명의 관계 240
IV. 발해의 고조선과 고구려 계승의 정통성 평가 243
제 11장 고려문명 248
I. 고려 문명의 성격 248
II. 고려문명 융합ㆍ축적의 성격 252
III. 고려 문명과 통일신라 문명의 관계 254
1. 교류 (交流) 254
2. 교체 (交替) 255
3. 공존 (共存) 255
4. 축적 (蓄積) 255
IV. 고려 문명과 발해 문명의 관계 256
V. 고려문명과 통일신라문명의 관계 258
VI. 고려문명과 발해문명의 관계 263
VII. 고려문명의 고조선과 고구려 계승주의 평가 268
1. 고려 문명의 고조선 문명 계승주의 평가 268
2. 고려 문명의 고구려 문명 계승주의 평가 269
VIII. 고려문명과 통일신라문명 및 발해문명의 계승성 검증 271
제 IV부 한국근대문명 277
제 12장 조선의 문명 277
I. 조선문명의 근본적인 성격 277
II. 조선문명 가운데 고려문명을 계승한 10가지 281
III. 고려문명에서 조선문명이 계승하지 않은 10가지 283
IV. 조선문명과 고려문명의 충돌ㆍ변화ㆍ조화ㆍ축적 관계 284
1. 충돌과 변화: 고려의 모순을 극복하다 284
2. 조화와 축적: 고려의 유산을 계승하다 285
V. 조선문명의 고려문명 계승성 평가 287
1. ChatGPT5에 의한 적실성과 타당성 평가 287
2. Gemini 2.5 Flash에 의한 적실성과 타당성 평가 289
VI. 조선문명의 고조선문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