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POD] 사유하는 삶](/img_thumb2/9791127209667.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논술참고도서
· ISBN : 9791127209667
· 쪽수 : 386쪽
· 출판일 : 2017-01-18
목차
1. 도시화와 인간의 미래 11
2. 승리와 패배가 지니는 아이러니 15
3. 학생은 단순히 교육 소비자인가 19
4. 때를 아는 지혜의 의미는 23
5. 세계화의 진정한 의미는 27
6. 전통의 성공적인 계승 방법은 31
7. 올바른 삶의 자세는 무엇인가 35
8. 이성과 욕망의 관계는 무엇인가 39
9. 역사는 진보하는 것인가 43
10. 대화가 갈등 해소의 최선책인가 45
11. 예(禮)의 사회적 기능은 무엇인가 49
12. 행복을 위해서 친구가 왜 필요한가 53
13. 목적이 정당하면 수단도 정당해지나 57
14. 행동과 타인과의 결속 관계는 61
15. 자살이 비난 받아야 할 이유 65
16. 고전 속 가치관은 유용한가 69
17. 유토피아는 왜 탄생했나 73
18. 우리 문화의 장점과 단점은 77
19. 역사의 주체는 누구인가 81
20. 우리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 85
21. 정보 사회와 자유 신장 89
22. 인간의 존엄성을 위해 살려면 93
23. 중용을 지키기 왜 어려운가 97
24. 통일을 위한 바람직한 민족주의는 99
25. 상대방과 의견 충돌 때 해결 방법은 103
26. 처벌이 정당화되는 근거는 107
27. 지식과 지혜의 차이는 111
28. 참된 우정은 어떨 때 이루어지나 115
29. 지구촌 문명의 충돌은 불가피한가 119
30. 백결 선생의 인생 태도에 대한 견해는 123
31. 행복을 위해 자유의 제한이 정당화될 수 있나 127
32. 경험주의의 한계와 대안은 131
33. 제2 외국어의 위축, 앞날은 135
34. 우리 민족의 정신적 뿌리는 137
35. 과거와 현대의 불평등에 대한 차이는 139
36. 인간의 비인간화 극복의 길은 143
37. 바람직한 효(孝)의 모습은 145
38. 생명체 조작 기술을 허용해야 하나 149
39. 열린사회의 특성은 무엇인가 153
40. 인간다움의 의미는 157
41. 선의의 거짓말 인정할 수 있나 161
42. 정보화 사회의 부작용과 극복 방안 165
43. 계몽주의 사상의 본질은 169
44. 이성의 계발과 정의 사회의 건설 173
45. 현대인의 삶에 나타난 소외 177
46. 문학은 역사보다 철학적인가 181
47. 인간의 행위는 역사의 예정된 부분인가 185
48. 전통 문화와 외래문화 사이의 바람직한 관계 정립 189
49. 여성의 지위 변화와 사회적 역할 193
50. 조기 정년·명예퇴직에 대한 견해 197
51. 매점매석의 폐해와 해결책은 201
52. 우화 여우와 두루미에 비친 한국 정치 205
53. 세계 국가의 탄생은 바람직한가 209
54. 유길준의 언어관에 대한 견해는 213
55. 만해 시 나룻배와 행인의 상징은 217
56. 만파식적의 부정적 영향은 뭔가 221
57. 아시아적 가치의 진면목은 225
58. 속담 오르지 못할.......에 대한 견해는 229
59. 로빈슨 크루소로 비추어 본 자본주의의 본질 233
60. 분배적 관점에서 본 정의에 대한 견해는 237
61. 헤밍웨이 작 킬리만자로의 눈 중에서 표범의 상징은 241
62. 동물 해방에 대한 견해는 245
63. 역사 종말론에 대한 견해는 249
64. 현대 사회와 연관한 양반 계층의 문제점은 251
65. 한국에서 종교 부활의 원인은 254
66. 스크린 쿼터제의 유지와 축소 및 폐지 257
67. 백경에서 선장과 고래싸움의 의미는 261
68. 바람직한 언론의 역할 265
69. 실용주의의 도구적 진리이론 269
70. 한용운의 님의 침묵의 역사의식 273
71. 박제가 되어버린 천재 277
72. 혐오스러운 매혹을 극복하려면 281
73. 현실에 비춰 본 백범의 문화론 285
74. 다산 정약용의 근검절약 289
75. 학문하는 사람의 태도 294
76. 시지포스가 왜 행복했는가 297
77. 우리 민족의 이질성 극복과 동질성 회복 299
78. 소월 시(詩) 가는 길의 시간 이미지는 303
79. 오늘의 정치 현실을 비판하라 307
80. 비인간화 현상 극복의 길은 311
81. 정보 문화와 우리의 자세 315
82. 공천 파동과 바람직한 정치 문화 319
83. 죄와 벌의 주인공은 왜 벌 받아야 하나 323
84. NGO의 활성화 배경과 정당성 요건 327
85. 지방 문화의 의미와 중요성 331
86. 인간 행위의 결정론과 자유론 335
87. 인간의 존재론적 문제는 339
88. 사람과 사물을 대하는 바른 자세 341
89. 문학의 사회적 역할은 345
90. 산업 사회의 거짓 욕구를 비판하라 349
91. 전통과 인습은 어떻게 다른가 353
92. 인간의 이성과 자연의 진보적 관계 357
93. 효율성 추구의 긍정성과 부정성 361
94. 문학의 목적과 효용 가치는 365
Ⅰ. 기계 발전과 인간의 사회적 관계와 문화적 양식의 변화 369
Ⅱ. 참다운 정서적 유대 관계에 따른 한계와 극복 방안 373
Ⅲ. 자유와 평등의 이상 실현 변화가 지니는 의미 376
- 역사의 주사(主辭)는 누구인가 382
- 영웅사회로 나아가는 조건은 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