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POD] 신라의 비밀 속편 : 언급되지 않는 삼국의 비밀](/img_thumb2/9791127224561.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신라/통일신라
· ISBN : 9791127224561
· 쪽수 : 190쪽
· 출판일 : 2017-10-1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7
1. 탁록대전에 대하여 8
2. 황제헌원은 왜 치우천왕에게 반란을 일으켰는가?
탁록대전과 그 이후 부여 동명왕의 건국까지 10
3. 순임금은 좋은 사람이 아니었다고 생각된다 15
4. 중국인은 화하족이 아니라 동이족일 뿐이다 20
5. 흥망성쇠의 원인 21
6. 중국과 한국은 하나일 뿐이지 둘이 아니다 22
7. 관자에 대한 생각 23
8. 단군조선, 스파르타, 로마제국이 망한 이유 24
9. 순임금을 대성인이라고 한다 25
10. 순임금은 왜 단군조선에 등을 돌렸을까? 27
11. 순임금에 대한 반박 28
12. 여인국의 역사 추정 31
13. 과거의 실제 역사인 여인왕국 36
14. 여인왕국터 사진과 사라여왕의 의상 38
15. 제왕연대력 중 마한 변한 진한기록 그리고 조문국 43
16. 제왕연대력 중 진한이 서라벌에 항복했다는 부분 44
17. 조문국의 역사 46
18. 진한의 유민들에 대해 49
19. 견훤의 삼국시작에 관한 인식 51
20. 최치원은 "마한은 고구려이고 변한은 백제이며, 진한은 신라"라고 언급했다 53
21. 삼국초기 고구려 백제 신라 진한 변한 왜국 54
22. 낙랑은 3곳, 신라의 건국 연도 55
23. 알영과 황옥은 황룡국왕녀였다 56
24. 탈해가 신라에 왔을 때는 7살이었다 59
25. 서악리 고분군의 주인공들 62
26. 소서노의 생몰년 63
27. 형혹수심, 도절의 망명 64
28. 온조왕 시기 한반도의 말갈과 낙랑 기사 67
29. 온조왕의 고구려왕 즉위와 업적 71
30. 온조왕의 삼한일통 73
31. 서한을 정벌하자고 한 사람은 누구일까? 74
32. 감아공주는 왜 재사공주라고 기록되었는가? 78
33. 미추홀은 대륙 낙랑군에 있었다 82
34. 고구려에서는 왕과 태후를 성인이라 하였다 86
35. 김수로왕에 관하여 87
36. 고루태자 91
37. 대당고김씨부인묘명의 요동과 한나라의 요동군 93
38. 일본인이 왜 한국인을 증오하게 되었을까? 95
39. 건황태자 ⑴ - 연개소문의 친아버지 96
40. 건황태자 ⑵ - 낭비성 승리의 주역 100
41. 건황태자 ⑶ - 규염객은 누구인가? 105
42. 건황태자 ⑷ - 규염객전에 대해 106
43. 건황태자 ⑸ - 규염객전의 번역본은 대략 2가지 108
44. 건황태자 ⑹ - 김유신이 풍월주된 해는 622년이다 110
45. 건황태자 ⑺ - 김유신의 현손 김장청에 대한 생각 112
46. 건황태자 ⑻ - 도화녀와 비형랑 115
47. 건황태자 ⑼ - 삼국사기에서 용수 관련 기록 추출 120
48. 건황태자 ⑽ - 용수의 기타 기록 130
49. 건황태자 ⑾ - 三國史記, 三國遺事, 花郞世紀中 ?髥客記錄. ?髥客之墓. 137
50. 연개소문의 전략 139
51. 연개소문은 영류왕을 죽이지 않았다 140
52. 연개소문에 대한 생각 142
53. 신라가 고구려를 멸망시켰다 145
54. 바다의 용이 되어 왜국으로부터 신라를 지키겠다는 의미 148
55. 고구려왕들 중 온조왕 계통 149
56. 해술태자의 비극 150
57. 박혁거세와 알영은 처형당했다 155
58. 성인(聖人)의 본래 의미 159
59. 聖과 廟, 朝鮮, 朝廷 160
60. 규염객 용수와 연개소문의 일생 162
61. 온조왕의 일과 국조왕 시기의 고구려 영역 163
62. 부여 천자자리의 변동사 164
63. 천안 직산 위례성의 용샘 설화 165
64. 조문국은 소문국이다 166
65. 世子 儒留王, 世子 男生 167
66. 온조왕의 가계 168
67. 금와왕은 투후 김홍이다 171
68. 금와왕의 백제 후손과 김수로왕의 본래 이름 172
69. 금와왕, 우태왕, 도절태자, 성한왕, 김수로왕 173
70. 삼국전쟁은 김일제 후손들의 전쟁이었다 175
71. 장영주PD의 환단고기 성립과정을 읽고 176
72. 칭기스칸과 미나모토 요시쓰네(源義經) 180
73. 환단고기에 대한 단상 181
74. 손보기본 삼국유사의 환국 182
75. 김춘추의 고구려 청병 관련 기록의 실체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