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의 이해
· ISBN : 9791127233303
· 쪽수 : 358쪽
· 출판일 : 2018-02-12
책 소개
목차
추천사
·기준서 박사 (전 그리스도대학교 총장) 16
·유근희 박사 (전 아시안제자회(NAPAD) 실행목사) 18
·조태연 교수 (호서대학교 신약학 교수) 20
·나요섭 박사 (전 영남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 22
·김덕기 교수 (대전신학대학교 신약학 주임교수) 24
·나인선 교수 (목원대학교 예배학 교수) 26
저자 서문 28
제1부 그리스-로마 종교와 신약성서의 관계 33
I. 들어가는 말 34
II. 그리스-로마 종교와 신약성서에 대한 연구방법과 동향 36
A. 연구방법 36
B. 간략한 국내 연구동향 36
C. 간략한 해외 연구동향 37
III. 그리스-로마 배경 40
A. 알렉산더 대왕과 그리스 세계관의 전파 41
1. 알렉산더 대왕의 지중해연안 제패와 세계 제국의 성립 41
2. 헬라어의 보급과 그리스 문학의 전파 『( 일리아스』와『 오뒷세이아』 등) 42
B. 그리스-로마 사회에서의 유대교 45
C. 그리스-로마 세계 속에서의 초기 그리스도교 47
D. 그리스-로마 배경 하에서의 성서읽기의 예들 50
E. 소결론 53
IV. 그리스-로마 종교 개론 56
A. 그리스 종교의 특징 56
B. 로마 종교의 특징 61
C. 그리스-로마 종교의 성립 64
D. 연구방법과 범위, 자료 70
E. 소결론 74
V. 호메로스의 신들(gods)-『일리아스』와『 오뒷세이아』를 중심으로 77
A. 호메로스의 신들(gods)의 특징 79
B. 호메로스와 그리스-로마 세계 85
C. 호메로스와 신약성서 87
D. 소결론 90
VI. 호메로스의 신들과 그리스-로마 희생제의 92
A. 뛰시아(Thysia) 희생제의에 대한 정의 94
B. 호메로스의 서사시에 반영된 뛰시아 희생제의의 특징 97
C. 신약성서에서의 뛰시아 희생제의 102
D. 소결론 105
VII. 헤시오도스와 영웅숭배 107
A. 헤시오도스가 전하는 그리스인의 창세기 110
B. 영웅숭배(Hero Cult) 114
C. 신약성서와 영웅숭배 118
D. 소결론 121
VIII. 로마의 미뜨라 제의와 로마황제숭배 124
A. 미뜨라 제의 127
B. 황제 숭배 131
C. 소결론 136
IX. 밀의종교1: 디오니소스 제의와 오피즘(Orphism) 139
A. 디오니소스 제의의 기원과 특징 140
B. 오피즘의 기원과 특징 145
C. 디오니소스 제의와 오피즘과 그리스도교 151
D. 소결론 157
X. 밀의종교2: 엘레우시스와 위대한 어머니 신(The Great Mother) 159
A. 엘레우시스 밀의의 기원과 특징 161
B. 위대한 어머니 신: 키벨레 밀의의 기원과 특징 166
C. 엘레우시스와 키벨레 제의, 그리고 그리스도교 170
D. 소결론 172
XI. 이시스(Isis)와 이집트 밀의종교들 176
A. 이집트 밀의종교의 특징 179
B. 황금 당나귀에 묘사된 이시스 제의의 특징 182
C. 이시스 제의와 오시리스 제의와 그리스도교 185
D. 소결론 188
XII. 그리스의 철학적인 종교 191
A. 철학적인 종교의 등장 배경 192
B. 다신론과 철학적인 단일신론 195
C.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철학적인 종교 197
D. 그리스-로마의 철학적인 종교와 태양숭배 199
E. 소결론 202
XIII. 플라톤의 철학적인 종교 204
A. 플라톤의 영혼과 종말론 206
B. 플라톤의 우주와 신 209
C. 플라톤의『 법률』에 나타난 종교 211
D. 소결론 213
제2부 그리스-로마 종교의 관점에서 신약성서 연구 217
XIV. 디오니소스의 제의를 통해서 본 요한복음서의 성찬(요 6:51-59) 219
A. 요한복음 6장과 성찬 221
B. 디오니소스의 특징 227
C. 디오니소스 제의와 요한복음 6장의 성찬 230
D. 소결론 245
XV. 오뒷세우스의 변모(16.166-224; 299-303)가
예수의 변모(눅9:28-36)에 끼친 영향 248
A. 학자들의 연구에 대한 간략한 고찰 250
B. 예수와 오뒷세우스의 변모 사이에 있는 모방(미메시스) 255
C. 소결론 269
XVI. 미메시스 비평으로 살펴본 사도행전의 기적적인 탈출과 사울의 저항
-사도행전 12:6~7, 16:25~26, 22:14를 중심으로- 270
A. 에우리피데스와 미메시스 비평 273
B. 디오니소스 제의와 그리스도교 276
C. 디오니소스와 사도행전 12:6~7, 16:25~26, 22:14 278
1. 기적적인 탈출(행 12:6-7; 16:25-26) 278
2. 신의 뜻에 저항하는 사울과 펜테우스 284
D. 소결론 287
XVII. 요한복음서의 예수의 수난과 에우리피데스의
『박카이』의 디오니소스의 수난에 대한 미메시스 비평 290
A. 에우리피데스의『 박카이』에 묘사된 디오니소스 293
B. 에우리피데스의『 박카이』를 통해서 본 요한복음서의 예수 299
C. 공관복음서와 비교한 요한복음 예수 수난의 독특성 304
D.『 박카이』를 통해서 본 예수의 수난 310
E. 소결론 318
XVIII. 나가는 말 322
제3부 부록 335
XIX. 1세기 팔레스틴에 영향을 주었던 고대 로마법의 역사와 내용 336
A. 로마법의 개론적인 역사와 내용 337
1. 왕정시대 337
2. 공화정 시대 338
3. 제정(원수정) 시대 340
B. 1-2세기 팔레스틴의 로마법 343
C. 로마의 혼인법과 신약성서의 일부일처 혼인에 대한 예 346
D. 소결론 349
XX. 참고문헌 3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