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광고/홍보
· ISBN : 9791128800399
· 쪽수 : 124쪽
· 출판일 : 2017-12-05
책 소개
목차
01 스포츠 PR는 무엇인가
02 효과적인 스포츠 PR
03 스포츠 PR와 스포츠 마케팅의 차이
04 스포츠 PR 조직의 현황과 기능
05 스포츠 PR의 공중 구조
06 스포츠와 미디어의 관계
07 스포츠 이슈 매니지먼트
08 스포츠와 성공적인 지역사회 관계
09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PR
10 스포츠 PR에서 위기관리와 대응 방식
책속에서
미국의 프로미식축구협회(National Football League)는 보통 1년에 10억 원이 넘는 돈을 주고 중계권을 판매하기 때문에, 방송사와의 관계 유지가 협회 입장에서는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다. 따라서 스포츠 기업과 단체들은 미디어라는 중요한 파트너와의 호혜적 관계 창출을 위해 미디어정보담당관(SID, Sports Information Director)을 따로 두고 언론에 필요한 시의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경기장에 찾아온 방송 기자들에게 미디어 출입증 발급, 방송 편의 시설 제공, 관심 선수·코치들과의 인터뷰 지원 등의 언론 관련 업무에 다른 분야의 PR 담당자들보다 더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
‘스포츠 PR는 무엇인가’ 중에서
2008년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에서 전미피겨스케이팅선수권대회(2008 US Figure Skating Championships)가 열렸다. 세인트폴은 미네소타 트윈스를 비롯해 미식축구, 농구, 아이스하키 등 다양한 프로스포츠 팀이 연고를 두고 있는 미네소타시의 접경에 있다. 이 때문에 이들 프로스포츠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기가 낮은 전미피겨스케이팅 선수권대회의 성공을 확신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당시 조직위원회(LOC, Local Organizing Committee)는 2명의 작은 PR팀을 운영했는데, 이들이 가장 먼저 시작한 일은 이 대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 내의 인적, 물적 자원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스포츠 PR와 스포츠 마케팅의 차이’ 중에서
미디어는 스포츠 이슈를 재구성하고 확산한다. 현대사회에서 미디어와 스포츠의 공생적, 상생적 관계의 중요성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역사적으로 스포츠는 미디어와의 결합을 통해서 거대한 스포츠 산업으로 발전해 왔다. 뉴미디어의 가세로 다채널 시대에 진입하면서 스포츠는 더욱 강력한 콘텐츠로 인식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신문과 라디오, 방송이 스포츠 세션을 별도로 마련해서 보도해 왔고, 다매체 시대에는 전문 채널과 매체, 그리고 구단이나 스포츠 조직이 자체 운영하는 채널로까지 진화하고 있다.
‘스포츠 이슈 매니지먼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