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28800481
· 쪽수 : 116쪽
· 출판일 : 2017-12-26
책 소개
목차
01 1인 가구
02 1인 시대
03 1인 소비
04 1인 방송
05 1인 주거
06 1인 라이프스타일
07 1인 인테리어
08 1인 청년 가구 주거 실태
09 1인 가구 정책
10 1인 가구 고독사
저자소개
책속에서
1인 가구 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이로 인한 사회 변화 양상이 다양화·다기화하고 있다. 가구 구성 형태로서 ‘1인 가구’는 단순히 1인 가구가 아닌 사회 트렌드로서 ‘1인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1인 가구의 증가 자체가 시대의 변화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그 속도와 변화 양상은 현재와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1인 가구는 머지않은 장래에 우리 사회의 보편적 삶의 방식이 될 수 있다. 이 측면에서 1인 가구의 현황과 실태를 다양한 관점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 “1인 가구, 1인 시대” 중에서
현재 1인 가구에 대한 관심은 소비층으로서 청년 1인 가구 또는 소비력을 갖춘 골드 싱글(gold single),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로서의 ‘솔로 이코노미(solo economy)’와 관련해 업계가 주도하고 있다. 정치권은 선거 때 표를 의식하는 수준에 그쳤다고 볼 수 있다.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정책 방향이 제대로 제시된 적이 없다. 이런 이유로 문재인정부가 보다 구체적인 정책을 마련했으면 하는 대중의 기대가 크다. 특히 청년 1인 가구에 대한 구호 수준의 정책 제시가 아닌 보다 구체적이며 실질적인 정책 방향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1인 가구 정책” 중에서
‘고독사’란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홀로 살다 고독한 죽음에 이르는 것을 말한다(네이버지식백과). 2000년대 중·후반 일본에서 사회문제가 됐던 것이 홀로 사는 노인의 고독사였다. 독신 국가, 고령 국가의 종착역, 고독사 대국으로 불리기까지 하는 일본의 경우 고독사로 죽는 사람들이 연간 3만2000명이고, 50세까지 독신인 ‘고독사 예비군’이 1000만 명으로 추산될 정도로 고독사는 이미 오래된 사회문제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나홀로 가구 520만 호, 65세 이상 고령 인구 700만 시대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비자발적 독신층인 1인 고령 가구의 고독사가 심각한 사회문제다.
- “1인 가구 고독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