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00634
· 쪽수 : 108쪽
· 출판일 : 2018-08-10
책 소개
목차
01 분석에 의한 비판적 사고
02 판단에 의한 비판적 사고
03 평가에 의한 비판적 사고
04 응용에 의한 창의적 사고
05 상상에 의한 창의적 사고
06 통합에 의한 창의적 사고
07 표현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08 통제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09 선별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10 미디어 교육 전망
저자소개
책속에서
결국 미디어 교육은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논의가 집중되어야 한다. 이 책도 이 부분에 주목했다.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라는 문제 제기는 ‘미디어 교육이란 무엇인가’ 라는 문제와 직결된다. 이 논의를 통해 비로소 미디어 교육의 본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미디어 교육이 지향해야 할 내용 구성을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라는 세 가지 항목으로 설정한다.
“미디어 교육의 인식과 방향” 중에서
추측 개념은 책, 드라마, 영화, 광고 등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미디어 텍스트는 사회 현실에서 일어날 법한 소재로 이야기를 전개하기 때문이다. 요컨대 책, 드라마, 영화, 광고 같은 미디어 텍스트들은 ‘서사 구조’ 특징을 갖고 있다. 즉 이야기를 전달하는 서술 방식을 취한다. 광고 역시 스토리 중심의 드라마 형태로 제작되어 전달된다. 가족, 동료, 이웃, 연인 등으로 등장인물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주로 감성에 호소하는 드라마, 영화, 광고 등과 이성적 사고로 분류되는 책 등은 공통적으로 인간의 삶을 스토리로 담아낸다는 점에서 매우 적절한 미디어 교육 자료가 될 수 있다.
“상상에 의한 창의적 사고” 중에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척도가 되는 표현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쓰기와 말하기 영역에 주목해야 한다. 쓰기와 말하기는 별개가 아니고 상호 밀접한 관계다. 예를 들어 발제자는 발표를 위해 사전에 원고를 준비함으로써 발표를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발표 행위는 말하기, 사전 원고 작성은 글쓰기다. 말하기와 글쓰기는 표현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확장하는 수행 과정이다.
“표현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