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SK매직](/img_thumb2/9791128806988.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경영자 스토리 > 국내 기업/경영자
· ISBN : 9791128806988
· 쪽수 : 102쪽
· 출판일 : 2018-01-15
책 소개
목차
01 가스 기기와 주방 가전 산업의 성장
02 정수기 시장 현황
03 주방 가전, IoT가 대세
04 정수기·공기청정기의 글로벌 시장
05 부상하는 렌털 시장과 생활 가전 업계
06 SK매직의 역사
07 SK매직 주요 제품과 사업군
08 직장으로서 SK매직
09 ‘SK’로 새로워진 SK매직
10 위험과 과제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물인터넷 기술 접목으로 렌털 시장 확대
특히 렌털 가전 업체들은 통신사들과 협업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IoT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개별 앱보다는 하나의 플랫폼으로 집 안 모든 IoT 기반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통신사 기반의 플랫폼이 더욱 경쟁력 있기 때문이다. 사물인터넷 기술을 접목하면서 렌털 시장도 더 확대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KT경제경영연구소와 가트너(Gartner)에 따르면 2016년 생활 가전을 포함한 국내 개인, 가정용품 렌털 시장은 5조5000억 원에서 2018년 7조6000억 원, 2020년에는 10조7000억 원을 달성할 전망이다.
‘03 주방 가전, IoT가 대세’ 중에서
말레이시아 등 글로벌 시장 공략
최근 국내 정수기·공기청정기 제조사들이 눈길을 돌리고 있는 시장은 말레이시아다. 말레이시아 정수기 시장은 연간 40만 대 규모로 수질이 좋지 않아 국가 수질 개선 프로젝트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수기 수요도 꾸준히 늘고 있다. 말레이시아 시장에서 특히 선전하는 곳은 코웨이다. 코웨이는 10년 전부터 말레이시아 시장에 진출해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04 정수기·공기청정기의 글로벌 시장’ 중에서
기회비용 낮고 만족감 극대화시키는 렌털 제품
렌털 시장이 점점 커지는 이유는 다양하다. 우선 고령화가 진행되고 맞벌이 가구가 늘며 제품 소유에 따른 애프터서비스(AS)나 제품 관리에 대한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또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경기 침체와 청년 실업 증가, 지나치게 높은 주거비용 등으로 소비력이 약화되면서 기회비용은 낮고 만족감은 극대화시킬 수 있는 렌털 제품이 대안으로 떠올랐다. 제품을 렌털하면 낮은 비용으로 각종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한 번에 부담스러운 목돈을 들이지 않고도 매달 소액의 일정 금액으로 구입했을 때와 동일한 만족을 얻을 수 있다.
‘05 부상하는 렌털 시장과 생활 가전 업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