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인도철학
· ISBN : 9791128809538
· 쪽수 : 142쪽
· 출판일 : 2018-03-22
책 소개
목차
01 행복의 기원과 분류
02 상대적 행복, 수카
03 절대적 행복, 아난다
04 선한 행복
05 행복의 윤리학
06 행복이 숨겨진 장소
07 행복의 신화
08 행복과 지식
09 인간의 행복
10 완전한 행복
저자소개
책속에서
수카가 인간이 느끼는 현생의 가장 일반적인 행복으로 매우 중요한 행복이라는 점을 ??우파니샤드??는 부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 행복은 일시적이며 지속적이지 않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가우타마 싯다르타(Gautama Siddh?rtha)는 지상에서 수카로서의 모든 행복을 누리면서도, 눈앞의 탐스러운 사과가 언젠가는 썩을 것이며 사랑하는 가족도 언젠가는 죽을 것이라는 사실에 고통을 느꼈다. 그리고 이 고통을 제거하기 위해 출가했고 이후에 불교의 창시자 붓다(Buddha)가 된다.
‘상대적 행복, 수카’ 중에서
이렇게 다섯 껍질로 인간을 설명하는 오장설(五藏說, pa?cako?amayav?da)에서 가장 내밀한 최종적인 껍질이 아난다이며, 여기에 브라만이 내재한다. 일차원적인 인간은 음식과 호흡이라는 가장 외적인 껍질에 의존하면서 자신을 물질적인 존재로 한정시킨다. 한 단계 나아간 인간은 자신의 마음과 의식이 인간의 본질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인간의 진정한 본질은 물질성과 의식성이 아니다. 그 본질은 외부의 껍질을 탈각(脫却)하는 정화의 의지와 노력으로 깨닫게 되는 것이다.
‘절대적 행복, 아난다’ 중에서
인도철학의 주요한 개념인 초월성과 영적인 영역을 인간의 목적과 연결해 설명하는 살라가메의 구분법에서 가장 주의 깊게 해석해야 하는 부분이 바로 존재 영역이다. 그의 해석에 의하면 인간으로 태어났다고 해서 모두 인간이 되는 것은 아니다. 존재하는 방식에 따라 인간은 동물, 인간, 신의 영역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해탈의 영역에 도달하는 자는 신성을 획득하는데 이 초월적 신성을 영성(靈性, spirituality)이라고 규정한다.
‘행복의 윤리학’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