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인도철학
· ISBN : 9791128863783
· 쪽수 : 142쪽
· 출판일 : 2022-06-10
책 소개
목차
인도철학과 행복
01 행복의 기원과 분류
02 상대적 행복, 수카
03 절대적 행복, 아난다
04 선한 행복
05 행복의 윤리학
06 행복이 숨겨진 장소
07 행복의 신화
08 행복과 지식
09 인간의 행복
10 완전한 행복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도철학에서의 행복론은 [우파니샤드] 이후 수카(Sukha)와 아난다(ananda)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구분되면서 발전했다. 보편적이고 상식적인 행복은 수카로 포섭되고, 아난다라는 초월적이고 독특한 행복 개념을 통해 인도철학은 독창적인 행복론을 구축하게 된다. 세속적인 행복 개념인 수카는 심신의 조화를 의미하는 행복 개념인 웰빙을 포괄하며 발전한다.
_ “01 행복의 기원과 분류” 중에서
아트만이 절대 브라만과 합일하는 아난다의 순간을 사랑에 빠진 연인이 서로를 포옹할 때 아무것도 느끼지 못하는 절대적인 환희로 비유하기도 한다. 이 환희 속에서 인간은 죄악을 버리고 공포로부터 벗어나는데, 이는 아트만에 대한 욕망만이 남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상태는 순간적이며 지극한 행복의 일부만을 체험한다는 한계가 있다.
_ “03 절대적 행복, 아난다” 중에서
인도철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초월성은 고통과 즐거움에 휘둘리거나 좌지우지되는 상태와 경계를 넘어서는 의미의 초월로서, 다음의 세 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첫째로 욕망, 화, 애증 등의 부정적 감정의 극복 능력이며, 둘째로 감각과 환경에 무집착하는 자기 제어 능력, 마지막으로 고통과 즐거움을 동등한 가치를 가진 것으로 체험하는 평정심의 능력을 말한다.
_ “05 행복의 윤리학”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