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시네마 베리테](/img_thumb2/9791128817663.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야기
· ISBN : 9791128817663
· 쪽수 : 106쪽
· 출판일 : 2022-02-03
책 소개
목차
시네마 베리테의 계보
01 다큐멘터리 영화의 탄생 '북극의 나눅'
02 시네 아이 '카메라를 든 사람'
03 시네마 베리테의 실험 '어느 여름의 기록'
04 시네 마 베리테 '멋진 오월'
05 다이렉트 시네마의 시작 '예비선거'
06 현장의 관찰자 '즐거운 어머니날'
07 로큐멘터리의 효시 '뒤돌아보지 마'
08 사회적 담론의 다큐멘터리 '고등학교'
09 인물 탐구의 다큐멘터리 '회색 정원'
10 관찰적 시네마의 시선 '가축들과 함께 살기를'
출판사서평
영화는 나의 진실이다
시네마 베리테 계보와 역사 … 다큐 효시 '북극의 나눅'부터 다이렉트 시네마 '회색 정원'까지
저자소개
책속에서
1895년 영화가 탄생한 이래 다큐멘터리 방식으로 인간의 삶을 재현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그렇다면 왜 1922년 개봉된 '북극의 나눅'을 ‘다큐멘터리 영화의 효시’로 보는 걸까? 이를 알기 위해 로버트 플래허티의 영화 방법론과 제작 의도가 당시의 논픽션 장르의 제작자들과 어떻게 달랐으며, '북극의 나눅'의 영화방식이 어떻게 현대적 의미의 다큐멘터리와 부합하는지 고찰한다.
_ “01 다큐멘터리 영화의 탄생 '북극의 나눅'” 중에서
장 루시와 에드가 모랭에 의해 만들어진 '어느 여름의 기록'(1961)은 ‘시네마-베리테’를 탄생시킨 작품으로 손꼽히며, 로버트 플래허티와 지가 베르토프의 영향을 엿볼 수 있는 영화이기도 하다. 루시와 모랭의 영화적 의도를 고찰하고, '어느 여름의 기록'에서 루시와 모랭이 보여준 ‘시네마 베리테의 실험’을 다각적으로 분석한다.
_ “03 시네마 베리테의 실험 '어느 여름의 기록'” 중에서
로버트 드류의 '예비선거'(1960)는 기술적으로나 개념적으로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한 다큐멘터리 영화이자 아메리칸 다이렉트 시네마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이었다. 드류가 주축이 된 ‘드류 동료’ 영상집단의 성격과 '예비선거'의 영화 미학과 방법론을 다각도로 고찰한다.
_ “05 다이렉트 시네마의 시작 '예비선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