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고금주](/img_thumb2/9791128824234.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91128824234
· 쪽수 : 468쪽
· 출판일 : 2017-10-24
책 소개
목차
1. 여복(輿服)
1. 지남거
2. 대장거
3. 벽악거
4. 표미거
5. 금부·철부
6. 굉
7. 휘
8. 금작
9. 거폭
10. 계극
11. 신번
12. 중이
13. 창상
14. 사풍조
15. 갑
16. 백필
17. 각궁
18. 곡개
19. 치미선
20. 장선
21. 금근거
22. 수(綬)
23. 수(首)
24. 역
25. 옥패
26. 양의
27. 오백
28. 경필
29. 화개
30. 초선
31. 청낭
32. 문무관
33. 석
34. 이
35. 불차
36. 오명선
37. 청옥마안
38. 참백사검
39. 보도·보검
2. 도읍(都邑)
40. 봉강
41. 환·궤
42. 사·점
43. 양구
44. 구란
45. 묘
46. 부시
47. 성문
48. 궐
49. 성
50. 황
51. 자새
52. 단요
3. 음악(音樂)
53. 치조비
54. 별학조
55. 주마인
56. 무계심
57. 회남왕
58. 공후인
59. 오추곡
60. 평릉동
61. 해로·호리
62. 맥상상
63. 기양처
64. 조간
65. 동도가
66. 단소요가
67. 상류전곡
68. 일중광·월중륜·성중휘·해중윤
69. 횡취
70. 구현금
4. 조수(鳥獸)
71. 양
72. 부로
73. 안
74. 부안
75. 학
76. 원
77. 마
78. 나·맥
79. 자고
80. 토수조
81. 진시황명마
82. 원앙
83. 장
84. 토
85. 작
86. 연
87. 작
88. 계
89. 구욕
90. 오
91. 저
92. 양
93. 구
5. 어충(魚蟲)
94. 형화
95. 실솔
96. 승호
97. 사계
98. 구인
99. 청령
100. 협접
101. 감접
102. 어자
103. 강랑
104. 와우
105. 항자
106. 하마자
107. 오적
108. 귀
109. 별
110. 적기
111. 결초충
112. 누고
113. 편복
114. 팽월
115. 장기
116. 비아
117. 언정
118. 전·유
119. 경
120. 수군
6. 초목(草木)
121. 호감
122. 육박
123. 백양
124. 체양
125. 포류
126. 체포
127. 수양
128. 적양
129. 합환수
130. 두중
131. 목밀
132. 누조
133. 소방목
134. 예목
135. 자전목
136. 노두
137. 이두
138. 호두
139. 마두
140. 형규
141. 부용
142. 검
143. 만련
144. 주배등
145. 칠수
146. 청전핵
147. 지구자
148. 극실·재실·상실·자실
149. 포
150. 표
151. 태선
152. 출
153. 서
154. 구곡
155. 도
156. 산
157. 약
158. 조
159. 양하
160. 연지
161. 고침
162. 침양
163. 양척촉
7. 잡주(雜注)
164. 유리 병풍
165. 마노마륵·차거주배
166. 막난주
167. 양수
168. 반환계
169. 타마계
170. 유타계
171. 반룡차·수미
172. 장미
173. 아미·경학계
174. 적마
175. 경범
176. 위 문제 궁인
8. 문답석의(問答釋義)
177. 삼황오제
178. 가리
179. 무환
180. 창호·동관
181. 용수초
182. 번로
183. 비방목
184. 적
185. 전
186. 초목무식
187. 현구
188. 제녀
부록
발문(跋文)
역대 저록(歷代著錄)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에서
지남거
대가(大駕)에 사용하는 지남거(指南車)는 황제(黃帝) 때 시작되었다. 황제가 치우(蚩尤)와 탁록(??)의 들판에서 싸울 때, 치우가 짙은 안개를 만들어 병사들이 모두 사방을 헤맸다. 그래서 황제는 지남거를 만들어 사방을 가리키게 했으며, 마침내 치우를 사로잡고 제위에 올랐다. 그래서 그 후로는 늘 대가에 지남거를 세운다.
[대가에 사용하는 지남거는] 옛말에 따르면 주공(周公)이 만든 것이라고 한다. 주공이 나라를 잘 다스려 태평해지자, 월상씨(越裳氏)가 여러 번 통역을 거칠 정도로 먼 곳에서 와서 흰 꿩 1마리, 검은 꿩 1마리, 상아 1개를 공물로 바쳤다. 그런데 월상씨의 사자가 돌아가는 길을 잃어버리자, 주공은 무늬 비단 2필과 병거(輧車) 5대를 하사하고 그것에 모두 사남[司南 : 지남(指南)]을 장치했다. 월상씨의 사자는 그것을 싣고 남쪽으로 갔는데, 부남(扶南)과 임읍(林邑)의 바닷가를 따라서 1년 만에 자기 나라에 도착했다. 또한 대부(大夫) 연장(宴將)으로 하여금 그를 호송해 그 나라에 갔다가 돌아오게 했는데, 연장도 사남거를 타고 그것이 가리키는 방향을 등지고서 역시 1년 만에 돌아왔다. 처음 지남거를 만들 때 그 굴대를 모두 쇠로 했는데, 돌아왔을 때는 그 쇠가 또한 모두 닳아 버렸다. 지남거는 건거씨(巾車氏)에 속했으며 그것을 장치해서 싣고 항상 앞길을 인도했는데, 먼 나라의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사방을 바로잡는다는 뜻을 보여 주기 위함이었다. 지남거의 제작법은 모두 ≪상방고사(尙方故事)≫에 실려 있다. 한(漢)나라 말 세상이 혼란한 와중에 그 방법이 중도에 끊어지고 말았는데, 마 선생[馬先生 : 마균(馬鈞)]이 뒤를 이어서 제작했다. 오늘날의 지남거는 그가 남긴 방법으로 만든 것이다[마균(馬均)은 삼국 시대 위나라 때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