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자책] 엉겅퀴에 열린 무화과

[큰글자책] 엉겅퀴에 열린 무화과

에드나 세인트 빈센트 밀레이 (지은이), 김영훈 (옮긴이)
지식을만드는지식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0% 0원
810원
26,1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자책] 엉겅퀴에 열린 무화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책] 엉겅퀴에 열린 무화과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91128827563
· 쪽수 : 106쪽
· 출판일 : 2023-11-24

책 소개

그리니치빌리지의 절대 뮤즈이자 최초의 여성 퓰리처상 수상자인 시인 빈센트 밀레이의 두 번째 시집. 이 시집에서 빈센트 밀레이는 여성의 세속적인 성과 사랑을 적극적으로 묘사하며 전통적인 여성성과는 다른 파격적인 여성성을 제시한다.

목차

첫 번째 무화과
두 번째 무화과
기억
목요일
불가능하지 않은 그대에게
맥두걸 거리
숲 가장자리에서 노래하는 여자
그녀의 노래를 엿듣는다
죄수
탐험하지 않는 자
성인
참회자
다프네
이웃이 그린 초상화
철야
명랑한 처녀
캐슬린에게
S. M.에게−만약 그가 죽음에 이르렀다면
철학자
네 편의 소네트

부록 : 젊음과 날개−에드나 세인트 빈센트 밀레이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 소개

저자소개

에드나 세인트 빈센트 밀레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의 시인이자 극작가이다. 1892년 미국 메인주 록랜드에서 출생했으며, 1912년 장편 시 “재생(Renascence)”으로 문단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바사르 칼리지를 졸업하는 해인 1917년에 첫 번째 시집 『재생 외』를 출간했고, 대학 졸업 후에는 뉴욕시의 그리니치 빌리지에 정착해 살면서 ‘낸시 보이드(Nancy Boyd)’라는 필명으로 단편소설과 풍자 글을 쓰는 한편, 시를 여러 유명 잡지에 지속적으로 게재했다. 1920년에 여성의 성애와 페미니즘을 적나라하게 묘사하여 많은 논란을 불러온 시집 『엉겅퀴에서 나온 몇 개의 무화과』를 출간했고, 1923년에는 시집 『하프로 옷을 짜는 여인의 노래』로 시 부문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밀레이의 시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주제는 사랑에 대한 탐구다. 열정, 욕망, 상처, 관계의 복잡성을 연인 간의 역학, 새로운 사랑의 환희, 이별의 고통, 그리고 사랑으로 인한 절망 등을 때로는 통속적인 사랑이 아니라 인습과 윤리를 뛰어넘는 영역으로 확대시키면서 사랑의 본질을 탐구한다. 1923년에 밀레이에게 너무나 헌신적인 오이겐 얀 보이세바인과 결혼하여 26년을 함께 살았으며, 1950년 10월 18일 뉴욕주 오스터리츠에서 58세로 사망했다.
펼치기
김영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재 동국대학교 WISE 캠퍼스 영어영문학과에서 부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미국 대중문화가 주 연구 분야이고, 지금까지 포스트네트워크 시대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해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최근에는 영문학의 한국화와 한국학의 세계화가 공유하는 영역을 탐사하며 다양한 학제 간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1960∼1970년대 한국 사회에서 발생한 대중문화의 이식과 변이의 역사, 그리고 현대 한국 보수 문화의 감수성의 기원으로서의 미국 대중문화라는 연구 주제에 대해 천착하고 있다.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대표 논문으로는 영국 캠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간하는 국제 학술지 《Journal of American Studies》에 게재된 〈Rogue Cops’ Politics of Equality in The Wire〉가 있다. 한국학과 관련된 논문으로는 A&HCI 등재지 《Interdisciplinary Study of Literature》에 게재된 〈Yoshikawa Eiji’s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and Its Ethical Values in South Korea〉 그리고 《Popular Music and Society》에 게재된 〈Revisiting the South Korean Youth Culture and T’ongkit’a Music〉이 있다. 역서로는 조르조 아감벤의 《벌거벗음》(인간사랑, 2014), G. 브루스 보이어의 《트루 스타일》(푸른숲, 2018), 빈센트 밀레이의 《또 다른 사월》(지식을만드는지식, 2023)이 있고, 공저로는 《교사의 재발견》(학지사, 2016)과 《캐나다 아동문학》(한국문화사, 2023)이 있다. 2023년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에서 연구년을 보내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
<첫 번째 무화과>

내 양초는 양쪽에서 타들어 가네,
이 밤을 못 넘기겠지,
그러나, 아, 나의 적이여, 오, 나의 벗이여,
얼마나 아름답게 빛나는가!


2.
<목요일>

그리고 내가 너를 수요일에 사랑했다고,
그게, 너에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목요일에는 너를 사랑하지 않아,
이건 분명 사실이야

그리고 왜 네가 내게 와 불평하는지
이해할 수 없어
그래, 내가 너를 수요일에 사랑했어, 그렇지만,
그게 내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