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비평론
· ISBN : 9791128851759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19-09-25
책 소개
목차
1. 머리말
I.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현황
3. 연구 대상
II. 정전 검열 기억
III. 선정과 기억의 원리
1. 김소월, 보편적 삶의 원리 미학화
1) 서론
2) 남북한 시선집의 김소월 시 등재 양상
3) 남북한 시선집 수록 작품의 특징
4) 결론
2. 한용운, 반일 저항시의 계보화
1) 서론
2) 남북한 시선집의 한용운 시 등재 양상
3) 남북한 시선집 수록 작품의 특징
4) 한용운 시의 교과서 등재 양상
5) 결론
3. 시조 시인, 구어를 통한 사상의 유연화
1) 서론
2) 남북한 시선집의 시조 시인 등재 양상
3) 가치의 분화 및 고착화 과정
4) 결론
IV. 배제와 검열의 원리
1. 남한 시선집의 배제 원리, 계급성과 사상성
1) 남한 문단의 검열과 배제
2) 남북한 문학사의 카프에 대한 인식의 변화 과정
3) 남북한 시선집의 카프 시인 등재 양상
4) 결론
2. 북한 시선집의 배제 원리, 감상성과 낭만성
1) 북한 문단의 검열과 배제
2) 남로당계 문인 배제, 응향계 임화
3) 북한의 모더니즘 시인 배제, 이상
4) 결론
3. 탈정전의 재정전화, 우리말의 감각
V. 민족이라는 동일성 형성의 이데올로기
VI. 국경을 횡단하는 시 텍스트의 정전성
VII. 결론
부록
참고 문헌
지은이에 대해
저자소개
책속에서
식민지 시기 시인들은 분단을 기점으로 남북한 시선집에 각기 다른 방식으로 등재된다. 그중 일부는 남한이나 북한 시선집 한쪽에만 등재되는데, 남한 시선집에서 배제된 시인은 북한 시선집에 등재되고 북한 시선집에서 배제된 시인은 남한 시선집에 등재되는 현상을 보인다. 월북한 카프계 시인의 계급적 관점과 사회주의적 지향성이 남한 시선집에서는 배제 원리로 북한 시선집에서는 선정 원리로, 문학의 자율성에 초점을 두고 개인의 내면을 탐색한 모더니즘 작품이 북한 시선집에서는 배제 원리로 남한 시선집에서는 선정 원리로 작용한다. 남북한 문단 모두, 시인의 체제 지향성, 이념적 이데올로기를 고려한 작가 정전에 초점을 두고 시선집을 구성해 왔기 때문이다.
변화는 1990년대부터 나타난다. 남한 시단은 1988년 월북 문인 해금 조치 이후부터 월북(재북, 납북) 시인과 카프 시인을 등재하기 시작하고, 북한 시단은 1992년에 발간한 시선집에서부터 친일계, 북로당계, 모더니즘계 시인들을 등재한다. 남한 시선집은 월북 시인이나 카프 시인을 복권하는 차원에서 시인 중심으로, 북한 시선집은 인민성과 향토성에 초점을 둔 작품 중심으로 시선집을 구성한다. 북한은 친일 행적을 하거나 반공 이데올로기를 주장하거나 남한의 체제를 적극 옹호한 시인들까지 시선집에 등재한다. 그 결과 시선집에 등재된 시인과 작품 수는 북한 시선집이 남한 시선집보다 더 많은 현상이 나타난다.